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8월 30일 (일) 13:29 (차이 | 역사) . . (+259) . . 먹틀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28 (차이 | 역사) . . (-3) . . 운두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27 (차이 | 역사) . . (-3) . . 장미로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27 (차이 | 역사) . . (-3) . . 질시루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26 (차이 | 역사) . . (-3) . . 나무시루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26 (차이 | 역사) . . (-3) . . 사선 무늬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26 (차이 | 역사) . . (-3) . . 오래된 소나무껍질 무늬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24 (차이 | 역사) . . (+74) . . 오래된 소나무껍질 무늬
- 2020년 8월 30일 (일) 13:24 (차이 | 역사) . . (+2,816) . . 새글 오래된 소나무껍질 무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오래된 소나무껍질 무늬</strong>는 먹의 무늬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
- 2020년 8월 30일 (일) 13:19 (차이 | 역사) . . (+19) . . 사선 무늬
- 2020년 8월 30일 (일) 13:19 (차이 | 역사) . . (+2,650) . . 새글 사선 무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사선 무늬</strong>는 먹의 무늬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Semantic Data== ==...)
- 2020년 8월 30일 (일) 13:09 (차이 | 역사) . . (+4,962)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무늬 만드는 법 (새 문서: 옛날 먹의 모습에는 대부분 무늬가 있었는데, 그 무늬 넣는 법을 본받을 만하다. 그 방법은 숨겨지고 전해지지 않아 아는 사람이 드물다....)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2:52 (차이 | 역사) . . (+832)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모양 만들기 (새 문서: 먹의 모양은 마땅히 옛사람에게서 법칙을 취해야 한다. 크기와 두께의 제한은 없다. 대개 두텁고 크면 오래 보관하는 데 유리하고, 얇고...)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2:51 (차이 | 역사) . . (+3,453)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둥근 반죽 늘이기 (새 문서: 일반적으로 녹교(鹿膠, 녹각아교)를 찧어서 곧 둥글고 단단한 가래를 만들 때는, 지체하면 안 된다. 조금이라도 지체하면, 반죽에 곧 주름...)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2:42 (차이 | 역사) . . (+1,039)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쇠망치로 두드리기 (새 문서: 5명을 차례대로 쓰는데, 각자 쇠다듬잇돌과 쇠망치를 준비한다. 사람마다 그을음반죽 1환(丸)을 가져와 조임쇠에 끼워 고정시키고, 다듬잇...)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2:40 (차이 | 역사) . . (+774)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그을음반죽 무게 재기 (새 문서: 숙성된 반죽 덩어리를 절구에서 꺼내 탁자 위에 놓고, 비비고 문질러 긴 가래를 만든 다음 젖은 베로 단단히 감싸서 따뜻한 솥에 넣는다....)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2:24 (차이 | 역사) . . (+18) . . 나무시루
- 2020년 8월 30일 (일) 12:22 (차이 | 역사) . . (+2,958) . . 새글 나무시루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나무시루</strong>는 먹을 찌는 도구이다. 반죽이 된 먹을 나무시루에 찐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 2020년 8월 30일 (일) 12:21 (차이 | 역사) . . (+9) . . 질시루
- 2020년 8월 30일 (일) 12:21 (차이 | 역사) . . (+2,926) . . 새글 질시루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질시루</strong>는 먹을 찌는 도구이다. 반죽이 된 먹을 질시루에 찐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
- 2020년 8월 30일 (일) 12:16 (차이 | 역사) . . (-6) . . 이운지:문방아제:그을음반죽 찌기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2:14 (차이 | 역사) . . (-1) . . 이운지:문방아제:그을음반죽 절구질하기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2:14 (차이 | 역사) . . (+3,828)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그을음반죽 절구질하기 (새 문서: 일반적으로 절구질은 많이 하기를 마다하지 않는다. 위탄의 먹 만드는 방법에 “철로 만든 절구 안에서 절구질을 3만 번 한다. 절구질을...)
- 2020년 8월 30일 (일) 12:09 (차이 | 역사) . . (+1,276)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그을음반죽 찌기 (새 문서: 질그릇시루나 나무시루를 솥 가운데에 끼워 넣고, 솥바닥의 물은 시루 가까이까지 채우지 않는다. 시루 바닥에는 대껍질을 가득 깔고, 앞...)
- 2020년 8월 28일 (금) 11:57 (차이 | 역사) . . (+5,232)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그을음 반죽하기 (새 문서: 일반적으로 그을음을 섞는 일은 깨끗하고 밀폐된 작은 방 안에서 해야지, 바람이 통하는 곳에서 해서는 안 된다. 아교 그릇을 기울여 그을...) (최신)
- 2020년 8월 28일 (금) 11:44 (차이 | 역사) . . (+9) . . 장미로
- 2020년 8월 28일 (금) 11:44 (차이 | 역사) . . (+3,819) . . 새글 장미로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장미로</strong>는 먹의 재료이다. 장미꽃을 증류하여 만든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
- 2020년 8월 28일 (금) 11:39 (차이 | 역사) . . (+2) . . 운두
- 2020년 8월 28일 (금) 11:39 (차이 | 역사) . . (0) . . 운두
- 2020년 8월 28일 (금) 11:38 (차이 | 역사) . . (+3,476) . . 새글 운두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운두</strong>은 좋은 먹색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Semantic Data== ===Node D...)
- 2020년 8월 28일 (금) 11:05 (차이 | 역사) . . (+17,638)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약 쓰기 (새 문서: 일반적으로 먹을 만드는 약은 사용한 지 오래되었다. 위(魏)나라의 위탄(韋誕)은 진주(眞珠)·사향(麝香)의 2가지 재료를 사용하였고, 후위(...) (최신)
- 2020년 8월 28일 (금) 09:52 (차이 | 역사) . . (0) . . 먹틀
- 2020년 8월 28일 (금) 09:51 (차이 | 역사) . . (+3,183) . . 새글 먹틀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먹틀</strong>은 먹을 찍어내는 도구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Semantic Data...)
- 2020년 8월 28일 (금) 09:49 (차이 | 역사) . . (+9) . . 냉교묵 (최신)
- 2020년 8월 28일 (금) 09:48 (차이 | 역사) . . (+3,224) . . 새글 냉교묵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냉교묵</strong>은 아교가 식기 전에 배합한 먹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
- 2020년 8월 28일 (금) 09:46 (차이 | 역사) . . (+9) . . 열교묵 (최신)
- 2020년 8월 28일 (금) 09:46 (차이 | 역사) . . (+3,230) . . 새글 열교묵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열교묵</strong>은 아교가 뜨겁지 않을 때 배합한 먹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 2020년 8월 28일 (금) 09:45 (차이 | 역사) . . (+8) . . 경교 (최신)
- 2020년 8월 28일 (금) 09:45 (차이 | 역사) . . (-8) . . 경교
- 2020년 8월 28일 (금) 09:44 (차이 | 역사) . . (+8) . . 경교
- 2020년 8월 28일 (금) 09:42 (차이 | 역사) . . (+6) . . 경교
- 2020년 8월 28일 (금) 09:41 (차이 | 역사) . . (+3,230) . . 새글 경교 (새 문서: ==Definition== <strong>경교</strong>는 아교의 함량이 적은 먹이다. 색이 검고 맑지만 시간이 갈수록 색이 바랜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
- 2020년 8월 28일 (금) 09:29 (차이 | 역사) . . (+9) . . 대교법 (최신)
- 2020년 8월 28일 (금) 09:28 (차이 | 역사) . . (+3,368) . . 새글 대교법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대교법</strong>은 먹을 만드는 방법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Semantic Data...)
- 2020년 8월 28일 (금) 09:25 (차이 | 역사) . . (+7) . . 어표교 (최신)
- 2020년 8월 28일 (금) 09:24 (차이 | 역사) . . (-8) . . 어표교
- 2020년 8월 28일 (금) 09:23 (차이 | 역사) . . (+3,457) . . 새글 어표교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어표교</strong>는 물고기 부레로 만든 아교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Sem...)
- 2020년 8월 28일 (금) 09:19 (차이 | 역사) . . (0) . . 우교 (최신)
- 2020년 8월 28일 (금) 09:19 (차이 | 역사) . . (+3,247) . . 새글 우교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우교</strong>는 소의 가죽 등 소를 원료로 만든 아교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 2020년 8월 28일 (금) 09:08 (차이 | 역사) . . (-3) . . 미각 (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