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말 연구

phj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 제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말 연구
  • 한상미, 2001,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석사학위 논문

연구목적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교사말의 유형을 분석하여 한국어교사말의 특징을 찾아내는데 목적
  • 교사말을 분석함으로 한국어교실에서 효율적인 진행을 알수있으며,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함. 발화의 기술 빛 특정 발화의 영향들을 분석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음.
  •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는 교사말의 유형을 발화의 기능에 따라 분류하고, 발화 양상을 토대로 교사말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함.

이론적 배경

교사말의 정의

  • 교사말이란? 제2언어나 외국어 교육에서 목표어를 학습자에게 보다 이해하기 쉽고,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언어적, 상호작용적 변형(modification)을 가하여 만든 특별한 말.
교실안언어.jpg
교실 안과 밖의 모어.비모어 화자에 대한 발화의 관계(Chaudron 1988:55)

교사말의 기능

  • 교사는 학습자에게 있어서 의사소통적인 과정의 통제자, 지시자, 운영자, 촉진자, 정보의 근원
교사말에서의입력변형.jpg
교사말에서의 입력 변형(Lynch 1996:41)

연구 방법

  • 상호작용 분석:교실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유형인 교사 발화시작-학습자 반응- 교사 마무리와 같은 상호작용 유형을 중심으로 교사말의 유형과 양상 분석

연구 대상 및 방법

  • 20명의 한국어 교사들과 그들이 담당하고 있는 20개 반의 성인 학습자 165명를 대상으로 녹화하여 전사

유도 발화 범주의 교사말 유형

  • 끌어내기
  • 절차 언급

피드백 범주의 교사말 유형

  • 평가: 수용, 칭찬, 이견 표시, 비판, 의사 표현
  • 바로잡기: 명시적 바로잡기, 암시적 바로잡기
  • 다지기: 강조, 입력 강화
  • 확인: 명료화 요구, 학생 이해 점검, 교사 이해 점검
  • 설명: 구조화, 바꿔 말하기, 확장, 되돌아가기, 비교, 번역, 예시, 시각 자료 제시, 몸동작
  • 대화 맥락 잇기: 받아넘기기, 오류 무시, 여담
  • 비언어적 반응: 웃음. 침묵
한국어교실에서나타난피드백범주의교사말유형.jpg

한국어 교사말의 특징 분석

  • 유도 발화에 나타난 특징: 나열형 질문의 발화 빈도가 참조형 질문의 발화 빈도에 비해 월등히 높음
  • 피드백에 나타난 특징: 피드백 범주의 설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 무엇보다 설명 발화가 차지가는 빈도가 매우 높음
  • 발화량 및 발화 기술에 나타난 특징: 교사의 총 발화량이 학습자의 총 발화량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
  • 종합적으로 보면 한국어 교실에서는 학습자가 목표어를 사용해 발화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음
한국어교실에서나타난교사말유형의발화횟수.jpg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에서교사말연구(한상미) 111쪽

결론 및 제언

  • 교사는 교사말을 조직적으로 수행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교사들은 교사말이 지닌 구체적인 발화 기능을 이해해야 한다.
  1. 질문 유형의 의미와 기능을 염두에 두고 수업 목표에 맞게 적절히 사용해야 함.
  2. 바로잡기의 경우 학습자에 따라서 발화의 정확성과 유창성 중 더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여 명시적 바로잡기와 암시적 바로잡기, 혹은 보완 등의 바로잡기를 적절히 수행
  • 학생들이 발화할 기회를 적당하게 주기 위해 학생들에게 제공할 다양한 활동(activities)을 고안해야 한다.
  1. 언어적 조정과 상호작용적 조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 활동을 위한 준비가 필요
  2. 단 준비가 부족할 경우 교사 일방적인 발화만으로 채워지거나 기계적인 짝 활동 등으로 방치되거나 하는 극단적인 악순환이 이어질 위험이 있음
  • 교사들의 구체적인 발화 기술(skill)을 익힐 수 있는 훈련의 기회를 제공되어야 한다.
  1. 교사가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대화 분위기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어떤 유형의 교사말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