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복식 도구:옷과 갖옷:배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번째 줄: | 3번째 줄: | ||
[[파일:중국의 배자.jpg|200픽셀|섬네일|중국의 배자|왼쪽]] | [[파일:중국의 배자.jpg|200픽셀|섬네일|중국의 배자|왼쪽]] | ||
[[파일:출토 배자.jpg|200픽셀|섬네일|출토 배자(국립민속박물관)|가운데]] | [[파일:출토 배자.jpg|200픽셀|섬네일|출토 배자(국립민속박물관)|가운데]] | ||
− | </ref></strong><br/> | + | </ref></strong><br/><br/><br/> |
배자에 대해 《삼재도회》에서는 “진(秦)의 2세 황제가 조복 위에 배자를 덧입으라는 조칙을 내렸다. 그 제도는 소매가 삼(衫)보다 짧고, 옷 길이는 삼과 가지런하지만 소매를 삼보다 크게 한다. 송나라에서는 길이가 더욱 길어져 치마와 가지런했으며, 소매는 삼보다 약간 넓었다.”<ref>《三才圖會》 〈衣服〉 “褙子”, 660쪽.</ref>라 했다.<br/> | 배자에 대해 《삼재도회》에서는 “진(秦)의 2세 황제가 조복 위에 배자를 덧입으라는 조칙을 내렸다. 그 제도는 소매가 삼(衫)보다 짧고, 옷 길이는 삼과 가지런하지만 소매를 삼보다 크게 한다. 송나라에서는 길이가 더욱 길어져 치마와 가지런했으며, 소매는 삼보다 약간 넓었다.”<ref>《三才圖會》 〈衣服〉 “褙子”, 660쪽.</ref>라 했다.<br/> | ||
우리나라의 배자는 이와 다르다. 소매가 없고 옷의 길이가 짧아 겨우 배와 등을 가린다. 모난 깃이 마주하고 내려가 매듭단추로 여미거나, 양 겨드랑이 아래에 바다거북 등딱지로 만든 대모고리를 꿰매어 띠를 그 고리에 끼운 다음 둘러서 앞에서 여미기도 한다. 담비나 쥐 등의 가죽으로 만들고 능(綾)이나 단(緞)으로 덧댄 배자를 털배자[毛褙子]라 하며, 주(紬)를 겹으로 만들어서 그 속에 솜을 쟁여 넣은 배자를 겹배자(裌褙子)라 한다.《금화경독기》<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111~112쪽. </ref><br/><br/><br/> | 우리나라의 배자는 이와 다르다. 소매가 없고 옷의 길이가 짧아 겨우 배와 등을 가린다. 모난 깃이 마주하고 내려가 매듭단추로 여미거나, 양 겨드랑이 아래에 바다거북 등딱지로 만든 대모고리를 꿰매어 띠를 그 고리에 끼운 다음 둘러서 앞에서 여미기도 한다. 담비나 쥐 등의 가죽으로 만들고 능(綾)이나 단(緞)으로 덧댄 배자를 털배자[毛褙子]라 하며, 주(紬)를 겹으로 만들어서 그 속에 솜을 쟁여 넣은 배자를 겹배자(裌褙子)라 한다.《금화경독기》<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111~112쪽. </ref><br/><br/><br/> |
2020년 10월 26일 (월) 16:30 판
내용
8) 배자[1]
배자에 대해 《삼재도회》에서는 “진(秦)의 2세 황제가 조복 위에 배자를 덧입으라는 조칙을 내렸다. 그 제도는 소매가 삼(衫)보다 짧고, 옷 길이는 삼과 가지런하지만 소매를 삼보다 크게 한다. 송나라에서는 길이가 더욱 길어져 치마와 가지런했으며, 소매는 삼보다 약간 넓었다.”[2]라 했다.
우리나라의 배자는 이와 다르다. 소매가 없고 옷의 길이가 짧아 겨우 배와 등을 가린다. 모난 깃이 마주하고 내려가 매듭단추로 여미거나, 양 겨드랑이 아래에 바다거북 등딱지로 만든 대모고리를 꿰매어 띠를 그 고리에 끼운 다음 둘러서 앞에서 여미기도 한다. 담비나 쥐 등의 가죽으로 만들고 능(綾)이나 단(緞)으로 덧댄 배자를 털배자[毛褙子]라 하며, 주(紬)를 겹으로 만들어서 그 속에 솜을 쟁여 넣은 배자를 겹배자(裌褙子)라 한다.《금화경독기》[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