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 |
| ==각주== | | ==각주==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류:다구(茶具)]][[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다경]][[분류:준생팔전]] [[분류:민철기]]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류:다구(茶具)]][[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다경]][[분류:준생팔전]]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
2020년 10월 19일 (월) 15:17 기준 최신판
내용
탄과(炭檛, 숯 망치)
쇠로 육각 모양으로 만들고, 길이는 1척이다. 윗부분은 날카롭게, 중간 부분은 두툼하게, 손잡이는 가늘게 하고, 손잡이 끝 부분에는 1개의 작은 고리를 달아 탄과를 장식한다. 마치 지금 하롱(河隴)[1] 지역의 군인들이 갖고 있는 나무방망이를 닮았다. 때로는 쇠망치 모양으로 만들거나 도끼 모양으로 만들기도 하는데 그때의 편의에 따라 만든다.[2]
각주
- ↑ 하롱(河隴):중국 고대의 지명으로 하서(河西)와 농우(隴右)를 함께 가리킨다. 현재 감숙성(甘肅省) 서부 지역인 돈황(敦煌)·가곡관(嘉峪關)·무위(武威)·금창(金昌) 등을 포함한다.
- ↑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9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