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글을 읽을 때 켜 놓은 등불.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id |
서등
|
이칭/별칭 |
독서등, 좌등
|
재질 |
구리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서등(書燈)의 종류 :《임원경제지》 〈이운지 권제4〉
옛날에 구리로 만든 낙타모양 등잔·양모양 등잔·거북모양 등잔이 있었고, 제갈량(諸葛亮)이 군중(軍中)에서 사용했던 등잔과 봉황·거북모양 등잔에는 둥그런 등반(燈盤)[1] 이 있었다. 정요(定窯)에는 3단 등경(燈檠)[2]이 있고 선요(宣窯)에는 2단 등경이 있었 다. 이 등잔들은 모두 서재에서 사용하기에 좋다.
또 청록색을 띤, 구리로 만든 연잎 1장이 등경에 걸려 있고, 연꽃과 가지가 그 위에 있는 모양을 보았 다. 이는 옛사람이 황금으로 장식한 연꽃 모양의 촛대를 응용해서 만든 것으로, 이를 사용해도 또한 속되지 않다. 옛날에는 ‘촉노(燭奴)’가 있었다. 곧 지금 페르시아에서 주조해서 만든 촛대가 이것이다. 그러나 이 촛대는 아마도 일상에 사용할 수는 없을 듯하 다. 《준생팔전》[3]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Notes
- ↑ 등반(燈盤):등잔을 올려놓기 위해 만든 기구.
- ↑ 등경(燈檠):등잔을 걸어 두는 기구. 등경걸이라고도 한다.
- ↑ 《遵生八牋》 卷15 〈燕閑淸賞牋〉 中 “論文房器具” ‘書燈’(《遵生八牋校注》, 589~590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