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걸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링크)
1번째 줄: 1번째 줄:
 
==정의==
 
<font color="red"></font><strong>붓걸이</strong>는 붓을 걸어 놓는 기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font>에 붓걸이의 종류와 재료 등에 대한 설명이 실려있다.
 
 
[[파일: 용모양붓걸이.jpg|500픽셀|썸네일|가운데|용모양붓걸이(국립중앙박물관)]]
 
<br/>
 
 
==내용==
 
《임원경제지 이운지》에 소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br/><br/>
 
<strong>옥붓걸이</strong>에는 산 모양이 있고, 누운 신선 모양이 있다. 옥으로 만든 새끼 고양이와 어미 고양이 모양의 오래된 붓걸이가 있는데, 길이가 0.6~0.7척이 다. 백옥으로 어미 고양이를 만들고 가로로 뉘여 앉혀 놓았으며, 그 몸에는 새끼 6마리를 업고 있어 그울퉁불퉁한 부분을 붓걸이로 썼다. 붓걸이는 순황 색이나 순흑색이 있고, 흑색과 백색이 섞인 것이 있으며, 황흑색을 띠며 대모(玳瑁)무늬인 것이 있다. 옥붓걸이는 옥의 얼룩진 곳을 취하여 형체를 만들었 다. 무늬가 서로 끌어안고, 달라붙고, 눈을 뜨고, 감싸는 형상을 띠어 여러 모양이 매우 아름다우니, 진실로 특별한 물건이다.<br/>
 
<strong>구리붓걸이</strong>에는 무쇠그릇에 2마리 교룡이 얽혀 있는 붓걸이가 있는데, 매우 정밀하다. 구리로 된봉우리 12개 모양 부분을 붓걸이로 쓴 옛것이 있었 고, 교룡 1마리의 울퉁불퉁한 부분을 붓걸이로 쓴것이 있었다.<br/>
 
<strong>자기붓걸이</strong>에는 가요(哥窯) <ref>가요(哥窯):중국 절강성(浙江省) 처주(處州)에 있던 도요지로, 송나라 5대 도요지로 꼽혔다.</ref> 에서 만든 산 3개나 5 개 모양이 있는데, 만드는 방법이 예스럽고 빛깔이 반들반들하다. 정요(定窯) <ref>정요(定窯):중국 하북성(河北省) 보정시(保定市) 곡양현(曲陽縣)에 있던 도요지로, 송나라 5대 도요지로 꼽혔다.</ref> 에서 만든 백자 붓걸이가 있는데, 이 붓걸이는 누운 꽃이나 어린아이 모양이고 밝은 백색을 띠며 정교하다.<br/>
 
<strong>나무붓걸이</strong>에는 늙은 나무뿌리와 가지가 구불구불 빙빙 감긴 수많은 모양이 있다. 길이는 0.5~0.7 척에 그치지만 굽은 모양이 실물처럼 움직이는 용의 비늘·뿔·발톱·이빨과 같은 모양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마치 용이 옥을 쥐고 노니는 듯하여 진실로 하늘이 만들어낸 붓걸이라 할 수 있다. 또 기남(棋 楠, 침향과 속향을 섞어 만든 향)·침향(沈香)·속향(速香)으로 만들어 사람의 힘을 빌린 것이 아니니, 더욱 얻기 어렵다.<br/>
 
<strong>돌붓걸이</strong>에는 뾰족한 봉우리의 울퉁불퉁한 부분을 붓걸이로 쓴 것이 있고, 용처럼 구불구불한 부분을 붓걸이로 쓴 것이 있는데, 도끼와 끌을 대지 않은 것이 빼어나다. 《동천청록》 <ref>출전 확인 안 됨</ref><br/><br/>
 
옥붓걸이를 만드는 옥으로는 오직 흑옥·백옥·낭간(琅玕) <ref>낭간(琅玕):중국에서 나는 옥으로, 진한 녹색이나 청록색을 띤다.</ref> 3종류만 있다. 옥은 반드시 새겨야 쓸 수있으니, 산봉우리가 수려하게 솟아오른 모양을 본떴으나 속되지 않아야 좋다. 또는 맷돌에 갈아 교룡을 만들면 더욱 좋다. 예전에 어떤 사대부가에서 옥으로 두 어린아이가 팔짱을 끼고 노는 모습으로 만든 붓걸이를 보았더니 얼굴은 희고 머리는 검으며, 다리는 붉고 배는 흰 형태로 붓걸이를 만들었는데, 매우 특이했다. 더러 밑동이 작은 산호로 붓걸이를 만들면 그 산호에 가지가 있어 붓걸이가 될 수 있다.《동천청록》<ref>《洞天淸錄集》 〈筆格辯〉 (《叢書集成初編》 1552, 17쪽).</ref><br/><br/>
 
구리붓걸이는 기이하면서 예스러운 것을 상품(上品)으로 친다. 그러나 옛날 사람들은 붓걸이를 사용한 적이 드물었다. 지금 보이는, 구리로 주조한 교룡이 똬리 튼 모양은 형태가 둥글고 가운데가 비어 있어 옛날 사람들이 이것으로 종이를 눌렀지, 붓걸이는 아니다. 《동천청록》<ref>《洞天淸錄集》, 위와 같은 곳.</ref><br/><br/>
 
돌붓걸이는 영벽석(靈壁石)<ref>영벽석(靈壁石):중국 안휘성(安徽省) 영벽현(靈壁縣)의 경석산(磬石山) 깊은 곳의 모래 속에서 나는 돌로, 모양이 특이하여 전국시대(戰國時代)부터 왕궁으로 진상되었다.</ref>·영석(英石)<ref>영석(英石):중국 광동성(廣東省) 영덕현(英德縣)의 계곡에서 나는 돌로, 색깔과 모양이 다양하여 수석이나 완상품으로 쓰였다.</ref>가운데 자연스레 산의 모양을 이룬 것이 쓸 만하다. 돌 아래에는 작고 주칠을 한, 높이 0.05척 정도의 받침대를 만드는데, 기이하고 아취가 있어 아낄 만하다.
 
《동천청록》<ref>《洞天淸錄集》, 위와 같은 곳.</ref><br/><br/>
 
예전에 저절로 산의 형세를 이룬 진사(辰砂)<ref>진사(辰砂):수은과 유황의 화합물로, 붉은색을 띤다. 한약재나 안료로 쓰였다. 주사(朱砂)·단사(丹砂)라 고도 한다.</ref>를사용하여 붓걸이를 만들고, 강진향(降眞香, 소방목으로 만든 향)으로 받침대를 만든 것을 본 적이 있는데, 매우 아취가 있었다. 《금화경독기》<ref>출전 확인 안 됨.</ref><br/><br/>
 
==참고문헌==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br/>
 
《洞天淸錄集》 , 趙希鵠 著 (《叢書集成初編》 1552, 商務印書館, 1936).<br/>
 
《金華耕讀記》, 徐有榘 (東京都立日比谷圖書館, 1959).<br/>
 
 
==링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4319&cid=46671&categoryId=46671 네이버 지식백과 e뮤지엄-붓걸이의 정의와 기능 및 특징]<br/>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749 국립중앙박물관-백자 청화 산 모양 붓걸이의 설명과 도해]<br/>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2120&cid=58721&categoryId=58726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국립민속박물관 - 문방도(文房圖)]<br/>
 
 
===관련 전거===
 
 
[http://db.itkc.or.kr/dir/item?itemId=JT#/dir/node?dataId=ITKC_JT_I0_A15_08A_24A_00030&solrQ=query%E2%80%A0%E7%AD%86%E6%9E%B6$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JT_AA$solr_toalCount%E2%80%A05$solr_curPos%E2%80%A04$solr_solrId%E2%80%A0BD_ITKC_JT_I0_A15_08A_24A_00030 조선왕조실록 > 성종실록 > 성종 15년 갑진 > 8월 24일]
 
 
성절사(聖節使)가 가져가는 별헌(別獻)의 물목(物目)은, 자주(紫紬) 10필(匹), 녹주(綠紬) 10필, 대홍주(大紅紬) 10필, 황주(黃紬) 10필 …… 토표피(土豹皮) 5장, <strong>상아조각채장 사자 필가(象牙彫刻彩粧獅子筆架)</strong> 1좌(座), <strong>상아조각채장 파산출수룡 필가(象牙彫刻彩粧巴山出水龍筆架)</strong> 1좌, 상아조각채장의 각양 인물(人物)ㆍ조수(鳥獸)ㆍ화과(花果)의 합아(盒兒)  ……  송자(松子) 2백 근, 인삼(人蔘) 50근이었다.<br/>
 
<br/>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0061A_0100_010_0500&solrQ=query%E2%80%A0%E7%AD%86%E6%9E%B6$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18$solr_curPos%E2%80%A02$solr_solrId%E2%80%A0BD_ITKC_BT_0061A_0100_010_0500 한국고전종합DB-사가시집 제9권-병가를 내다]<br/>
 
병가를 얻고 나니 되레 일이 없어 / 移病還無事<br/>
 
관도 안 쓴 채 안석 기대 있노라니 / 憑梧懶不冠<br/>
 
꽃향기는 <strong>붓걸이</strong>에 풍겨 들오고 / 花香侵<strong>筆架</strong><br/>
 
구름 그림자는 바둑판에 떨어지네 / 雲影落碁盤<br/>
 
까치가 울면 늘 손 오길 점치지만 / 鵲噪頻占客<br/>
 
개구리가 욺은 어찌 관을 위함이랴 / 蛙鳴豈爲官<br/>
 
편안하게 세속의 잡념을 잊으니 / 居然忘俗慮<br/>
 
세상맛은 한가로움이 제일일세 / 世味不如閑<br/><br/>
 
 
== DB정보 ==
 
  
  
 
==Definition==
 
==Definition==
 
+
<font color="red"></font><strong>붓걸이</strong>는 붓을 걸어 놓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font>에 붓걸이의 종류와 재료 등에 대한 설명이 실려있다.
붓걸이:붓을 걸어 놓는 기구.  
 
  
 
==Semantic Data==
 
==Semantic Data==
58번째 줄: 9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붓걸이]] || Object || 물품 || 붓걸이 || 필가(筆架) || 붓걸이 || 筆架 || a writing-brush rack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붓걸이 ||
+
| [[붓걸이]] || Object || 물품 || 문방도구 || 붓걸이(筆架) || 붓걸이 || 筆架 || a writing-brush rack ||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붓걸이 ||
 +
[[파일:침향나무붓걸이돌붓걸이.png|100픽셀]] [https://image.baidu.com/search/detail?ct=503316480&z=0&ipn=d&word=%E6%B2%88%E9%A6%99%20%E7%AC%94%E6%9E%B6&step_word=&hs=2&pn=54&spn=0&di=39050&pi=0&rn=1&tn=baiduimagedetail&is=0%2C0&istype=2&ie=utf-8&oe=utf-8&in=&cl=2&lm=-1&st=-1&cs=162326392%2C3393584648&os=1635818930%2C3811471037&simid=0%2C0&adpicid=0&lpn=0&ln=788&fr=&fmq=1598420318375_R&fm=result&ic=&s=undefined&hd=&latest=&copyright=&se=&sme=&tab=0&width=&height=&face=undefined&ist=&jit=&cg=&bdtype=0&oriquery=&objurl=http%3A%2F%2Fimg5.artron.net%2Fauction%2F2011%2Fart500608%2Fd%2Fart5006082594.jpg&fromurl=ippr_z2C%24qAzdH3FAzdH3Fw7vpt5g_z%26e3Bw6p65g_z%26e3BgjpAzdH3Frwt4wt-w6pcaamabdcl9&gsm=37&rpstart=0&rpnum=0&islist=&querylist=&force=undefined/파일:침향나무붓걸이돌붓걸이.png 한양도성 위키-파일:침향나무붓걸이돌붓걸이.png 페이지]
 +
<html><img width="120" src=""/></html>
 
|-
 
|-
 
|}
 
|}
66번째 줄: 19번째 줄:
 
===Additional Attributes===
 
===Additional Attributes===
  
* [[틀:물품정보]]
+
* [[틀:정보]]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붓걸이]]
+
| id || [[]]
|-
 
| 이칭/별칭 || [[필가]], [[필격]]
 
 
|-
 
|-
| 재질 || [[대나무]]
+
| 이칭/별칭 || [[]], [[]]
 
|-
 
|-
| 색상 || [[황색]]
+
| 구성품 || [[]], [[]]
 
|-
 
|-
 
|}
 
|}
86번째 줄: 37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문방사우]] || [[필가]] || [[hasPart]] ||
+
| [[]] || [[]] || [[hasComponent]] ||  
 
+
|-
 +
| [[]] || [[]] || [[hasComponent]] ||
 +
|-
 +
| [[]] || [[]] || [[hasComponent]] ||
 +
|-
 
|}
 
|}
  
97번째 줄: 52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0번째 줄: 6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134번째 줄: 81번째 줄:
  
 
===Temporal Relations===
 
===Temporal Relation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각주==
+
==Online Reference==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 해설 || 두산백과 ||  || ||
 +
|-
 +
| 해설 || 한국민족대백과 ||  || ||
 +
|-
 +
| 사료 || 임원경제지 ||  || ||
 +
|-
 +
| 참고 || 아시아경제 || || ||
 +
|-
 +
|}
 +
 
 +
* type: 해설, 사료,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Bibliography==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4||  풍석문화재단, 2019|| ||
 +
|-
 +
| 徐有榘 ||  《金華耕讀記》|| 東京都立日比谷圖書館, 1959|| ||
 +
|-
 +
|}
 +
 
 +
==Notes==
 +
 
 +
<references/>
 +
 
 +
==Semantic Network Graph==
  
[[분류:임원경제연구소]] [[분류:Object]] [[분류:물품]] [[분류:붓걸이]] [[분류:문방사우]] [[분류:임원경제지]] [[분류:이운지]] [[분류:김광명]]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Object]][[분류:Object-물품]][[분류:김광명]][[분류:임원경제지]][[분류:임원경제지-이운지]]

2020년 8월 26일 (수) 14:49 판


Definition

붓걸이는 붓을 걸어 놓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붓걸이의 종류와 재료 등에 대한 설명이 실려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붓걸이 Object 물품 문방도구 붓걸이(筆架) 붓걸이 筆架 a writing-brush rack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붓걸이

침향나무붓걸이돌붓걸이.png 한양도성 위키-파일:침향나무붓걸이돌붓걸이.png 페이지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
이칭/별칭 [[]], [[]]
구성품 [[]],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 [[]] hasComponent
[[]] [[]] hasComponent
[[]] [[]] hasComponent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두산백과
해설 한국민족대백과
사료 임원경제지
참고 아시아경제
  • type: 해설, 사료,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4 풍석문화재단, 2019
徐有榘 《金華耕讀記》 東京都立日比谷圖書館, 1959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