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풍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번째 줄: | 4번째 줄: | ||
</ref>라 적는다. 1개의 발에는 “몸은 오행(五行)을 고르게 하여 온갖 질병을 물리친다[體均五行去百疾].”<ref> 몸은……물리친다[體均五行去百疾]:물을 끓여서 차를 마시는 과정에 오행(五行)의 원리가 들어 있으므로, 차를 마시면 몸의 질병이 사라진다는 의미를 상징하는 구절이다. </ref>라 적는다. 1개의 발에는 “당나라가 수나라를 멸망시킨 다음해에 주조하다[盛唐滅隋明年鑄].”<ref>당나라가……주조하다[盛唐滅隋明年鑄]:이 구절은 판본에 따라 각각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사고전서》 판본에는 “당나라 연호 모 연간에 주조하다[盛唐年號某年鑄]”로 되어 있는데, 청나라에서 《사고전서》를 편찬하면서 오랑캐[胡]라는 글자를 피해 다른 표현으로 쓴 듯하다. 와세다대학 소장본에는 “당나라가 오랑캐를 멸망시킨 다음해에 주조하다[盛唐滅胡明年鑄]”로 되어 있고, 《중국다서전집교증(中國茶書全集校 證)》에는 “盛唐滅胡明年鑄”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성당(盛唐)’은 당나라가 가장 융성했던 시절인 현종 (玄宗, 재위 712~756) 전후의 시기를 지칭하므로, 와세다대학 소장본을 따라 해석하면 오랑캐[胡, 안록산(安祿山) 무리]의 난이 끝난 763년 다음해인 764년을 의미한다.</ref>라 적는다. 그 3개의 발 사이에 3개의 창을 두고, 바닥의 1개 창은 바람이 드나들고 재가 빠지는 곳으로 쓴다. 창 위에는 옛 글씨체로 6자를 나란히 적는데, 1개 창 위에는 “이공(伊公)<ref> 이공(伊公):이윤(伊尹, ?∼?)의 별칭. 이윤은 처음에는 요리하는 하인의 신분으로 탕왕(湯王)과 만났지만, 곡갱(鵠羹, 고니를 삶은 국 요리)을 탕왕에게 올리면서 음식의 맛과 요리의 원리를 예로 들어 정치의 요체를 설명했다. 이 고사가 후대에 전해지면서 이공은 요리를 잘하는 사람의 대명사로 쓰였다. | </ref>라 적는다. 1개의 발에는 “몸은 오행(五行)을 고르게 하여 온갖 질병을 물리친다[體均五行去百疾].”<ref> 몸은……물리친다[體均五行去百疾]:물을 끓여서 차를 마시는 과정에 오행(五行)의 원리가 들어 있으므로, 차를 마시면 몸의 질병이 사라진다는 의미를 상징하는 구절이다. </ref>라 적는다. 1개의 발에는 “당나라가 수나라를 멸망시킨 다음해에 주조하다[盛唐滅隋明年鑄].”<ref>당나라가……주조하다[盛唐滅隋明年鑄]:이 구절은 판본에 따라 각각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사고전서》 판본에는 “당나라 연호 모 연간에 주조하다[盛唐年號某年鑄]”로 되어 있는데, 청나라에서 《사고전서》를 편찬하면서 오랑캐[胡]라는 글자를 피해 다른 표현으로 쓴 듯하다. 와세다대학 소장본에는 “당나라가 오랑캐를 멸망시킨 다음해에 주조하다[盛唐滅胡明年鑄]”로 되어 있고, 《중국다서전집교증(中國茶書全集校 證)》에는 “盛唐滅胡明年鑄”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성당(盛唐)’은 당나라가 가장 융성했던 시절인 현종 (玄宗, 재위 712~756) 전후의 시기를 지칭하므로, 와세다대학 소장본을 따라 해석하면 오랑캐[胡, 안록산(安祿山) 무리]의 난이 끝난 763년 다음해인 764년을 의미한다.</ref>라 적는다. 그 3개의 발 사이에 3개의 창을 두고, 바닥의 1개 창은 바람이 드나들고 재가 빠지는 곳으로 쓴다. 창 위에는 옛 글씨체로 6자를 나란히 적는데, 1개 창 위에는 “이공(伊公)<ref> 이공(伊公):이윤(伊尹, ?∼?)의 별칭. 이윤은 처음에는 요리하는 하인의 신분으로 탕왕(湯王)과 만났지만, 곡갱(鵠羹, 고니를 삶은 국 요리)을 탕왕에게 올리면서 음식의 맛과 요리의 원리를 예로 들어 정치의 요체를 설명했다. 이 고사가 후대에 전해지면서 이공은 요리를 잘하는 사람의 대명사로 쓰였다. | ||
</ref>” 2자를 쓰고, 1개 창 위에는 “갱륙(羹陸)” 2자를 쓰고, 1개 창 위에는 “씨다(氏茶)” 2자를 쓴다. 이른바 “이윤(伊尹)의 국과 육우(陸羽)의 차”라는 의미다. 풍로 속에는 솟아오른 받침대<ref> 받침대:이 받침대와 지지대의 빈 공간에 숯을 담아 불을 지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墆㙞]를 두어 3개의 지지대[格]를 마련한다. 그중 1개의 지지대에는 꿩[翟] 그림이 있는데, 꿩은 불을 상징하는 새이므로 리괘(離卦, )를 그린다. 다른 1개의 지지대에는 표범 [彪] 그림이 있는데, 표범은 바람을 상징하는 짐승이므로 손괘(巽卦, )를 그린다. 다른 1개의 지지대에는 물고기[魚] 그림이 있는데, 물고기는 물을 뜻하는 동물이므로 감괘(坎卦, )를 그린다. 손(巽)은 바람을 주관하고, 리(離)는 불을 주관하고, 감(坎)은 물을 주관한다.<ref> 손(巽)은……주관한다:《주역(周易)》의 괘상(卦象)에서 손(巽)은 바람, 리(離)는 불, 감(坎)은 물을 상징한다.</ref>바람은 불을 일으킬 수 있고, 불은 물을 끓일 수 있으므로 그 3개의 괘를 갖춘 것이다. 풍로 겉의 장식은 이어진 꽃무늬·늘어진 덩굴무늬·굽이진 물결무늬·네모 무늬 같은 종류로 한다. 풍로는 때로 쇠를 두들겨서 만들거나 진흙을 빚어서 만들기도 한다. 풍로의 회승(灰承, 재를 받는 쟁반)은 3개의 발이 달린 쇠쟁반 모양을 만들어 풍로를 받치게 한다.<ref> 여기서부터 25종의 다구는 모두 《茶經》에 나온다.</ref><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91~293쪽.</ref> | </ref>” 2자를 쓰고, 1개 창 위에는 “갱륙(羹陸)” 2자를 쓰고, 1개 창 위에는 “씨다(氏茶)” 2자를 쓴다. 이른바 “이윤(伊尹)의 국과 육우(陸羽)의 차”라는 의미다. 풍로 속에는 솟아오른 받침대<ref> 받침대:이 받침대와 지지대의 빈 공간에 숯을 담아 불을 지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墆㙞]를 두어 3개의 지지대[格]를 마련한다. 그중 1개의 지지대에는 꿩[翟] 그림이 있는데, 꿩은 불을 상징하는 새이므로 리괘(離卦, )를 그린다. 다른 1개의 지지대에는 표범 [彪] 그림이 있는데, 표범은 바람을 상징하는 짐승이므로 손괘(巽卦, )를 그린다. 다른 1개의 지지대에는 물고기[魚] 그림이 있는데, 물고기는 물을 뜻하는 동물이므로 감괘(坎卦, )를 그린다. 손(巽)은 바람을 주관하고, 리(離)는 불을 주관하고, 감(坎)은 물을 주관한다.<ref> 손(巽)은……주관한다:《주역(周易)》의 괘상(卦象)에서 손(巽)은 바람, 리(離)는 불, 감(坎)은 물을 상징한다.</ref>바람은 불을 일으킬 수 있고, 불은 물을 끓일 수 있으므로 그 3개의 괘를 갖춘 것이다. 풍로 겉의 장식은 이어진 꽃무늬·늘어진 덩굴무늬·굽이진 물결무늬·네모 무늬 같은 종류로 한다. 풍로는 때로 쇠를 두들겨서 만들거나 진흙을 빚어서 만들기도 한다. 풍로의 회승(灰承, 재를 받는 쟁반)은 3개의 발이 달린 쇠쟁반 모양을 만들어 풍로를 받치게 한다.<ref> 여기서부터 25종의 다구는 모두 《茶經》에 나온다.</ref><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91~293쪽.</ref> | ||
− | + | [[파일: 다구-풍로.jpg|800픽셀|풍로의 구조]] | |
==각주== | ==각주==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류:다구(茶具)]][[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다경]][[분류:준생팔전]] [[분류:민철기]]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류:다구(茶具)]][[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다경]][[분류:준생팔전]] [[분류:민철기]] |
2020년 9월 19일 (토) 15:15 판
내용
풍로(風爐)
풍로는 구리나 쇠로 옛날의 정(鼎, 솥) 모양처럼 주조한다. 두께는 3푼이고, 구연부(口緣部) 너비는 9푼으로 하여, 6푼의 빈 공간에는 진흙을 채워 바른다. 풍로의 발은 모두 3개인데, 옛 글씨체로 21자를 적는다. 1개의 발에는 “감(坎, 물)은 위, 손(巽, 바람)은 아래, 리(離, 불)는 가운데 둔다[坎上巽下離于中].”[1]라 적는다. 1개의 발에는 “몸은 오행(五行)을 고르게 하여 온갖 질병을 물리친다[體均五行去百疾].”[2]라 적는다. 1개의 발에는 “당나라가 수나라를 멸망시킨 다음해에 주조하다[盛唐滅隋明年鑄].”[3]라 적는다. 그 3개의 발 사이에 3개의 창을 두고, 바닥의 1개 창은 바람이 드나들고 재가 빠지는 곳으로 쓴다. 창 위에는 옛 글씨체로 6자를 나란히 적는데, 1개 창 위에는 “이공(伊公)[4]” 2자를 쓰고, 1개 창 위에는 “갱륙(羹陸)” 2자를 쓰고, 1개 창 위에는 “씨다(氏茶)” 2자를 쓴다. 이른바 “이윤(伊尹)의 국과 육우(陸羽)의 차”라는 의미다. 풍로 속에는 솟아오른 받침대[5][墆㙞]를 두어 3개의 지지대[格]를 마련한다. 그중 1개의 지지대에는 꿩[翟] 그림이 있는데, 꿩은 불을 상징하는 새이므로 리괘(離卦, )를 그린다. 다른 1개의 지지대에는 표범 [彪] 그림이 있는데, 표범은 바람을 상징하는 짐승이므로 손괘(巽卦, )를 그린다. 다른 1개의 지지대에는 물고기[魚] 그림이 있는데, 물고기는 물을 뜻하는 동물이므로 감괘(坎卦, )를 그린다. 손(巽)은 바람을 주관하고, 리(離)는 불을 주관하고, 감(坎)은 물을 주관한다.[6]바람은 불을 일으킬 수 있고, 불은 물을 끓일 수 있으므로 그 3개의 괘를 갖춘 것이다. 풍로 겉의 장식은 이어진 꽃무늬·늘어진 덩굴무늬·굽이진 물결무늬·네모 무늬 같은 종류로 한다. 풍로는 때로 쇠를 두들겨서 만들거나 진흙을 빚어서 만들기도 한다. 풍로의 회승(灰承, 재를 받는 쟁반)은 3개의 발이 달린 쇠쟁반 모양을 만들어 풍로를 받치게 한다.[7][8]
각주
- ↑ 감(坎, 물)은……둔다[坎上巽下離于中]:풍로에 물을 올려서 끓이는 모습을 살펴봤을 때, 물을 담은 솥이 풍로 위에 놓여 있고, 바람은 풍로 아래에 있는 창으로 들어오고, 불은 풍로 내부에서 타고 있으므로 즉 물과 바람의 중간에 있다는 의미를 상징하는 구절이다.
- ↑ 몸은……물리친다[體均五行去百疾]:물을 끓여서 차를 마시는 과정에 오행(五行)의 원리가 들어 있으므로, 차를 마시면 몸의 질병이 사라진다는 의미를 상징하는 구절이다.
- ↑ 당나라가……주조하다[盛唐滅隋明年鑄]:이 구절은 판본에 따라 각각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사고전서》 판본에는 “당나라 연호 모 연간에 주조하다[盛唐年號某年鑄]”로 되어 있는데, 청나라에서 《사고전서》를 편찬하면서 오랑캐[胡]라는 글자를 피해 다른 표현으로 쓴 듯하다. 와세다대학 소장본에는 “당나라가 오랑캐를 멸망시킨 다음해에 주조하다[盛唐滅胡明年鑄]”로 되어 있고, 《중국다서전집교증(中國茶書全集校 證)》에는 “盛唐滅胡明年鑄”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성당(盛唐)’은 당나라가 가장 융성했던 시절인 현종 (玄宗, 재위 712~756) 전후의 시기를 지칭하므로, 와세다대학 소장본을 따라 해석하면 오랑캐[胡, 안록산(安祿山) 무리]의 난이 끝난 763년 다음해인 764년을 의미한다.
- ↑ 이공(伊公):이윤(伊尹, ?∼?)의 별칭. 이윤은 처음에는 요리하는 하인의 신분으로 탕왕(湯王)과 만났지만, 곡갱(鵠羹, 고니를 삶은 국 요리)을 탕왕에게 올리면서 음식의 맛과 요리의 원리를 예로 들어 정치의 요체를 설명했다. 이 고사가 후대에 전해지면서 이공은 요리를 잘하는 사람의 대명사로 쓰였다.
- ↑ 받침대:이 받침대와 지지대의 빈 공간에 숯을 담아 불을 지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손(巽)은……주관한다:《주역(周易)》의 괘상(卦象)에서 손(巽)은 바람, 리(離)는 불, 감(坎)은 물을 상징한다.
- ↑ 여기서부터 25종의 다구는 모두 《茶經》에 나온다.
- ↑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91~2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