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의 병인론과 인지체계

phj
이동: 둘러보기, 검색

특강

  • 강사: 구형찬(서울대학교 강사)

나의 박사학위 논문-

  • 민속신앙의 인지적 기반에 관한 연구-강우의례를 중심으로-
  • 강우의례(=기우제 등 비와 관련된 의례)
  • 인지종교학: 인지과학적인 관점에서 종교를 연구
  • 인지: 마음의 작동방식, 사람이 추론하고 인식하는 방식

문제의식

  • 특정 종교전통에 의해 공식적으로 지지되지 않지만 널리 분포하고 오래 지속하는 종교적 관념, 실천, 전승 등이 존재한다. 그것들은 어떻게 발생하고 현존하며 전승되는가?
  • 사람들은 특정 종교의 신자가 되지 않아도 얼마든지 초자연적 존재를 떠올리고 의례적인 행동을 할 수 있으며 그러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향유할 수 있다.
  • 인류 문화에는 특정 성립종교들의 명시적인 교리나 실천규범에 종속되지 않는 '종교적'생각과 행동의 양상이 많이 나타난다.

→'민속신앙' (民俗信仰, Folk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Folk: 전문적인 교육없이도 가능하다.

관찰내용, 가설, 접근방법

  • 민속신앙의 현장에서 사람들은 명시적인 교리나 실천규범보다는 직관, 추론, 기억에 의거해 생각하고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 민속신앙에는 횡문화적 유사성이 관찰되는데, 이는 인류의 직관, 추론, 기억이 진화된 마음의 인지적 제약 하에서 발휘되기 때문일 것이다.
  • 진화된 마음의 작동방식에 관한 과학적 지식을 통해 민속신앙의 발생, 혀존, 전승에 대한 인과적인 설명과 학습적 이해를 진전시킬 수 있다.
  • 2017년 하지까지 70여건의 기우제

조선시대 국행기우제

  • 기고의례
  • 침호두(호랑이 머리를 물에 빠트림), 화룡기우, 석척기우(도롱룡을 가두어눔)
  • 진암분시, 오방토룡제
  • 여염병류(병을 거꾸로 놓기), 천시, 폐남문개북문
  • 푹무(무당을 땡볕에 내놓는 행동), 엄격매자(드러난 시신을 다시 묻어줌)

한국 근현대 강우의례

  • (유교적) 제사, 고사
  • 의례 전문가 동원 형식
  • 용 관련 의례
  • 암장묘굴

무엇을 설명할 것인가

  • '민속신앙의 관념, 실천, 전승 양상'의 인지적 요인들
  • 민속신앙의 관념
의례의유형과기본관념.jpg
의례의 유형과 기본 관념
다양한행위자표상들.jpg
다양한 행위자 표상들
  • 민속신앙 실천에는 일상의 행위표상체계가 작동한다.
  • 민속신앙 실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강박은 위험예방체계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다.
  • 민속신앙 실천의 '의례적 선례주의'는 불확실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게 해주는 '메타표상체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 민속신앙 실천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상호작용에는 일상의 사회적 추리가 작동한다.
  1. 선행연구는 기우제의 전승 양상을 '의례경건주의'와 '의례감성주의'로 구별했으며, 각각 유교와 무속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설명했다.
  2.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전승 양상은 초문화적으로 나타난다.
  3. 따라서 다른 설명이 필요하다. 인지적 설명이 가능할까?
  4. 문화가 전승되려면 여러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기억되어야 한다.
  5. 장기기억의 두 가지 유형(Semantic, Episodic)은 종교의 전승 양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논문의 결론

  • 민속신앙은 인간 마음의 인지적 제약을 토대로 하여 발생하고 존속하며 전파된다.
  • 그렇게 발생하고 전파되는 수많은 민속신앙 중에서 고도의 인지적 적합성을 지닌 소수의 것들이 효과적으로 문화적인 분포에 이르게 된다.
  • 한국의 강우의례는 그것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사례다.
  • 인간 마음의 인지적 제약들은 민속신앙의 관념, 실천, 전승의 특징적인 양상을 형성하는 핵심적인 자연적 토대이다.

인지체계

  • 인과추론
  • 과민성 행위자 탐지 장치(HADD, Hyperactive agent detection device)'
  • 최소 반직관성(MCI, minimally counter-intuitiveness)
  • 행위표상체계
  • 위험예방체계

인지종교학의 표준모델

문화 속의 종교적 요소들이 지닌 어떤 특징들은 인간의 일반적인 인지체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감염병의 병인론과 종교적 상상력

  • 병이 어떻게 나타나는가? 왜 나타나는가? 왜 발생하는가? 왜 퍼지는가?
  • 과학적일수도 비과학적일수도 그래서 종교의 개입 가능할 수도
  • 행위자 가정 인과추론: 사건에 행위자가 개입되어 있다는 추론, 행위자의 의도와 계획을 추론하는 직관적 심리학을 동원, 자동차 고장(누가 자동차 엔진에 모래를 넣었을 것이다), 편집증
  • 체계 가정 인과추론: 행위자를 배제하고 체계(자연법칙)에 의해 사건이 일어난다는 추론, 자동차 고장(엔진 점화 플러그의 고장일 것이다), 자폐 스펙트럼

병인론

  1. <행위자 병인론(행위자 가정 인과추론)>
  • 이집트의 열 가지 재난과 엑소더스
  • 오이디푸스 왕의 비극
  • 신의 징계로서 나병
  • 우물에 독약을 푼 유대인
  • 비명횡사한 사자, 무사귀신
  • 여제와 수륙재
  • 마마배송굿(천연두신 조선시대에는 12일 동안)
  • 송두신문(사대부가 송 두신문을 씀)
  1. <비행위자 원인 병인론(체계 가정 인과추론)>
  • 공감 주술(접촉주술에 대한 경각심)과 감염병
  • 태종 16년의 군기감 화통 발사
  • 세종 14년(도성에서 큰 공사중 전염병)
  • 세종 19년(거리두기 실패, 가뭄, 진재장: 배급창)
  • 세종 26년의 거리두기
  • 문종 1년, 황해도 전염병, 플라세보 효과(약처럼 생긴것을 나눠줌), 여제와 수륙제(불교식)를 지냄
  • 현대의 병인론(병원체를 행위자로 간주하는 관념도 잔존함)

감염병 회피의 인지체계와 문화

  • 신체면역(선천면역/획득면역) 체계: 선천면역(백혈구), 획득면역(항원항체반응)
  1. 정교하지만 고비용의 면역 반응(고열과 염증, 에너지 소모)
  2. 병원체가 체내에 진입해야 작동하는 느린 반응
  3. 사전에 감염 가능성을 차단하는 예방효과 없음
  4. 지나치게 과도한 경우→자가면역질환(알레르기)
  • 행동면역 체계(Behavioral Immune System)
  1. 오염과 감염의 단서에 대한 역겨움 반응과 회피 행동
  2. 사물의 특정한 형태, 냄새, 맛에 대한 작용
  3. 다른 사람의 외모나 행동에 대해 작용(얼굴 반점, 행동 부자연 스러운 경우 섬뜩한 느낌)
  4. 사전 에방효과 있으나 과도하게 예민함(대상확대, 위양성 오류): 위험하지 않은데 위험하다고 느끼는 것, 위음성: 위험한데 위험하지 모르는 경우
  5. 외국인, 비만인, 장애인, 성소수자 등 감염 위험이 없는 사람을 표적화
  6. 지나치게 과도한 경우→'자가면역 질환'(강박행동장애, 혐오와 배제)
  • 행동 면역 체계와 종교문화
  1. 음식 금기와 성적 금기(임신 초기 감염이나 오염에 민감한 것이 좋기 때문에 좀더 활성화됨)
  2. 공간 분할(금줄치기 등)
  3. 의례적 행동(정화, 청결, 반복에 대한 강박 등): 큰제사전에 비린음식, 물건은 3번씻기, 몸을 깨끗하게 등
  4. 도덕적 판단→직관적 정서(역겨움, 불안)가 우선, 합리적 설명은 나중에
  • 과학은 종교인가? 네!
  1. 협업과 함께 과학자들이 검토 승인 과정을 거쳐 받아들여짐
  2. 편견 작동

다시 박사학위논문을 쓴다면

  • 각종 문헌,종교사,인류학 정보
  • 다양한 분야의 폭넓은 독서와 토론
  • Raw Data를 다룰 수 있는 기초지식(언어, 문자, 통계): 언어, 문자, 통계에 대한 지식을 배우길
  • 키워드를 갖고 논문을 찾아서 대강의 내용을 알고 abstract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함.
  • 진화와 인지에 대한 과학적 지식
  • 연구 질문과 가설의 구체화 및 정교화
  • 협업이 중요하지만, 서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는 경향이 있음. 교차검증이 중요하다. 생물인류학(진화론)과 인생연(서울대)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참여. 2주에 1번 프로그레스 미팅. 연구의 진척을 갖고와서 프리젠테이션. 서로 다른 분야의 사람이 참여. 종교학, 인지과학, 인류학 등의 여러 사람들이 발표하고 논평을 듣고 연구 프로젝트에 지원할만한 주제를 발표. 공저자로 논문을 씀. 아이디어를 갖고 나와서 이야기를 펼쳐나가지만 역할을 나눠서 같이하고.
  • 학술지의 발간 살펴보기
  • 자기 연구의 독창성과 함의 점검: 신경 인류학자(한국에서 쓰지 않는 신조어로 자신을 표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