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일반적으로 차 끓이는 그릇을 만약 소나무 사이나 돌 위에 놓아둘 수 있다면 구열은 없어도 된다. 마른 땔감이나 정력(鼎櫪, 발 달린 솥과 구유) 따위를 사 용한다면 풍로·회승·탄과·화협·교상 등은 없어도 된다. <br> | 일반적으로 차 끓이는 그릇을 만약 소나무 사이나 돌 위에 놓아둘 수 있다면 구열은 없어도 된다. 마른 땔감이나 정력(鼎櫪, 발 달린 솥과 구유) 따위를 사 용한다면 풍로·회승·탄과·화협·교상 등은 없어도 된다. <br> | ||
만약 샘물을 내려다보거나 시냇물에 닿아 있는 곳이라면 수방·척방·녹수낭은 없어도 된다. 만약 사람이 5인 이하이고 차가 가루내어 정제한 것이라면 나합은 없어도 된다. 만약 칡덩굴을 당겨서 바위 산에 오르거나, 굵은 밧줄을 끌어당겨서 동굴에 들어가 차를 즐길 때에 산 입구에서 차를 구워 가루내거나 종이에 싸고 나합에 담을 수 있다면, 차 가는 맷돌이나 불말 등은 없어도 된다. 이미 표주박·다완·집게·찰·숙우·차궤를 모두 광주리 1개에 담았다면 도람은 없어도 된다. 다만 성읍(城邑) 안의 왕족과 고귀한 가문에서는 24가지의 다구에서 하나만 빠지면 차를 마시지 않을 것이다. 【안 지금 사람들이 차를 끓일 때 다관(茶罐)을 쓰고 솥[鼎] 종류는 쓰지 않는다면 차 끓일 솥[鍑]은 없어도 좋다. 잎차를 끓인다면 차를 맷돌로 갈아서 가루 내는 일을 하지 않아도 되니, 집게·지낭·연(碾)· 나합은 모두 없어도 좋다. 생강과 소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차궤는 없어도 좋다.】 《다경》<ref>《茶經》 卷下 〈九之略〉 (《中國茶書全集校證》1, 34쪽).</ref> | 만약 샘물을 내려다보거나 시냇물에 닿아 있는 곳이라면 수방·척방·녹수낭은 없어도 된다. 만약 사람이 5인 이하이고 차가 가루내어 정제한 것이라면 나합은 없어도 된다. 만약 칡덩굴을 당겨서 바위 산에 오르거나, 굵은 밧줄을 끌어당겨서 동굴에 들어가 차를 즐길 때에 산 입구에서 차를 구워 가루내거나 종이에 싸고 나합에 담을 수 있다면, 차 가는 맷돌이나 불말 등은 없어도 된다. 이미 표주박·다완·집게·찰·숙우·차궤를 모두 광주리 1개에 담았다면 도람은 없어도 된다. 다만 성읍(城邑) 안의 왕족과 고귀한 가문에서는 24가지의 다구에서 하나만 빠지면 차를 마시지 않을 것이다. 【안 지금 사람들이 차를 끓일 때 다관(茶罐)을 쓰고 솥[鼎] 종류는 쓰지 않는다면 차 끓일 솥[鍑]은 없어도 좋다. 잎차를 끓인다면 차를 맷돌로 갈아서 가루 내는 일을 하지 않아도 되니, 집게·지낭·연(碾)· 나합은 모두 없어도 좋다. 생강과 소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차궤는 없어도 좋다.】 《다경》<ref>《茶經》 卷下 〈九之略〉 (《中國茶書全集校證》1, 34쪽).</ref> | ||
− | |||
− | |||
− | |||
==각주== | ==각주==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류:다구(茶具)]][[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준생팔전]] [[분류:민철기]]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류:다구(茶具)]][[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 [[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 [[분류:산재청공]] [[분류:준생팔전]] [[분류:민철기]] |
2020년 9월 19일 (토) 13:59 판
내용
다구(茶具)
일반적으로 차 끓이는 그릇을 만약 소나무 사이나 돌 위에 놓아둘 수 있다면 구열은 없어도 된다. 마른 땔감이나 정력(鼎櫪, 발 달린 솥과 구유) 따위를 사 용한다면 풍로·회승·탄과·화협·교상 등은 없어도 된다.
만약 샘물을 내려다보거나 시냇물에 닿아 있는 곳이라면 수방·척방·녹수낭은 없어도 된다. 만약 사람이 5인 이하이고 차가 가루내어 정제한 것이라면 나합은 없어도 된다. 만약 칡덩굴을 당겨서 바위 산에 오르거나, 굵은 밧줄을 끌어당겨서 동굴에 들어가 차를 즐길 때에 산 입구에서 차를 구워 가루내거나 종이에 싸고 나합에 담을 수 있다면, 차 가는 맷돌이나 불말 등은 없어도 된다. 이미 표주박·다완·집게·찰·숙우·차궤를 모두 광주리 1개에 담았다면 도람은 없어도 된다. 다만 성읍(城邑) 안의 왕족과 고귀한 가문에서는 24가지의 다구에서 하나만 빠지면 차를 마시지 않을 것이다. 【안 지금 사람들이 차를 끓일 때 다관(茶罐)을 쓰고 솥[鼎] 종류는 쓰지 않는다면 차 끓일 솥[鍑]은 없어도 좋다. 잎차를 끓인다면 차를 맷돌로 갈아서 가루 내는 일을 하지 않아도 되니, 집게·지낭·연(碾)· 나합은 모두 없어도 좋다. 생강과 소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차궤는 없어도 좋다.】 《다경》[1]
각주
- ↑ 《茶經》 卷下 〈九之略〉 (《中國茶書全集校證》1, 3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