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나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내용== 나합(羅合, 체와 찬합) <br> 찻가루를 체로 쳐서 찬합에 넣고 뚜껑을 덮어 보관한다. 찻숟가락[則]은 나합 속에 넣어둔다. 나(羅, 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나합(羅合, 체와 찬합) <br> | 나합(羅合, 체와 찬합) <br> | ||
− | 찻가루를 체로 쳐서 찬합에 넣고 뚜껑을 덮어 보관한다. 찻숟가락[則]은 나합 속에 넣어둔다. 나(羅, 체 부분)는 큰 대나무를 쪼개서 둥글게 굽힌 다음에 사견(紗絹)<ref>사견(紗絹):사(紗)는 날실[經絲]을 2올씩 꼬아서 꼬임 사이로 구멍이 생겨 투명하게 비쳐 보이는 얇은 | + | 찻가루를 체로 쳐서 찬합에 넣고 뚜껑을 덮어 보관한다. 찻숟가락[則]은 나합 속에 넣어둔다. 나(羅, 체 부분)는 큰 대나무를 쪼개서 둥글게 굽힌 다음에 사견(紗絹)<ref>사견(紗絹):사(紗)는 날실[經絲]을 2올씩 꼬아서 꼬임 사이로 구멍이 생겨 투명하게 비쳐 보이는 얇은 직물이다. 견(絹)은 비단으로 만든 직물의 일종이다.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임원경제지 전공지》 권2 〈길쌈[織紝]〉에 나온다.</ref>을 입혀 만든다. 그 합(合, 덮개 부분)은 대나무 마디로 만들거나 삼나무를 굽힌 다음 옻칠하여 만든다. 나합의 전체 높이는 0.3척이며, 덮개의 높이는 0.1척, 바닥부분은 0.2척, 아가리의 지름은 0.4척이다.<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00쪽.</ref> |
==각주== | ==각주== |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류:다구(茶具)]][[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다경]][[분류:준생팔전]] [[분류:민철기]]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류:다구(茶具)]][[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다경]][[분류:준생팔전]]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