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9월 15일 (화) 13:27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상상 (역사) [44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다구(茶具) 16개 기물은 다음과 같다. <br> ①상상(商象) 【옛날 석정(石鼎, 돌솥)이다. 차를 달일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
- 2020년 9월 15일 (화) 13:2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현금 (역사) [9,98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삼국사기(三國史記)90》에 “현금은 중국 아부(雅部)<ref>아부(雅部):중국 고대의 의식음악, 또는 이를 복원한 것으로 간주되는 역대 음...)
- 2020년 9월 15일 (화) 12:59 백랍금 (역사) [4,236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백랍금(百衲琴) </strong>은 중국 호남성(湖南省)의 범씨(范氏)가 금(琴)을 잘 만들기로 유명한데, 그가...)
- 2020년 9월 15일 (화) 12:26 고금(古琴) 판별법 (역사) [4,46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고금(古琴) 판별법</strong>은 가짜 고금이 너무 많아 진짜 고금을 판별하는 법을 말한다. 서유구(徐有榘...)
- 2020년 9월 15일 (화) 12:00 번금 (역사) [4,48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번금(番琴, 양금)</strong>은 서양에서 들어온 금이다. 양금(洋琴), 구라철현금(歐邏鐵絃琴)이라고도 한...)
- 2020년 9월 15일 (화) 11:44 금의 9덕 (역사) [3,74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9덕(九德, 금의 9가지 덕목) </strong>은 금이 갖추어야 할 9가지 덕목을 말한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
- 2020년 9월 15일 (화) 11:03 이운지:은거지의 배치:원림과 연못:가산 (역사) [7,02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가산 만드는 법== <strong>못 주변에 석가산(石假山, 돌로 만든 인공산) 만드는 법</strong><br/> 만약 물에 달아 반질반질한 돌을 얻...)
- 2020년 9월 15일 (화) 08:53 독 (역사) [2,830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독</strong>은 술을 빚거나 장을 담글 때 사용하는 그릇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
- 2020년 9월 14일 (월) 14:03 금 만드는 법 (역사) [4,076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금 만드는 법(琴製法) </strong>은 금의 악(嶽) 사이는 얼마 만큼의 너비로 만드는지, 배[腹] 부분을만들...)
- 2020년 9월 14일 (월) 13:26 금의 양식 (역사) [3,83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금의 양식 </strong>은 고금(古琴) 중에는 부자금(夫子琴)과 열자금(列子琴) 두 양식과 요즘의 운화양식(...)
- 2020년 9월 14일 (월) 13:03 현금 (역사) [5,07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현금(玄琴, 거문고) </strong>는 애초에 진(晉)나라 사람이 칠현금(七絃琴)을 고구려에 보내왔다. 이때 제...)
- 2020년 9월 14일 (월) 12:31 섬용지: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 도구:석쇠받침(노교) (역사) [754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석쇠받침(노교)<ref>석쇠받침(노교):여기에서 설명한 석쇠받침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ref> 굵은 철사 2개의 끝을 고리로 이어 연결한다...)
- 2020년 9월 14일 (월) 12:30 석쇠받침 (역사) [2,928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석쇠받침</strong>은 음식을 생선이나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
- 2020년 9월 14일 (월) 12:22 유예지:활쏘기 비결:기구:화살 보관하는 법 (역사) [1,27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화살을 보관할 때는 단단하게 싼 다음 건조한 곳에 두었다가, 때때로 불을 쬐어 말려야 한다. 만약 먼지가 쌓이거나 습해지면 화살깃과 화...)
- 2020년 9월 14일 (월) 12:13 유예지:활쏘기 비결:기구:화살 만드는 법 (역사) [3,97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활의 강약을 가늠해 보아 화살의 무게를 맞추어야 하니, 차라리 활의 힘보다 조금 가벼운 화살을 쓰면 괜찮으나, 화살이 활보다 무거워서...)
- 2020년 9월 14일 (월) 12:04 유예지:활쏘기 비결:기구:활 보관하는 법 (역사) [1,50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만약 활이 습기가 찼을 때 사용하면 뒤집어지고, 자주 뒤집어지면 부러지기 마련이니, 보관함을 갖추어서 활을 넣어 두어야 한다. 여름과...)
- 2020년 9월 14일 (월) 11:57 번망 (역사) [2,939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번망</strong>은 생선이나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그릇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
- 2020년 9월 14일 (월) 09:43 벙거짓골 (역사) [2,956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벙거짓골</strong>은 채소를 삶거나 고기를 지질 때 사용하는 그릇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
- 2020년 9월 14일 (월) 09:30 석자 (역사) [2,920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석자(누표)<ref>석자(누표):철사를 엮어 바가지 모양을 만들고 손잡이를 단 조리도구. 구리석자는 찾을 수 없으나 모 양은 아래와 유사할...)
- 2020년 9월 13일 (일) 23:58 유예지:활쏘기 비결:기구:활의 힘 재는 법 (역사) [1,276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활을 땅 위에 놓고, 다리와 발꿈치를 써서 활의 줌통을 고정한 다음 저울의 고리를 활시위에 걸고 들어 올려서 무게를 잰다.<ref>활을……...)
- 2020년 9월 13일 (일) 23:50 유예지:활쏘기 비결:기구:활시위 얹는 법 (역사) [1,98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일반적으로 활시위를 얹을 때는 손바닥으로 활의 위아래를 문지르고 비벼서 힘줄과 뿔을 따뜻하고 윤기 나게 한다. 만약 처음에 활을 점...)
- 2020년 9월 13일 (일) 23:37 유예지:활쏘기 비결:기구:활 만드는법 (역사) [9,40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활 만드는 법1== <ref></ref> 활은 손에 잘 맞는 것이 좋다. 소나 다른 짐승의 힘줄・뿔・대나무・나무 등의 재료를 결합한 뒤에야 활이 만들...)
- 2020년 9월 13일 (일) 23:25 화살 보관하는 법 (역사) [4,07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화살 보관하는 법[藏箭法]</strong>은 화살을 만들 때 활의 힘, 쏘는 이의 팔길이에 맞게 만들며, 재료목...)
- 2020년 9월 13일 (일) 22:57 화살 만드는 법 (역사) [4,19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화살 만드는 법[造箭法]</strong>은 화살을 만들 때 활의 힘, 쏘는 이의 팔길이에 맞게 만들며, 재료목의...)
- 2020년 9월 13일 (일) 22:48 활 보관하는 법 (역사) [3,65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활 보관하는 법[藏弓法]</strong>은 활을 항상 불에 쬐어 말려 습기를 제거하고, 반드시 명반 녹인 물[礬...)
- 2020년 9월 13일 (일) 22:26 활의 힘 재는 법 (역사) [3,42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활의 힘 재는 법[稱弓法]</strong>은 활을 땅 위에 놓고, 다리와 발꿈치를 써서 활의 줌통을 고정한 다음...)
- 2020년 9월 13일 (일) 19:45 활시위 얹는 법 (역사) [3,87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활시위 얹는 법[上弦法]</strong>은 활시위 메기는 법을 말한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
- 2020년 9월 13일 (일) 19:27 활 만드는 법 (역사) [4,72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활 만드는 법[造弓法]</strong>은 좋은 활을 만드는 데 필요한 목재, 아교, 활의 부위에 따른 주의점, 활...)
- 2020년 9월 13일 (일) 19:06 유예지:활쏘기 비결:바람과 공기:추위와 더위 (역사) [2,21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활쏘기를 연습하면서 천시(天時)를 살피지 않는다면 활쏘기를 잘하는 사람이 아니다. 천시에는 추위도 있고 더위도 있다. 날씨가 추우면...)
- 2020년 9월 13일 (일) 17:31 유예지:활쏘기 비결:바람과 공기:바람과 기후 (역사) [5,40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일반적으로 활터에 나가 활쏘기를 연습할 때, 일단 사방에서 일어난 바람과 먼지를 만나면 화살은 사정거리의 장단과 착지에서의 좌우에...)
- 2020년 9월 11일 (금) 18:14 민철기 (역사) [206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입력작업중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민철기 섬용지)
- 2020년 9월 11일 (금) 17:59 임원경제지 (역사) [422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임원경제지 16지 입력작업중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이운지 분류:본리지 분류:관...)
- 2020년 9월 11일 (금) 17:56 임원경제지 섬용지 (역사) [165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임원경제지 섬용지 입력작업중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 2020년 9월 11일 (금) 17:54 섬용지 (역사) [15,78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임원경제지 섬용지 입력작업중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 2020년 9월 11일 (금) 15:21 유예지:활쏘기 비결:자세의 결점:깍지손의 자세에서 생기는 결점 (역사) [2,89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① 돌(突, 갑작스러움)<br/> 이것은 시위를 너무 무겁게 비틀어서 지나치게 힘을 주는 자세이다. 이 때문에 깍지손의 팔꿈치를 내려 누르지...)
- 2020년 9월 11일 (금) 15:15 깍지손의 자세에서 생기는 결점 (역사) [4,72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깍지손의 자세에서 생기는 결점[後手病]</strong>은 깍지손이 범하기 쉬운 잘못된 자세를 말한다. 서유...)
- 2020년 9월 11일 (금) 14:36 유예지:활쏘기 비결:자세의 결점:줌손의 자세에서 생기는 결점 (역사) [4,54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① 장(張, 펼침)<br/> 이것은 화살을 보낼 때, 줌손을 활 바깥쪽으로 한 번 감아 주는[捲]<ref>감아 주는[捲]:《重刊武經彙解・射義・射法引...)
- 2020년 9월 11일 (금) 14:27 줌손의 자세에서 생기는 결점 (역사) [3,66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줌손의 자세에서 생기는 결점[前手病]</strong>은 활쏘기 할 때 잘못된 줌손 자세이다. 서유구(徐有榘)의...)
- 2020년 9월 11일 (금) 14:00 유예지:활쏘기 비결:자세의 결점:전반적인 결점 (역사) [2,44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활을 당길 때 깍지손을 짓누른다[開弓勘手].’는 줌손은 너무 높고, 깍지손은 낮아서 평평하지 않은 자세를 말한다. ‘활을 당길 때 깍...)
- 2020년 9월 9일 (수) 16:30 유예지:활쏘기 비결:활터에서의 바른 자세:활 쏘는 법의 14가지 요점 (역사) [13,59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① 활은 부드러워야 한다<br/> 이는 활이 꼭 부드러워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활의 세기가 활 쏘는 사람의 힘보다 강하면 사람의 힘이 활에...)
- 2020년 9월 9일 (수) 16:24 유예지:활쏘기 비결:활터에서의 바른 자세:활쏘는 법의 14가지 요점 (역사) [13,11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① 활은 부드러워야 한다<br/> 이는 활이 꼭 부드러워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활의 세기가 활 쏘는 사람의 힘보다 강하면 사람의 힘이 활에...)
- 2020년 9월 9일 (수) 11:50 유예지:활쏘기 비결:활터에서의 바른 자세:서서 쏘는 활쏘기의 요점 (역사) [4,65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활터에서 연습할 때는 먼저 마음과 뜻을 한결같이 한 다음 호흡을 고른다. 몸은 벽처럼 똑바로 세워야 하고, 활은 곧게 수직으로 세워야...)
- 2020년 9월 9일 (수) 11:24 유예지:활쏘기 비결:활터에서의 바른 자세:깃을 어루만지며 화살을 뽑는다 (역사) [2,36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줌손 중지로 화살 밑을 받치고 약지와 소지 앞에 바짝 붙인 다음<ref>줌손……다음:이때 줌손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 파일:줌손의 모...)
- 2020년 9월 9일 (수) 11:10 유예지:활쏘기 비결:활터에서의 바른 자세:줌통을 들고 시위를 당긴다 (역사) [1,80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조심스럽게 몸을 약간 굽히고, 눈으로는 과녁을 주시하며, 줌손은 손가락을 감싸고 손목을 낮추어 활과 화살을 잡되 품속에서 달을 토해...)
- 2020년 9월 8일 (화) 22:31 활 쏘는 법의 14가지 요점 (역사) [4,18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 활 쏘는 법의 14가지 요점[射法十四要]</strong>은 서서 정신을 집중하과녁을 겨냥하고 힘을 고르게 쓰...)
- 2020년 9월 8일 (화) 22:22 서서 쏘는 활쏘기의 요점 (역사) [4,28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 서서 쏘는 활쏘기의요점[步射撮要]</strong>은 서서 정신을 집중하과녁을 겨냥하고 힘을 고르게 쓰며...)
- 2020년 9월 8일 (화) 18:00 줌통을 들고 시위를 당긴다 (역사) [4,296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줌통을 들고 시위를 당긴다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줌통을 들고 시위를 당긴다[擧弝按弦]</strong>는 줌손의 검지와 중지를 가...)
- 2020년 9월 8일 (화) 17:32 유예지:활쏘기 비결:활터에서의 바른 자세:활을 쥐어 과녁을 겨누고 몸을 굳힌다 (역사) [2,44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줌손을 늘어뜨리고 엄지를 조금 구부려 줌통을 잡는다. 줌손의 검지와 중지에 힘을 주어 활과화살을 잡고, 나머지 손가락으로는 비스듬하...)
- 2020년 9월 8일 (화) 16:38 유예지:활쏘기 비결:활터에서의 바른 자세:앞뒤 손을 쓰는 방법 (역사) [3,21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송나라 노종매(盧宗邁) <ref>노종매(盧宗邁):?~?. 남송(南宋) 초기의 무관으로, 언어학과 음운학에 밝았다.</ref> 태위(大尉)가 살(摋) <ref>살(...)
- 2020년 9월 8일 (화) 16:26 앞뒤 손을 쓰는 방법 (역사) [4,36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앞뒤 손을 쓰는 방법[前後手法]</strong>은 활쏘기할 때 깍지손이 사물을 치는 모습과 같이 하여, 팔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