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료:빈랑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내용== 빈랑태(檳榔苔)218 《계해우형지》에는 “빈랑태는 서남쪽 바다의 섬에서 난다. 빈랑나무에서 자라고 소나무 몸통의 애납과 비슷...)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빈랑태(檳榔苔)218
+
빈랑태(檳榔苔)<ref>빈랑태(檳榔苔):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종려나무의 일종인 빈랑나무에서 자라는 이끼. 빈랑나무 열매는 빈랑자라 하며 약재로 쓰인다.</ref> <br>
《계해우형지》에는 “빈랑태는 서남쪽 바다의 섬에서 난다. 빈랑나무에서 자라고 소나무 몸통의 애납과 비슷하며 향 하나를 피워도 그 향기가 지극하다. 교지(交趾)219 사람들이 쓸 때는 니향(泥香, 향이 섞인 진흙)과 섞어서 사용하면 곧 따뜻한 향기를 이룰 수 있는데, 그 효과가 갑향(甲香, 아래 참조)과 비슷하다.”220라 했다.
+
《계해우형지》에는 “빈랑태는 서남쪽 바다의 섬에서 난다. 빈랑나무에서 자라고 소나무 몸통의 애납과 비슷하며 향 하나를 피워도 그 향기가 지극하다. 교지(交趾)<ref>교지(交趾):중국 남부 광동성과 베트남 북부에 걸쳐 있던 교지국(交趾國) 영역.</ref>사람들이 쓸 때는 니향(泥香, 향이 섞인 진흙)과 섞어서 사용하면 곧 따뜻한 향기를 이룰 수 있는데, 그 효과가 갑향(甲香, 아래 참조)과 비슷하다.”<ref>서남쪽……비슷하다:출전 확인 안 됨.</ref>라 했다.
218 빈랑태(檳榔苔):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종려나무의 일종인 빈랑나무에서 자라는 이끼. 빈랑나무 열매는 빈랑자라 하며 약재로 쓰인다.
+
<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69쪽.</ref><br>
219 교지(交趾):중국 남부 광동성과 베트남 북부에 걸쳐 있던 교지국(交趾國) 영역.
 
수 있는데, 그 효과가 갑향(甲香, 아래 참조)과 비슷하다.”220라 했다.
 
<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70쪽.</ref><br>
 
 
==각주==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향(香)]]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향(香)]]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2월 6일 (일) 00:44 기준 최신판

내용

빈랑태(檳榔苔)[1]
《계해우형지》에는 “빈랑태는 서남쪽 바다의 섬에서 난다. 빈랑나무에서 자라고 소나무 몸통의 애납과 비슷하며 향 하나를 피워도 그 향기가 지극하다. 교지(交趾)[2]사람들이 쓸 때는 니향(泥香, 향이 섞인 진흙)과 섞어서 사용하면 곧 따뜻한 향기를 이룰 수 있는데, 그 효과가 갑향(甲香, 아래 참조)과 비슷하다.”[3]라 했다. [4]

각주

  1. 빈랑태(檳榔苔):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종려나무의 일종인 빈랑나무에서 자라는 이끼. 빈랑나무 열매는 빈랑자라 하며 약재로 쓰인다.
  2. 교지(交趾):중국 남부 광동성과 베트남 북부에 걸쳐 있던 교지국(交趾國) 영역.
  3. 서남쪽……비슷하다:출전 확인 안 됨.
  4.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