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건물 짓는 제도:흙손질:장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각주== | ==각주== |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Architecture]][[분류: 건조물]][[분류: 흙손질]][[분류: 장벽]][[분류: 금화경독기]][[분류: 인박]][[분류: 하인방]][[분류: 중박]][[분류: 중인방]][[분류: 박]][[분류: 벽대]][[분류: 중방]][[분류: 인방]][[분류: 가시새]][[분류: 들보]][[분류: 물푸레나무]][[분류: 싸리나무]][[분류: 설외]][[분류: 누울외]][[분류: 새벽흙]][[분류: 말똥]][[분류: 새끼줄]][[분류: 솜옷]][[분류: 혜홍]][[분류: 화방벽]][[분류: 회록]][[분류: 캉]][[분류: 둥근 창]][[분류: 머름]][[분류: 격자창]][[분류: 장지문]][[분류: 창호지]][[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분류: 정명현]]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Architecture]][[분류: 건조물]][[분류: 흙손질]][[분류: 장벽]][[분류: 금화경독기]][[분류: 인박]][[분류: 하인방]][[분류: 중박]][[분류: 중인방]][[분류: 박]][[분류: 벽대]][[분류: 중방]][[분류: 인방]][[분류: 가시새]][[분류: 들보]][[분류: 물푸레나무]][[분류: 싸리나무]][[분류: 설외]][[분류: 누울외]][[분류: 새벽흙]][[분류: 말똥]][[분류: 새끼줄]][[분류: 솜옷]][[분류: 혜홍]][[분류: 화방벽]][[분류: 회록]][[분류: 캉]][[분류: 둥근 창]][[분류: 머름]][[분류: 격자창]][[분류: 장지문]][[분류: 창호지]][[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분류: 정명현]][[분류: 임원텍스트]] |
2020년 10월 30일 (금) 13:49 기준 최신판
내용
2) 장벽[1]
집의 네 벽을 ‘장벽’이라 하는데, 우리나라의 장벽은 성글고 얇은 점이 몹시 걱정된다. 그 제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박(引欂, 하인방)과 중박(中欂, 중인방)을 설치한다.【주추 윗부분에서 두 기둥 사이에 박(欂) 하나를 가로로 놓는 부재(部材)를 인박이라 하고, 기둥의 높이를 나누어 한가운데에 박 하나를 가로로 놓는 부재를 중박이라 한다.】 【안 박(欂)은 벽대(壁帶)로, 음이 박(博)이다. 지금 사람들이 중박을 중방(中枋), 인박을 인방(引枋)으로 부르는데, 이는 음이 와전
되어 그런 것이다.[2]】 그런 다음 ‘가시새[棘塞]’[3]를 박는다.【들보[4]에서 중박까지와 중박에서 인박까지, 모두 가는 나무줄기를 0.7~0.8척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세워 박는데, 민간에서는 이를 ‘가시새’라 한다.】
손가락 굵기의 물푸레나무 가지【싸리나무나 기타 잡목도 모두 괜찮다.】를 가시새에 의지해 가로세로로 얽어 마름모 모양을 만들고 이를 새끼줄로 단단히 묶는다.[5] 그런 뒤에 누런 찰흙 반죽으로 그 속을 먼저 흙손질하고 다 마르기를 기다려 그 바깥과 합쳐 흙손질한다. 안팎의 반죽이 모두 마르면 새벽흙에 말린 말똥을 개어 그 위에다 얇게 흙손질한다. 이것이 우리나라 장벽의 제도이다.
마름모 모양의 크기가 하나라도 고르지 않으면 바른 흙이 울퉁불퉁 고르지 않고, 새끼줄이 썩어 물푸레나무 가지가 들뜨면 온 벽이 모두 헛된 공간만 차지하게 된다. 또 흙이 마르고 나무가 수축하면서 벽과 기둥이 서로 분리되면 벽의 사방 경계에 금이 가서 새어 들어오는 바람을 막지 못한다.
게다가 벽 말릴 때 허송세월하는 일이 가장 걱정된다. 수십 일 해가 쨍쨍하지 않거나 건조한 바람이 불지 않으면 벽이 쉽게 마르지 않기 때문이다. 혹시 몹시 서두르다 일을 허술하게 하여 안팎의 벽이 다 마르기를 기다리지 않고 급히 새벽흙을 흙손질하면, 도배지에 곰팡이가 슬면서 벽도 따라서 깎여 떨어져 나간다.
또 벽 두께가 몇 치를 넘지 않으니 바람이나 한기가 쉽게 들어온다. 솜옷이 꺾일 정도의 혹독한 추위 때마다[6] 방 안의 온기와 밖의 냉기가 서로 부딪히면 창과 벽 위에 서리나 얼음이 맺히게 되는데, 이것이 녹을 때 벽에 바른 종이도 녹아 풀어지면서 벽도 따라서 깎여 떨어져 나간다.
간혹 기와 조각과 부순 자갈을 진흙 반죽과 섞어 쌓아 올리기도 하는데, 이를 ‘화방벽(火防壁)’이라 한다. 흙벽에 비해 상당히 바람을 잘 막을 수 있으나 진흙 반죽의 두께가 손가락 길이 남짓하여 벌레나 쥐가 구멍 뚫는 사태를 막지 못하기 때문에 온돌 근처에 이런 구멍이 하나라도 있으면 순간적으로 쉽게 불을 끌어들인다. 인가의 화재[7]는 대부분 이곳에서 일어나니 역시 좋은 방법이 아니다.
내 생각에 방의 제도는 쉽게 갑자기 바꿀 수는 없지만, 동・서・북 삼면은 대략 캉 제도를 본받아 벽돌로 장벽을 쌓고 둥근 창을 내야 한다. 남쪽 칸은 창 낼 곳이 많아 벽돌로 쌓을 수 없다. 그렇다면 창턱 아래는 지금의 풍속대로 나무 난간【민간에서는 ‘머름[末蔭]’[8]이라 한다.】을 설치하고, 창 좌우 및 윗벽은 모두 나무판으로 촘촘히 배열하여 벽을 만든다. 벽 가운데에는 가는 나무막대를 가지고서 가로·세로로 격자창을 만들고 지금의 장지문[9] 만드는 법처럼 두꺼운 창호지로 바르면, 방풍과 제습 효과가 흙벽보다 훨씬 좋다.《금화경독기》[10]
각주
- ↑ 장벽(墻壁):본래 담과 벽을 아울러 말하는 담벼락이라는 뜻이나, 여기서는 방의 벽을 가리킨다고 서유구가 명시했기에 풀지 않고 용어로 남겨 둔다. 담장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소개한다.
- ↑ 중방과 인방에 대해서는 ‘벽대’에 관한 주를 참조 바람.
- ↑ 가시새[棘塞]:사전에서는 벽 바탕을 붙이기 위하여 기둥이나 중깃에 작은 구멍을 내어서 건너지른 수평재를 말한다고 풀이했으나, 여기서는 가로 방향이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 박는다고 했다.
- ↑ 들보:원문의 ‘棟梁’을 옮긴 말이다. ‘棟梁’은 본래 ‘마룻대와 들보’라는 뜻이나, 여기서는 들보로 이해해야 한다.
- ↑ 이때 세로로 얽은 나무를 ‘설외’(또는 선외, 세로외)라고 하고, 가로로 얽은 나무를 ‘누울외’(또는 가로외, 누운외)라고 한다.
- ↑ 솜옷이……때마다[每當折綿之威]:혜홍(惠洪, 1071~?)의 시에 “차가운 서릿바람에 솜옷이 꺾이고 뺨이 다 어는데, 사람 없는 긴 회랑에는 잎사귀만 휘날리네.(霜威折綿寒入頰, 長廊無人風卷葉)”라는 구절이 있다.
- ↑ 화재:원문의 ‘회록지재(回祿之災)’를 옮긴 것으로, ‘회록(回祿)’은 불을 관장하는 신이다.
- ↑ 머름[末蔭]:창 밑의 하인방과 창턱 사이에 머름동자를 세우고 널(머름착고판)로 막아 댄 부분. ‘遠音(머름)’이라고도 쓴다.
- ↑ 장지문:아래 ‘장지문’ 조목 참조.
- ↑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풍석문화재단, 2016), 129~13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