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전거)
1번째 줄: 1번째 줄:
  
==정의==
 
<font color="red"></font><strong>단선(團扇)</strong>은 납작하게 펴진 부채살에 종이나 깁(명주실로 짠 비단)을 붙여서 만든 둥근 모양의 부채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font>에 단선의 종류가 실려있다.
 
 
[[파일: 태극단선.jpg|500픽셀|썸네일|가운데|태극단선(국립중앙박물관)]]
 
<br/>
 
 
==내용==
 
《임원경제지 이운지》에 소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br/>
 
 
단선에는 <strong>지호(紙糊)부채(종이를 풀칠해서 만든 부채)</strong>가 있고, <strong>죽편(竹編)부채(대나무를 엮어 만든 부채)</strong>가 있다. 요즘에 새로 들여놓은 부채는, 그 죽멸(竹蔑, 얇게 깎은 대나무)이 종이처럼 얇고, 편직(編織, 엮어서 만든 짜임새)은 세밀하여, 제도가 정교하고 좋다. 다만 옻칠은 적당하지 않다. 가볍고 편리해서 휴대할 수 있다. 이런 방식과 모양처럼 만든 지호 부채도 좋은데, 다만 대나무 뿌리나 자단(紫檀)으로 된 빼어난 자루를 얻어야 아름다운 부채가 된다. 예전에는 거위 털로 만든 부채가 있었는데, 곧 <strong>우선(羽扇, 깃털부채)</strong>이니, 제도가 정교하고 치밀하다. 《준생팔전》<ref>《遵生八牋》 卷8 〈起居安樂牋〉 下 “晨氏怡養條” ‘遊具’(《遵生八牋校注》, 258쪽).</ref><br/><br/>
 
근래에 중국에서 만든 <strong>종엽선(棕葉扇, 종려나무 잎으로 만든 단선)</strong>은 죽멸로 부채 가장자리를 장식했는데, 자단이나 종려나무로 자루를 만든 부채가 좋다. 우리나라에서 만든 부채 중 대나무살에 종이를 풀칠한 다음 오동나무 잎 모양으로 만들어 검붉게 옻칠한 단선도 쓰기에 충분하다. 《금화경독기》<ref>출전 확인 안 됨.</ref><br/>
 
 
 
==참고문헌==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br/>
 
《遵生八牋校注》, 高濂 撰, 趙立勛 等 校注 (人民衛生出版社, 1994).<br/>
 
《金華耕讀記》, 徐有榘 (東京都立日比谷圖書館, 1959).<br/>
 
 
==링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4319&cid=46671&categoryId=46671 한국민족대백과사전-단선의 정의]<br/>
 
 
[https://ko.wikipedia.org/wiki/%EB%91%A5%EA%B8%80%EB%B6%80%EC%B1%84 위키백과-단선의 정의와 도해]<br/>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37550&cid=51293&categoryId=51293 네이버 지식백과 e뮤지엄-단선의 정의와 일반사항 및 특징]<br/>
 
 
===관련 전거===
 
 
[http://db.itkc.or.kr/dir/item?itemId=JT#/dir/node?dataId=ITKC_JT_C0_A15_05A_16A_00010&solrQ=query%E2%80%A0%E5%9C%98%E6%89%87$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JT_AA$solr_toalCount%E2%80%A07$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JT_C0_A15_05A_16A_00010 조선왕조실록 > 태종실록 > 태종 15년 을미 > 5월 16일]
 
 
임금의 탄신(誕辰)이었다. 가벼운 죄인을 석방하였으니, 정부(政府)의 청을 따른 것이었다. 충청도 도관찰사 우희열(禹希烈)이 둥근 살부채[輪扇]를 올렸으나, 이를 물리치며,<br/>
 
“나는 <strong>단선(團扇)</strong>만을 사용한다.”<br/>
 
하고, 승정원(承政院)으로 내려보냈다.<br/>
 
<br/>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0185B_0030_010_0330&solrQ=query%E2%80%A0%E5%9C%98%E6%89%87$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80$solr_curPos%E2%80%A02$solr_solrId%E2%80%A0BD_ITKC_BT_0185B_0030_010_0330 한국고전종합DB-고봉집-부채에 쓰다〔題扇〕]<br/>
 
쇠를 녹이는 햇볕에 땅도 찌는 듯 / 鑠景流空地欲蒸<br/>
 
한낮이라 땀을 뿌리며 파리에 지친다 / 午窓揮汗困多蠅<br/>
 
저 부채가 청풍을 끌어 올 줄 아니 / 憐渠解引淸風至<br/>
 
어찌 곤륜산의 얼음을 밟을 필요 있겠는가 / 何必崑崙更踏氷<br/><br/>
 
 
<strong>둥근 부채</strong> 바람이 잘 일어나니 / <strong>團扇</strong>生風足<br/>
 
가을이 오면 너는 어이하리 / 秋來奈爾何<br/>
 
그대를 위해 많은 느낌 있나니 / 爲君多少感<br/>
 
차고 더움이란 본래 같지 않다네 / 寒熱不同科<br/><br/>
 
 
== DB정보 ==
 
  
 
==Definition==
 
==Definition==
 
+
<font color="red"></font><strong>안장</strong>은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font>에 실려있다.
단선(團扇):납작하게 펴진 부채살에 종이나 깁(명주실로 짠 비단)을 붙여서 만든 둥근 모양의 부채.  
 
  
 
==Semantic Data==
 
==Semantic Data==
57번째 줄: 11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단선]] || Clothing || 복식, 복장 || 부채 || 단선(團扇) || 둥글부채 || 團扇 ||  a round fan ||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단선||
+
| [[]] || Object || 물품 || || || || ||  ||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 ||
 
<html><img width="120" src=""/></html>
 
<html><img width="120" src=""/></html>
 
|-
 
|-
64번째 줄: 18번째 줄:
 
===Additional Attributes===
 
===Additional Attributes===
  
* [[틀:복식정보]]
+
* [[틀:정보]]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단선]]
+
| id || [[]]
|-
 
| 이칭/별칭 || [[부채]], [[둥글부채]]
 
 
|-
 
|-
| 재질 || [[종이]], [[풀반죽]], [[대나무]], [[깃털]], [[종려나무잎]]
+
| 이칭/별칭 || [[]], [[]]
 
|-
 
|-
| 사용자 || [[사대부]]
+
| 구성품 || [[]], [[]]
 
|-
 
|-
 
|}
 
|}
84번째 줄: 36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여름]] || [[단선]] || [[hasPart]] ||  ||
+
| [[]] || [[]] || [[hasComponent]] ||  
 
|-
 
|-
| [[장식품]] || [[단선]] || [[hasPart]] ||  ||
+
| [[]] || [[]] || [[hasComponent]] ||  
 
|-
 
|-
| [[]] || [[]] || [[]] ||  ||
+
| [[]] || [[]] || [[hasComponent]] ||  
|-
 
| [[]] || [[]] || [[]] ||  ||
 
|-
 
| [[]] || [[]] || [[]] ||  ||
 
 
|-
 
|-
 
|}
 
|}
103번째 줄: 51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번째 줄: 60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Data==
147번째 줄: 85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각주==
+
==Online Reference==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 해설 || 두산백과 ||  || ||
 +
|-
 +
| 해설 || 한국민족대백과 ||  || ||
 +
|-
 +
| 사료 || 임원경제지 ||  || ||
 +
|-
 +
| 참고 || 아시아경제 || || ||
 +
|-
 +
|}
 +
 
 +
* type: 해설, 사료,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Bibliography==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4||  풍석문화재단, 2017|| ||
 +
|-
 +
| 徐有榘 ||  《金華耕讀記》|| 東京都立日比谷圖書館, 1959|| ||
 +
|-
 +
|}
 +
 
 +
==Notes==
 +
 
 +
<references/>
 +
 
 +
==Semantic Network Graph==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Clothing]] [[분류:복식]] [[분류:부채]] [[분류:임원경제지]] [[분류:이운지]] [[분류:김광명]]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Object]][[분류:Object-물품]][[분류:김광명]][[분류:임원경제지]][[분류:임원경제지-섬용지]]

2020년 8월 26일 (수) 14:05 판


Definition

안장은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에 실려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 Object 물품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
이칭/별칭 [[]], [[]]
구성품 [[]],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 [[]] hasComponent
[[]] [[]] hasComponent
[[]] [[]] hasComponent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두산백과
해설 한국민족대백과
사료 임원경제지
참고 아시아경제
  • type: 해설, 사료,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4 풍석문화재단, 2017
徐有榘 《金華耕讀記》 東京都立日比谷圖書館, 1959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