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황다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송황다식(松黃茶食, 송화가루다식) 만들기(송황다식방)==
+
==Definition==
송화는 피었는가 싶으면 바로 꽃가루가 날려 떨어지므로 거두기가 어렵다. 그러니 막 피려고 하면 가지째로 꺾어 깨끗한 자리 위에 펴고 볕에 말린다. 저절로 떨어지는 꽃을 취하고 수비(水飛)<ref> 수비(水飛):곡식의 가루나 그릇을 만드는 흙 따위를 물속에 넣고 휘저어 잡물을 없애는 일.</ref>한 뒤 볕에 말렸다가 꿀에 반죽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찍어낸다.《증보산림경제》<ref> 《增補山林經濟》 卷8 〈餠麪諸品〉 “松黃茶食法”(《農書》4, 39쪽).</ref><br/><br/>
+
<font color="red"></font><strong>송황다식(松黃茶食)</strong>은 송화가루로 만든 다식이다.<br/>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정조지(林園經濟志 鼎俎志)》</font>에 송황다식 만드는 방법이 실려있다.
  
-----------------------------------------
 
  
임홍(林洪)35)<ref>임홍(林洪) : ?~?. 중국 남송(南宋)의 시인. 요리책인 《 산가청공(山家淸供) 》 의 저자.</ref>의 《 산가청공(山家淸供) 》 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한가할 때 진평사(陳評事)<ref> 진평사(陳評事) : 《 산가청공 》 에 “대리시(大理寺) 평사(評事) 진추암(陳秋巖)”이라고 기재된 대로라면 형옥을 담당하던 대리시의 평사인 추암(秋巖) 진공(陳公)인데, 자세한 사항은 확인되지 않는다.</ref>를 방문하였다. 술을 한 잔 하고 있는데, 아이 둘이 나와서는 도잠(陶潛)<ref>도잠(陶潛) : 365~427. 중국 동진(東晉)의 시인. 자(字)는 무량(无亮),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일명 연명(淵明). 41세 때 팽택(彭澤) 현령(縣令)을 끝으로 벼슬하지 않고 글을 쓰며 살았다. 그의 시 뿐 아니라 《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 》·《 도화원기(桃花源記) 》 등 산문도 유명하다.</ref>의 〈 귀거래사(歸去來辭) 〉)<ref>귀거래사(歸去來辭) : 도잠이 지은 사(辭). 41세 때 관직을 버리고 고향인 시골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시로, 세속과의 결별을 진술한 선언문이기도 하다.</ref>를 부르며 송황병(松黃餠, 송화다식)을 안주로 내오니, 사람으로 하여금시원하게 산림의 흥취를 일으키게 했다. 봄이 와서송화가 누렇게 피면 이걸 가지고 떡모양으로 찍어 만든다. 향과 맛뿐만이 아니라 몸에 유익함 있다.<ref>한가할……있다 : 《 山家淸供 》 〈 松黃餠 〉 ( 《 叢書集成初編 》 1473, 8~9쪽).</ref> 소공(蘇恭)<ref>소공(蘇恭) : 599~674. 중국 당(唐)나라의 의학자. 본래 이름은 소경(蘇敬)인데 개명했다. 《 당본초(唐本草) 》 의 저자이다.</ref>의 《 당본초(唐本草) 》 <ref>당본초(唐本草) : 중국 당(唐)나라 소경(蘇敬) 등이 659년에 지은 《 신수본초(新修本草) 》. 《 본초경집주(本草經集注) 》 를 바탕으로 삼고 더 나아가 수(隋)·당(唐) 이래의 새로운 약물을 덧붙이고 잘못된 부분들을 바로잡아 다시 엮은 것이다.</ref>에도 “송화에는 몸을 가볍게 하고 병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어서 껍질이나 잎 및 송진처럼 그 약효가 우수하다.”<ref>몸을……우수하다 : 《 本草綱目 》 卷34 〈 木部 〉 “松” ‘松花”, 1922쪽.</ref>라했다. 옛날 사람들이 이 송화다식을 귀하고 소중하게 여긴 까닭은, 이것이 이와 같이 산림의 고아한 음식으로 상에 올릴 만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송황은 오렵송(五鬣松))<ref>오렵송(五鬣松) : 한 촉에 다섯 잎이 나는 소나무.</ref>의 꽃가루가 좋다. 이 꽃 가루는 색은 약간 더 희고 맑은 향은 2배이다.<br/><br/>
+
==Semantic Data==
  
-----------------------------------------
+
===Node Description===
  
우리나라에서는 회양(淮陽)<ref>회양(淮陽) : 강원도 회양군(淮陽郡) 일대. 북한에 속해 있다.</ref>에서 나는 송화가 마땅히 천하제일이다. 꿀로 반죽할 때 설탕가루를 약간 넣으면 더욱 좋다. 포황(蒲黃)<ref>포황(蒲黃) : 부들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부들의 꽃가루.</ref>도 이 방법에 따라만들 수 있다. 《 옹치잡지 》 )<ref>출전 확인 안 됨.</ref><br/><b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송황다식]] || food || 음식 || 다식 || 송황다식(松黃茶食) || 송황다식 ||  松黃茶食||  pine pollen dasik  ||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title=송황다식 ||
 +
[[파일:송화 핀 모습.jpg|300픽셀|섬네일|송화 핀 모습|오른쪽]]
 +
[[파일:송황다식.png|300픽셀|섬네일|송황다식(풍석문화재단)|오른쪽]]
 +
|-
 +
|}
 +
 
 +
===Additional Attributes===
 +
 
 +
* [[틀:정보]]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propertyName || value
 +
|-
 +
| id || [[송황다식]]
 +
|-
 +
| 이칭/별칭 || [[송화다식]]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음식]] || [[송황다식] || [[hasComponent]] ||
 +
|-
 +
| [[잔치]] || [[송황다식]] || [[hasComponent]] ||
 +
|-
 +
| [[진상]] || [[송황다식]] || [[hasComponent]] ||
 +
|-
 +
|}
 +
 
 +
==Online Reference==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 해설 ||두산백과 || 송화다식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35557&cid=40942&categoryId=32130]
 +
|-
 +
| 해설 || 한국전통지식포탈 || 송화다식 만드는 여러 방법 || || [http://www.koreantk.com/ktkp2014/search-all/search-by-keyword.page?target=ALL&keyword=%EC%86%A1%ED%99%94%EB%8B%A4%EC%8B%9D]
 +
|-
 +
| 사료 || 임원경제지 || 송황다식 || || [[정조지:과줄:포과:송황다식]]
 +
|-
 +
| 사료 || 일성록 || 자궁(慈宮)에게 진찬(進饌)한 송화다식|| || [[http://db.itkc.or.kr/dir/item?itemId=IT#/dir/node?dataId=ITKC_IT_V0_A19_06A_18A_00030&solrQ=query%E2%80%A0%EC%86%A1%ED%99%94%EB%8B%A4%EC%8B%9D$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IT_AA$solr_toalCount%E2%80%A03$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IT_V0_A19_06A_18A_00030 정조 19년 을묘]]
 +
|-
 +
| 사료 || 일성록 || 자궁께 표리(表裏)를 직접 올리고, 이어 진찬(進饌)을 행하였다. || || [[http://db.itkc.or.kr/dir/item?itemId=IT#/dir/node?dataId=ITKC_IT_V0_A20_06A_18A_00010&solrQ=query%E2%80%A0%EC%86%A1%ED%99%94%EB%8B%A4%EC%8B%9D$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IT_AA$solr_toalCount%E2%80%A03$solr_curPos%E2%80%A02$solr_solrId%E2%80%A0BD_ITKC_IT_V0_A20_06A_18A_00010 정조 20년 병진 ]]
 +
|-
 +
| 참고 || 삼연(三淵)의 영원암(靈源庵|| 시에 나오는 송화다식 || ||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432A_0400_010_0050&solrQ=query%E2%80%A0%EC%86%A1%ED%99%94%EB%8B%A4%EC%8B%9D$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1$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BT_1432A_0400_010_0050]
 +
|-
 +
|}
 +
 
 +
* type: 해설, 사료,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Spatial Data==
 +
 
 +
===Spacti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Temporal Data==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Bibliography==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임원경제지 정조지(林園經濟志 鼎俎志)》2||  풍석문화재단, 2020|| ||
 +
|-
 +
| 柳重臨 ||  《增補山林經濟》|| 《農書》 4-5, 아세아문화사, 1981|| ||
 +
|-
 +
| 林洪 著 ||  《산가청공(山家淸供)》||《叢書集成初編》1473, 商務印書館, 1936 || ||
 +
|-
 +
| 서유구 || 《옹치잡지(饔𩟄雜志)》|| || ||
 +
|-
 +
|}
 +
 
 +
==각주==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food]][[분류:과줄]][[분류:과정지류]][[분류:포과]][[분류:송황다식]][[분류:임원경제지]][[분류:정조지]][[분류:임원경제지 정조지]][[분류:증보산림경제]][[분류:산가청공]][[분류:옹치잡지]][[분류:김용미]][[분류:임원사전]]

2020년 10월 29일 (목) 15:5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송황다식(松黃茶食)은 송화가루로 만든 다식이다.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 정조지(林園經濟志 鼎俎志)》에 송황다식 만드는 방법이 실려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송황다식 food 음식 다식 송황다식(松黃茶食) 송황다식 松黃茶食 pine pollen dasik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title=송황다식
송화 핀 모습
송황다식(풍석문화재단)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송황다식
이칭/별칭 송화다식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음식 [[송황다식] hasComponent
잔치 송황다식 hasComponent
진상 송황다식 hasComponent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두산백과 송화다식 [1]
해설 한국전통지식포탈 송화다식 만드는 여러 방법 [2]
사료 임원경제지 송황다식 정조지:과줄:포과:송황다식
사료 일성록 자궁(慈宮)에게 진찬(進饌)한 송화다식 [정조 19년 을묘]
사료 일성록 자궁께 표리(表裏)를 직접 올리고, 이어 진찬(進饌)을 행하였다. [정조 20년 병진 ]
참고 삼연(三淵)의 영원암(靈源庵 시에 나오는 송화다식 [3]
  • type: 해설, 사료,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임원경제지 정조지(林園經濟志 鼎俎志)》2 풍석문화재단, 2020
柳重臨 《增補山林經濟》 《農書》 4-5, 아세아문화사, 1981
林洪 著 《산가청공(山家淸供)》 《叢書集成初編》1473, 商務印書館, 1936
서유구 《옹치잡지(饔𩟄雜志)》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