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복식 도구:옷과 갖옷:도포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 도포(道袍)[1]
유자(儒者)가 입는 옷이다. 관리들이 집에 있을 때에도 입는다. 좋은 일에는 푸른 모시로 만든 도포를 입고, 조상(弔喪)을 할 때나 제사에는 마포(麻布)[2]로 만든 흰 도포를 입는다. 겨울용이건 여름용이건 가리지 않고 모두 모시나 삼베로 만드는데, 최근에는 간혹 겨울에 무명[綿布]으로 만든 도포를 입는 사람도 있다.《금화경독기》[3]

우리나라의 도포와 갓은 중국 승려의 복장과 비슷하다. 대략 중국의 여자들과 승려나 도사들은 옛날의 제도를 바꾸지 않았는데, 우리나라의 옷과 관도 신라의 옛 제도를 대부분 답습했다. 신라는 처음에 중국의 제도를 모방했는데, 그 당시 풍속이 불교를 숭상했으므로 여염집에서 대부분 중국 승려들의 복장을 본받았고, 지금까지 천여 년이 되도록 바꿀 줄을 모른다.[4]《열하일기》[5][6]

각주

  1. 1) 도포(道袍):조선시대 사대부의 대표적인 포(袍, 겉옷)의 하나로, 왕은 물론 왕세자의 관례복, 사대부의 외출복 및 의례복, 유생들의 일상복으로 착용했다. 또한 착용이 금지되었던 하급 계층 사이에서도 착용하면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도포의 특징은 뒷자락이 이중으로 되어 있는 점이다
  2. 마포(麻布):모시[苧, 저마포]와 삼베[麻, 대마포]를 포괄한다.
  3.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53~54쪽.
  4. 우리나라의……모른다:서유구는 박지원의 견해를 그대로 수용해 도포의 기원을 중국 승려의 의복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도포는 중국 승려의 복장을 모방한 것이 아니라, 조선시대에 관원들이 단령(團領)의 받침옷으로 입거나 겉옷으로 입었던 ‘직령(直領)’에서 유래한 포이다. 직령은 깃이 곧고, 옷 몸판인 ‘길’ 옆에 별도의 폭을 붙여 만든 ‘무’가 있는데, 이 무가 뒷길 안으로 들어가 고정되면서 뒷자락이 이중으로 만들어졌다.
  5. 《熱河日記》 〈銅蘭涉筆〉 “銅蘭涉筆序”.
  6.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5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