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대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내용== '''3) 대패'''</br></br> 일반적으로 대패는 강철을 물린 사방 0.1척짜리 쇠를 갈고, 대패 날이 약간 드러나게 해서 대패아가리에 비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3) 대패'''</br></br> | '''3) 대패'''</br></br> | ||
일반적으로 대패는 강철을 물린 사방 0.1척짜리 쇠를 갈고, 대패 날이 약간 드러나게 해서 대패아가리에 비스듬히 나오게 하니, 나무를 평평하게 깎기 위한 도구이다.<ref>대패는……도구이다:이 구절에서 설명하는 대패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ref> 대패의 옛 이름은 ‘준(準)’이다. 큰 것은 대패가 누워 있고 날이 드러나 있어서 깎을 나무를 잡고 빼내면서 깎는데, 이를 ‘추포(推鉋, 미는 대패)’라 한다. 둥근 통을 만드는 목공들이 이 대패를 사용한다. 평상시에 사용하는 대패는 가로나무가 양 날개처럼 벌려져 있어 이를 손으로 잡고 앞으로 미는 방식이다.<ref>평상시에……방식이다:이 구절에서 설명하는 대패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파일:대패(국립민속박물관).png|200픽셀]]</ref></br> | 일반적으로 대패는 강철을 물린 사방 0.1척짜리 쇠를 갈고, 대패 날이 약간 드러나게 해서 대패아가리에 비스듬히 나오게 하니, 나무를 평평하게 깎기 위한 도구이다.<ref>대패는……도구이다:이 구절에서 설명하는 대패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ref> 대패의 옛 이름은 ‘준(準)’이다. 큰 것은 대패가 누워 있고 날이 드러나 있어서 깎을 나무를 잡고 빼내면서 깎는데, 이를 ‘추포(推鉋, 미는 대패)’라 한다. 둥근 통을 만드는 목공들이 이 대패를 사용한다. 평상시에 사용하는 대패는 가로나무가 양 날개처럼 벌려져 있어 이를 손으로 잡고 앞으로 미는 방식이다.<ref>평상시에……방식이다:이 구절에서 설명하는 대패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파일:대패(국립민속박물관).png|200픽셀]]</ref></br> | ||
− | 목수가 세밀한 작업을 할 때 쓰는 대패로 ‘기선포(起線鉋)’가 있는데, 날의 너비가 0.02척 정도 된다. 또 나무를 매끈하게 다듬어 극도로 윤이 나게 하는 대패를 ‘오공포(蜈蚣鉋)’<ref>오공포(蜈蚣鉋):목재의 겉면을 다듬어 윤을 내기 위해 쓰는 도구.</ref>라 하는데, 나무 하나에 10여 개의 작은 칼날을 물고 있는 모습이 마치 지네[蜈蚣]의 다리와 같다.《천공개물》<ref>《天工開物》 卷10 <錘鍛> “刨”, 273쪽</ref> | + | 목수가 세밀한 작업을 할 때 쓰는 대패로 ‘기선포(起線鉋)’가 있는데, 날의 너비가 0.02척 정도 된다. 또 나무를 매끈하게 다듬어 극도로 윤이 나게 하는 대패를 ‘오공포(蜈蚣鉋)’<ref>오공포(蜈蚣鉋):목재의 겉면을 다듬어 윤을 내기 위해 쓰는 도구.</ref>라 하는데, 나무 하나에 10여 개의 작은 칼날을 물고 있는 모습이 마치 지네[蜈蚣]의 다리와 같다.《천공개물》<ref>《天工開物》 卷10 <錘鍛> “刨”, 273쪽</ref><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3,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199~200쪽.</ref> |
==각주== | ==각주==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Object]][[분류:공업도구]][[분류:목재가공]][[분류:임원경제지]][[분류:섬용지]][[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공제총찬]][[분류:대패]][[분류:천공개물]][[분류:김광명]][[분류:임원텍스트]]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Object]][[분류:공업도구]][[분류:목재가공]][[분류:임원경제지]][[분류:섬용지]][[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공제총찬]][[분류:대패]][[분류:천공개물]][[분류:김광명]][[분류:임원텍스트]] |
2020년 11월 5일 (목) 22:46 기준 최신판
내용
3) 대패
일반적으로 대패는 강철을 물린 사방 0.1척짜리 쇠를 갈고, 대패 날이 약간 드러나게 해서 대패아가리에 비스듬히 나오게 하니, 나무를 평평하게 깎기 위한 도구이다.[1] 대패의 옛 이름은 ‘준(準)’이다. 큰 것은 대패가 누워 있고 날이 드러나 있어서 깎을 나무를 잡고 빼내면서 깎는데, 이를 ‘추포(推鉋, 미는 대패)’라 한다. 둥근 통을 만드는 목공들이 이 대패를 사용한다. 평상시에 사용하는 대패는 가로나무가 양 날개처럼 벌려져 있어 이를 손으로 잡고 앞으로 미는 방식이다.[2]
목수가 세밀한 작업을 할 때 쓰는 대패로 ‘기선포(起線鉋)’가 있는데, 날의 너비가 0.02척 정도 된다. 또 나무를 매끈하게 다듬어 극도로 윤이 나게 하는 대패를 ‘오공포(蜈蚣鉋)’[3]라 하는데, 나무 하나에 10여 개의 작은 칼날을 물고 있는 모습이 마치 지네[蜈蚣]의 다리와 같다.《천공개물》[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