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1번째 줄: 1번째 줄:
  
  
==정의==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창[牕牖])</strong>는 공기나 햇빛을 받을 수 있고,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벽이나 지붕에 낸 문이다. 창유(窓牖)·창문(窓門)이라고도 한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怡雲志)》</font>에 중국과 우리나라의 창의 제도와 종류가 실려있다.
 
<font color="red"></font><strong>창[牕牖])</strong>는 공기나 햇빛을 받을 수 있고,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벽이나 지붕에 낸 문이다. 창유(窓牖)·창문(窓門)이라고도 한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怡雲志)》</font>에 중국과 우리나라의 창의 제도와 종류가 실려있다.
  
[[파일: 분합문.jpg|500픽셀|썸네일|가운데|분합문(分閤門)(국립중앙박물관)]]<br/><br/>
+
[[파일: 분합문.jpg|300픽셀|가운데|분합문(分閤門)(국립중앙박물관)]]
 
 
섬용지 권1 143쪽~
 
==Online Referen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임원경제지 || 가산 만드는 법 || || [[이운지:형비포치:가산 만드는 법]]
 
|-
 
| 참고 || 태종실록 || 가산을 만들다 || || [[태종:기축/03/02]]
 
|-
 
| 참고 || 정조실록 || 가산을 철거하고 수강재를 세우다 || || [[정조:을사/08/27]]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참고문헌==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br/>
 
《金華耕讀記》, 徐有榘 (東京都立日比谷圖書館, 1959).<br/>
 
 
 
 
 
==링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02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가산의 정의]<br/>
 
 
 
[http://ko.wikipedia.org/wiki/%EA%B0%80%EC%82%B0_(%EC%9D%B8%EA%B3%B5_%EC%82%B0) 위키백과-가산의 정의 및 사례]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507&index_id=cp05070027&content_id=cp050700270001&search_left_menu=2 문화콘텐츠닷컴-창덕궁 조경이야기 - 가산(假山)과 괴석(怪石)]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ccani&logNo=220451691787&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고려시대 궁궐 조경 - 가산의 사례]
 
 
 
[http://www.gyeongnam.go.kr/gonggam/index.gyeong?menuCd=DOM_000001508000000000&ggSeq=33519&ggVolumeAndNewOldStatus=580:OLD 경남 함안 무기연당 - 가산과 연못]
 
 
 
 
 
 
 
===관련 전거===
 
 
 
[http://db.itkc.or.kr/dir/item?itemId=JT#/dir/node?dataId=ITKC_JT_C0_A09_03A_02A_00010&solrQ=query%E2%80%A0%E5%81%87%E5%B1%B1$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JT_AA$solr_toalCount%E2%80%A010$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JT_C0_A09_03A_02A_00010 조선왕조실록 > 태종실록 > 태종 9년 기축 > 3월 2일]
 
 
 
종묘(宗廟)의 남쪽에 <strong>가산(假山)</strong>을 증축(增築)하였다.<br/>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0215A_0030_040_0060&solrQ=query%E2%80%A0%E5%81%87%E5%B1%B1$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169$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BT_0215A_0030_040_0060 한국고전종합DB-간이집-애산당기(愛山堂記)]
 
 
 
그리고 지팡이를 짚고 만보(漫步)하면서 서로 대할 수 있는 산이라고 해야 관악(冠岳)밖에는 있지 않은데, 관악으로 말하면 그저 땅 위로 솟아오른 하나의 범상한 흙덩어리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게다가 거리 역시 가깝지가 않고 마냥 멀기만 하니, 아침과 저녁에 따라 변하는 모습이나 날이 흐리고 맑은 데 따라 다르게 보이는 산의 모습은 비록 볼 수가 있다 할지라도, 그 진면목을 직접 자세히 살피면서 멋진 경치를 음미할 도리는 전혀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러니 실제로는 상공이 산을 사랑한다는 말을 어떻게 이해할 수가 있겠는가.
 
그러면서도 또 상공은 배공(裴公)이 바윗돌을 끌어모아 산의 모양을 만들고는 산골짜기와 같은 분위기가 우러나오도록 조성한 그 솜씨를 은근히 과시하면서 직접 답사하지 못하는 한스러움을 보상받으려고 한 옛일을 결코 본받으려 하지도 않고 있다. 이 점이야말로 상공과 배공이 모두 산을 사랑하면서도 그 뜻은 달리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대목이라 하겠는데, 하여튼 이 문제는 잠시 접어두고라도 <strong>가산(假山)</strong>과 같은 것을 만들 생각을 어떻게 대신(大臣)이 된 입장에서 할 수가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 것 또한 어쩔 수 없는 사실이라 하겠다.
 
무릇 대신(大臣)이라고 한다면, 나라가 편안해져야 자신도 더불어 편안하게 느끼고 나라가 위태로울 경우에는 더불어 그 위태로움을 같이하며, 다른 사람들이 근심하기에 앞서 자신이 먼저 근심하고 모든 사람들이 즐거워하게 된 뒤에야 자신도 즐거워하는 그런 자세를 몸에 지니고 있어야 할 것이다.<ref> 조선시대 문인들의 문집을 살펴보면, 권력을 잡은 신하들이 자신의 저택에 사사로이 가산을 조성하는 풍조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견해가 간혹 보인다.</ref><br/><br/>
 
 
 
 
 
== DB정보 ==
 
 
 
==Definition==
 
 
 
가산(假山):정원을 장식하기 위해 돌을 모아 쌓아서 인공적으로 만든 작은 산.
 
 
 
  
 
==Semantic Data==
 
==Semantic Data==
70번째 줄: 13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가산]] || Architecture || 건조물 || 수석, 태호석 || 가산(假山) || 가산 ||   假山    || rockery ||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title=가산 ||
+
| [[]] || Architecture || 건축부품 || 창문 || || 창문 || 牕牖 || window ||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title=||
 
<html><img width="120" src=""/></html>
 
<html><img width="120" src=""/></html>
 
|-
 
|-
82번째 줄: 25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가산]]
+
| id || [[]]
|-
 
| 이칭/별칭 || [[석가산(石假山)]]
 
 
|-
 
|-
| 구성품 || [[나무]], [[연못]], [[수석]], [[태호석]], [[금붕어]]
+
| 이칭/별칭 || [[창유(窓牖)]], [[창문(窓門)]]
 
|-
 
|-
| 사용자 || [[남녀]],
+
| 구성품 || [[나무]], [[종이]]
 
|-
 
|-
 
|}
 
|}
97번째 줄: 38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가산]] || [[연못]] || [[hasPart]] || 세운다 ||
+
| [[]] || [[가옥]] || [[hasComponent]] ||  
 +
|-
 +
| [[창]] || [[벽]] || [[hasComponent]] ||  
 
|-
 
|-
 
+
| [[창]] || [[지붕]] || [[hasComponent]] ||
 
|-
 
|-
 
|}
 
|}
  
==Spatial Data==
+
==Online Reference==
 
 
===Spactial Information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해설 || 두산백과 || 창호[fittings, 窓戶]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5843&cid=40942&categoryId=32339]
 
|-
 
|-
|}
+
| 해설 || 한국민족대백과 || 창호(窓戶)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2812&cid=46656&categoryId=46656]
 
 
===Spati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사료 || 임원경제지 || 창의 제도 및 종류 || || [[섬용지:영조지제:창]]
 
|-
 
|-
| || ||
+
| 참고 || 아시아경제 || 창호(窓戶)는 자연과 소통 창구||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32500132385337] 
 
|-
 
|-
| || ||
+
| 참고 || 네이버 블로그 || 조선시대 건축과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임원경제지 || || [https://blog.naver.com/pungseok/220442948528]
 
|-
 
|-
 
|}
 
|}
  
 +
* type: 해설, 사료,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Spatial Data==
  
==Temporal Data==
+
===Spactial Information Nodes===
 
 
===Temporal Information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
===Spati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Architecture]][[분류:정원]][[분류:연못]][[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분류:민철기]]
 

2020년 7월 20일 (월) 14:05 판


Definition

창[牕牖])는 공기나 햇빛을 받을 수 있고,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벽이나 지붕에 낸 문이다. 창유(窓牖)·창문(窓門)이라고도 한다.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중국과 우리나라의 창의 제도와 종류가 실려있다.

분합문(分閤門)(국립중앙박물관)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Architecture 건축부품 창문 창문 牕牖 window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title=창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이칭/별칭 창유(窓牖), 창문(窓門)
구성품 나무, 종이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가옥 hasComponent
hasComponent
지붕 hasComponent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두산백과 창호[fittings, 窓戶] [1]
해설 한국민족대백과 창호(窓戶) [2]
사료 임원경제지 창의 제도 및 종류 섬용지:영조지제:창
참고 아시아경제 창호(窓戶)는 자연과 소통 창구 [3]
참고 네이버 블로그 조선시대 건축과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임원경제지 [4]
  • type: 해설, 사료,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