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료:강진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내용== 강진향(降眞香)<ref>강진향(降眞香):콩과에 속하는 식물인 강향단(降香檀)의 속살이다. 강향(降香)이라고도 한다.</ref><br> 《향보...)
 
 
3번째 줄: 3번째 줄:
 
《향보》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신선전(神仙傳)》에, ‘이 향을 피우면 학이 그 향에 이끌려 내려온다.’라 했다. 성신(星辰)에 제사를 지낼 때 이 향을 피우면 제일 좋다. 어린아이가 이 향을 휴대하면 나쁜 기운을 피할 수 있는데, 그 향기가 소방목(蘇方木)<ref>소방목(蘇方木):콩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인도·말레이시아·중국 남부 지역에 분포한다. 소목(蘇木)·소방(蘇枋)·적목(赤木) 등의 이칭이 있다.</ref>과 비슷하다. 향을 피우는 처음에는 향이 진하지 않다가 여러 향을 섞게 되면 특히 좋아진다.”<ref>신선전(神仙傳)에서……좋아진다:《香譜》 卷上 〈香之品〉 “降眞香”(《叢書集成初編》1481, 5쪽).</ref>
 
《향보》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신선전(神仙傳)》에, ‘이 향을 피우면 학이 그 향에 이끌려 내려온다.’라 했다. 성신(星辰)에 제사를 지낼 때 이 향을 피우면 제일 좋다. 어린아이가 이 향을 휴대하면 나쁜 기운을 피할 수 있는데, 그 향기가 소방목(蘇方木)<ref>소방목(蘇方木):콩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인도·말레이시아·중국 남부 지역에 분포한다. 소목(蘇木)·소방(蘇枋)·적목(赤木) 등의 이칭이 있다.</ref>과 비슷하다. 향을 피우는 처음에는 향이 진하지 않다가 여러 향을 섞게 되면 특히 좋아진다.”<ref>신선전(神仙傳)에서……좋아진다:《香譜》 卷上 〈香之品〉 “降眞香”(《叢書集成初編》1481, 5쪽).</ref>
 
《준생팔전》에는 “자색으로 실한 향이 좋다. 이 향을 차로 달여서 기름기를 빼고 나서 피운다.”<ref>자색으로……피운다:《遵生八牋》 卷15 〈燕閒清賞牋〉 中 “論香” ‘日用諸品香目’(《遵生八牋校注》, 600쪽).</ref>라 했다.
 
《준생팔전》에는 “자색으로 실한 향이 좋다. 이 향을 차로 달여서 기름기를 빼고 나서 피운다.”<ref>자색으로……피운다:《遵生八牋》 卷15 〈燕閒清賞牋〉 中 “論香” ‘日用諸品香目’(《遵生八牋校注》, 600쪽).</ref>라 했다.
<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66~367쪽.</ref><br>
+
<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65~366쪽.</ref><br>
  
  
 
==각주==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향(香)]]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향(香)]]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2월 5일 (토) 19:11 기준 최신판

내용

강진향(降眞香)[1]
《향보》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신선전(神仙傳)》에, ‘이 향을 피우면 학이 그 향에 이끌려 내려온다.’라 했다. 성신(星辰)에 제사를 지낼 때 이 향을 피우면 제일 좋다. 어린아이가 이 향을 휴대하면 나쁜 기운을 피할 수 있는데, 그 향기가 소방목(蘇方木)[2]과 비슷하다. 향을 피우는 처음에는 향이 진하지 않다가 여러 향을 섞게 되면 특히 좋아진다.”[3] 《준생팔전》에는 “자색으로 실한 향이 좋다. 이 향을 차로 달여서 기름기를 빼고 나서 피운다.”[4]라 했다. [5]


각주

  1. 강진향(降眞香):콩과에 속하는 식물인 강향단(降香檀)의 속살이다. 강향(降香)이라고도 한다.
  2. 소방목(蘇方木):콩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인도·말레이시아·중국 남부 지역에 분포한다. 소목(蘇木)·소방(蘇枋)·적목(赤木) 등의 이칭이 있다.
  3. 신선전(神仙傳)에서……좋아진다:《香譜》 卷上 〈香之品〉 “降眞香”(《叢書集成初編》1481, 5쪽).
  4. 자색으로……피운다:《遵生八牋》 卷15 〈燕閒清賞牋〉 中 “論香” ‘日用諸品香目’(《遵生八牋校注》, 600쪽).
  5.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65~36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