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7일

pattern
이동: 둘러보기, 검색

留泊姑蘇驛前。是日晴。蘇州。卽古吳王闔閭使伍子胥城而都之。城周又與杭州同。府治及吳縣長洲縣之治。皆在城中。城之胥門。舊有姑蘇臺。今廢爲驛。植木水中爲滉柱。作石堤三面。皇華樓據其前。昭陽樓建于後。臣問諸傅榮曰。此驛若是姑蘇臺之址。則卽古吳王所築臺之處乎。榮曰。非也。古所謂姑蘇臺。在姑蘇山。吳王闔閭因山起臺。夫差侈大之。遺址猶存。紹興間又築臺於此。名姑蘇。以存故事。今又廢而爲驛。又於城中築臺。扁以姑蘇之名云云。東有遞運所。又有山海鎭。而太湖之水。由石塘注運河。由城東而西。以達于驛。因伍子胥所居。又名胥湖。湖廣可百餘步。北抱市衢。縈廻映射。闌楯之間。光景浮動。而城西諸山。天平一峯。號爲郡鎭。其郡山之勝。曰靈岩,五塢,仰天秦臺。秩秩有序。而驛適臨之。眞景致也。當午。有按察御史二大人姓王若宋者來驛中。待我禮賓館。問你官何品。臣對曰。五品官。又曰。你能詩否。臣曰。我國士子皆以經學窮理爲業。嘲弄風月爲賤。故我亦不學詩詞。又問曰。箕子封朝鮮。今有後否。且有廟墓祀事不廢否。臣對曰。箕子之後。箕準爲衛滿所逐。奔馬韓以立都。後爲百濟所滅。今無嗣。箕子廟在平壤。國家每歲春秋。降香祝牲幣以致祭。又問曰。你國有何長技。能却隋唐之兵乎。臣曰。謀臣猛將。用兵有道。爲兵卒者率皆親上死長。故以高句麗一偏小之國。猶足以再却天下百萬之兵。今則合新羅,百濟,高句麗爲一國。物衆地大。財富兵强。忠智之士。車載斗量。不可勝數。二大人問畢。命外郞奉米一盤荳腐一盤麵筋一盤以餽。臣作詩以謝。又有官人姓鄭者求和約軒詩韻。臣卽次之。其官人又以米六斗鵝一隻菜一盤胡桃一盤來贈。又有羅太監家僮姓柳者年纔十五六。言詞淸雅。自城中來饋。以及從者。李節,金大。亦買饌來饋。夜三更。又乘月棹舟而北。過閶門。閶門之外。有通波亭臨湖。舊名高麗亭。宋元豐間所築。以待高麗朝貢之使。亭前接屋連墻。軸轤如櫛。棹至接官亭以泊。亭之西望有大塔。卽寒山禪寺。所謂姑蘇城外寒山寺者也。問其地名。則曰楓橋。問其水名。則曰射瀆河也。蘇州。古稱吳會。東瀕于海。控三江帶五湖。沃野千里。士夫淵藪。海陸珍寶。若紗羅綾段。金銀珠玉。百工技藝。富商大賈。皆萃于此。自古天下以江南爲佳麗地。而江南之中。以蘇,杭爲第一州。此城尤最。樂橋在城中。界吳,長洲兩縣治間。市坊星布。江湖衆流。通貫吐納乎其中。人物奢侈。樓臺聯絡。又如閶門馬頭之間。楚商閩舶。輻輳雲集。又湖山明媚。景致萬狀。但臣等乘夜到姑蘇驛。翌日。又不喜觀望。又乘夜傍城而過。故白樂天所謂七堰,八門,六十坊,三百九十橋。及今廢舊添新。勝景奇迹。俱不得記之詳也。



고소역 앞에서 유숙하였습니다.

이 날은 맑았습니다.

소주[1]는 곧 옛날 오왕(吳王) 합려[2]오자서(伍子昏)에게 성을 쌓게 하여 도읍으로 정했던 곳입니다.

성 둘레는 항주와 같았으며, 부치와 오현(吳縣), 장주현(長洲縣)의 치소도 모두 성안에 있었습니다.

성의 서문(胥門)에 옛날에는 고소대(姑蘇臺)가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지고 역이 되었습니다.

물속에 나무를 세워 황주(滉柱)를 만들고 돌 제방을 3면으로 만들었는데, 황화루(皇華樓)는 그 앞에 기대 있고, 소양루(昭陽樓)는 뒤에 세워져 있었습니다.

신이 부영(薄榮)에게 묻기를, "이 역이 고소대의 터라면 바로 옛날 오왕이 대(臺)를 축조했던 입니까?"라고 하였습니다.

부영은, “아닙니다. 옛날의 이른바 고소대는 고소산(姑蘇山)(소주의 소=蘇)에 있었으니, 오왕 합려가 산에 의거하여 대를 만든 것을 부차(夫差)가 다시 넓힌 것인데 허물어진 집터가 아직 남아 있습니다.

소흥(紹興) 연간에 또 대를 이곳에 축조하고는 고소대라 명칭하여 고사(故事)를 보존했는데, 지금 또 없어지고 역이 되었던 것을 다시 성안에 대를 축조하고는 '고소'란 명칭으로 액자를 붙였던 것입니다" 운운하였습니다.

동쪽에는 체운소(遞運所)가 있고, 또 산해진(山海鎭)이 있었는데, 태호의 물은 석당(石塘)을 거쳐 운하로 흘러 들어가고, 성 동쪽을 거쳐 서쪽으로 가서 역에 이르게 됩니다.

오자서가 살았기 때문에 또 '호(胥湖)'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호수의 너비는 100여 보나 되는데, 북쪽으로는 시가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난간 사이로 광선이 반사하니, 빛이 위아래로 흔들리는 하였습니다.

성서쪽의 여러 산 가운데 천평산(天平山)이 한 봉우리를 군(郡)의 진산(鎭山)이라 하였습니다.

그 군에서 경치 좋은 산은 영암산(靈巖山), 오오산(五鳥山), 앙천산(仰天山), 진대산(秦臺山)으로서 질서 정연하게 벌여 있었는데, 역이 적당히 위치하고 있어 참으로 경치가 좋았습니다.

정오에 성이 왕(王)과 송(宋)인 안찰어사(按察御史) 두 대인이, 역 안에 와서 저를 예빈관(禮賓館)에서 대접하고는,

“당신 벼슬은 무슨 품계입니까?”라고 물었습니다.

"5품 벼슬입니다."

“당신은 를 잘 짓습니까?”

“우리나라의 선비들은 모두 경학의 궁리(窮理)로 업을 삼고 풍월을 농(弄)하는 것은 천하게 여기기 때문에 저도 시와 사(詞)는 배우지 않았습니다.”

“기자(箕子)가 조선에 봉해졌는데 지금도 후손이 있습니까? 또한 사당과 무덤에 제사를 지내는 일이 끊어지지 않고 있습니까?”

“기자의 후손 기준(箕準)이 위만(衛滿)에게 쫓겨서 마한(馬韓)으로 달아나 도읍을 정했는데, 후에는 백제에게 멸망을 당하고 지금은 후사가 없습니다.

기자의 사당은 평양에 있는데, 국가에서 해마다 봄과 가을에 분향을 하고 생폐(性幣)를 올리며 제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귀국은 무슨 장기가 있어서 수나라와 당나라의 군대를 물리칠 수 있었습니까?”

“지모 있는 신하(=謀臣)와 용맹스런 장수가 군사를 부리는 데 적절하였고, 병졸은 모두 윗사람을 어버이처럼 따르고 그를 위해 죽었습니다. 그런 까닭에 고구려는 작은 나라인데도 오히려 천하의 백만 대군을 두 번이나 물리쳤던 것입니다.[3][4][5][6][7][8][9] 지금은 신라, 백제, 고구려를 합쳐서 한 나라가 되었으니 물산(物産)은 많고 땅은 크며, 재물은 넉넉하고 군사는 강성하며, 충성스럽고 지모 있는 선비들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두 대인은 다 묻고 나서 외랑(外郞)을 시켜서 쌀 1쟁반, 두부 1쟁반, 국수사리 1쟁반을 받들고 와서 신을 접대하도록 하였습니다.

신은 를 지어 사례하였습니다.

또 정(鄭)씨 성을 가진 관원이 약헌(約軒)의 시(詩)에 화운해 주기를 청하기에 바로 차운(次韻)해 주었더니, 그 관인이 또 쌀 6되, 거위 1마리, 채소 1쟁반, 호두 1쟁반을 보내왔습니다.

또 나(羅) 태감의 가동으로 유(柳)씨 성을 가진 자는 나이 겨우 15-16세인데도 말씨가 맑고 단아하였습니다.

그는 성 안에서 와서 음식을 접대하였는데 종자들에게도 두루 미쳤습니다.

이절과 김태도 반찬을 사 가지고 와서 대접하였습니다.

밤 3경에 또 달빛을 이용하여 노를 저어 북쪽으로 가서 창문을 지나니, 창문 밖에는 통파정(通波亭)이 호수를 내려다보고 있었는데, 예전 이름은 '고려정(高麗亭)'[10]이라 합니다.

송나라 원풍(元豊) 연간에 건축하여 고려에서 조공하던 사신을 대접했던 곳이었습니다. 고려정 앞에는 집과 담이 잇닿아 있으며, 배들이 빗살처럼 죽 늘어서 있었습니다. 노를 저어 접관정(接官亭)에 이르러 정박하였습니다. 접관정의 서쪽에 큰 탑이 보였는데 이곳이 곧 한산선사(寒山禪寺)로서 이른바 고소성 밖의 한산사라는 곳입니다. 그 땅 이름을 물으니 풍교(楓橋)[11]라 하고, 그 물 이름을 물으니 사독하(射瀆河)라 하였습니다.

소주는 옛날에 오회(吳會)라 불렸던 곳으로 동쪽으로는 바다에 연하고, 삼강(三江)을 끼고 오호(五湖)를 둘렀으며 비옥한 들판이 천 리나 되고, 사대부들이 많이 모인 곳입니다. 사라능단(紗羅綾殺), 금은주옥과 같은 바다와 육지의 진귀한 보물과 온갖 기술을 가진 장인(匠人)들과 부상대고(富商大賈)들이 모두 이곳에 모입니다. 옛날부터 천하에서는 강남을 수려한 곳으로 여겼는데 강남에서도 소주와 항주가 제일가는 주(州)이고 특히 소주성이 최고였습니다. 낙교(樂橋)는 성안에 있는데, 오현(吳縣)과 장주현(長洲縣) 두 현치의 사이에 있었습니다. 상점이 별처럼 촘촘히 놓여 있고 강과 호수가 여러 갈래로 그 속을 꿰뚫어 흘렀으며, 사람과 물화가 사치스럽고 누대가 서로 연이어져 있었습니다. 또 창문(門)과 나루터 사이에는 초(楚)의 상인과 민의 선박이 구름처럼 모여들었습니다. 호수와 산은 아름답고 고왔으며 온갖 경치가 펼쳐졌습니다. 그러나 신 등은 밤을 이용해 고소역에 도착하였고, 그 이튿날은 구경하지 못하였으며, 또 밤을 이용하여 성을 옆으로 지나갔습니다. 그런 까닭에 백낙천의 이른바 ‘칠언(七堰)·팔문(八門)·육십방(六十坊)·삼백구십교(三百九十橋)’'삼백구십교(三百九十橋)'와 지금 옛 것을 없애고 만든 새 것과 더불어 빼어난 경치와 기이한 자취를 모두 상세히 기록할 수가 없었습니다.




17th Day. Moored in Front of Ku-su Station. This day was fair.

Su-chou is the place to which Ho-lü [r. 514-496 B.C.], King of old Wu, sent Wu Tzu-hsü to enclose it with a wall and make it the capital. The circumference of the wall is equal to that of Hang-chou, and the prefectural capital and the seats of Wu County and Ch’ang-chou County are within it. At Hsü Gate in the wall was formerly a Ku-su Tower, which is now done away with for a station. Trees have been planted in the water, forming great pillars, and a stone levee has been built on three sides. Huang-hua Tower stands in front, and Chao-yang Tower is built in the back. I asked Fu Jung about it: “If this station is on the ruins of Ku-su Tower, is this the place where the tower was built by the old King of Wu?” Fu Jung said, “No. What was called Ku-su Tower in olden times was on Ku-su Mountain. King Ho-lü of Wu put up the tower because of the mountain. Fu Ch'ai [r. 495-473 B.C.] enlarged it. The ruins still exist. In the Shaohsing period [1131-1162], another tower was built here and named Ku-su to keep the tradition. Now it has been done away with for a station. A tower was also built inside the wall and given a signboard with the name Ku-su.” To the east was a transfer station and also Shan-hai Market. But the waters of Lake T'ai, flowing into the Grand Canal between stone levees, go east and west along the wall and come out at the station. Because Wu Tzu-hsü lived there, it is also called Hsü Lake. It is about five hundred feet wide. In the north it curves round markets and junctions, winding and sparkling among railings, light dancing from it. Of the mountains west of the wall, the peak T’ien-p'ing is called the guardian mountain of the prefecture. The outstanding mountains of the prefecture are Ling-yen, Wu-wu, Yang-t'ien, and Ch’in-t’ai, one after another. It happens that the station looks out on them, making for an extremely beautiful view. At noon, two eminent persons, Regional Inspecting Censors [An-ch'a yü-shih] named Wang and Sung, came into the Station and received me in the Li-pin-kuan. They asked, “What is your official rank?” I answered, “Fifth Rank.” They said, “Can you write poetry?” I said, “The gentlemen of my country consider studying the Classics and probing to principles to be their concern and moaning about the wind and moon to be cheap; 1, therefore, have not studied poetry.” They asked, “Chi Tzu having been enfeoffed in Korea, are there now descendants of his ? And are his shrine, grave, and rites still kept up?" I answered, “Chi Tzu's successor, Kijun, was expelled by Wei Man. He fled to Ma-han, set up a capital, and later was destroyed by Paekche. There are now no descendants. Chi Tzu's shrine is in P'yongyang, and every year in spring and fall, the state ritually burns incense and sacrifices animals and money.” They asked, “What great technique did your country have, to have been able to repel the Sui and T’ang armies?” I said, “The ministers, who planned well, and the generals, who were bold, knew the right way to wage war. All the soldiers cherished their leaders and died for them. That way, Koguryo, though a remote little country, was capable of twice repelling the armies of China. Now that Silla, Paekche, and Koguryo have been combined into one country, its resources are many, its land big, its wealth great, and its soldiers strong. Its loyal and wise gentlemen are too many to be counted.' When the two eminent persons had finished their questioning, they ordered a deputy secretary to present to us one plate of rice, one plate of bean-curd, and one plate of wheat noodles. I wrote a poem and thanked them. Then an official named Cheng wanted me to match the rhymes of “Yüeh hsüan shih," and I did so. He presented to me six bushels of rice, one duck, one plate of fish and meat delicacies, and one plate of walnuts.

One Liu, a house servant of Overseer Lo, was fifteen or sixteen years old and elegant of speech. He came from inside the wall and presented food to [me] and my staff. Li Chieh and Chin T’ai also bought food and came and presented it. In the third watch of the night we rowed the boats north in the moonlight, past Ch’ang Gate. Outside Ch’ang Gate, T’ung-po Pavilion overlooked the lake. Its old name had been Koryo Pavilion, and it had been built in the Yüan-feng period of Sung (1078-1085] to receive tribute-bearers from Koryð. In front of the pavilion, adjoining roofs and rows of masts were as thick as the teeth of a comb. We rowed to Chieh-kuan Pavilion and stopped. To the west, the pavilion looked out on a great pagoda, which was Han-shan Ch’an Temple, the one commemorated in the line, “Outside the Ku-su wall is Han-shan Temple.”53 I asked the name of the place, and [someone] said, “Feng Bridge.” I asked the name of the river, and [someone] said, “She-tu River.” XXX In olden times, Su-chou was called Wu-k’uai. It borders the sea in the east, commands three large rivers and five lakes, and has a thousand li of rich fields. Learned men and gentry abound there; and all the treasures of the land and sea, such as thin silks, gauzes, gold, silver, jewels, crafts, arts, and rich and great merchants, are there. It has been accepted in China from olden times that the land south of the Yangtze River is the beautiful and good land and that within that land Su-chou and Hang-chou are the first departments, especially Su-chou. Yüeh Bridge is inside the wall and separates Wu and Chang-chou counties. Market quarters are scattered like stars. Many rivers and lakes flow through [the region], refreshing and purifying it. The people live luxuriously. There are solid rows of towers and stands, and in such places as the space between Ch’ang-men and Ma-t'ou (the wharves?], merchantmen and junks from Honan, Hopei, and Fukien gather like clouds. The lakes and mountains are fresh and stimulating, the scenic splendors innumerable.

But we came to Ku-su Station at night. The following day we did not have the pleasure of looking about either, but, traveling again at night, went along and past the wall. I have not been able, therefore, to record in detail any of the seven dams, eight gates, sixty quarters, or 390 bridges spoken of by Po Lo-t'ien,54 or old things now ruined, new things now added, unusually beautiful scenery, or marvelous remains. XXX




十七日

留泊姑苏驿前。是日晴。苏丹即古吴王阖闾使伍子胥城而都之城。周又与杭州同府治,及吴县、长洲县之治皆在城中。城之胥门旧有姑苏台,今废为驿,植木水中为滉柱,作石堤三面,皇华楼据其前,昭阳楼建于后。臣问诸傅荣曰:“此驿若是姑苏台之址,则即古吴王所筑台之处乎?”荣曰:“非也。古所谓姑苏台在姑苏山,吴王阖闾因山起台,夫差侈大之,遗址犹存绍兴间。又筑台于此,名姑苏,以存故事,今又废而为驿。又于城中筑台,匾以姑苏之名”云云。东有递运所,又有山海镇,而太湖之水由石塘注运河,由城东而西以达于驿。因伍子胥所居又名胥湖,湖广可百余步,北抱市衢,萦回映射,阑楯之间,光景浮动。而城西诸山,天平一峰号为郡镇,其郡山之胜,曰灵岩、五坞、仰天、秦台,秩秩有序。而驿适临之,真景致也。当午,有按察御史二大人,姓王若宋者来驿中,待我礼宾馆,问:“你官何品?”臣对曰:“五品官。”又曰:“你能诗否?”臣曰:“我国士子皆以经学穷理为业,嘲弄风月为贱,故我亦不学诗词。”又问曰:“箕子封朝鲜今有后否?且有庙墓祀事不废否?”臣对曰:“箕子之后箕准为卫满所逐,奔马韩以立都,后为百济所灭,今无嗣。箕子庙在平壤,国家每岁春秋降香,祝牲币以致祭。”又问曰:“你国有何长技能却隋、唐之兵乎?”臣曰:“谋臣猛将用兵有道,为兵卒者率皆亲上死长,故以高句丽一偏小之国,犹足以再却天下百万之兵。今则合新罗、百济、高句丽为一国,物众地大,财富兵强,忠智之士车载斗量,不可胜数。”二大人问毕,命外郎奉米一盘、豆腐一盘、面筋一盘以馈。臣作诗以谢。又有官人姓郑者求和约轩诗韵。臣即次之。其官人又以米六斗、鹅一只、菜一盘、胡桃一盘来赠。又有罗太监家僮姓柳者,年才十五六,言词清雅,自城中来馈,以及从者李节、金太亦买馔来馈。夜三更,又乘月棹舟而北,过阊门,——阊门之外有通波亭临湖,旧名高丽亭,宋元丰间所筑,以待高丽朝贡之使。亭前接屋连樯,舳舻如栉。——棹至接官亭以泊。亭之西,望有大塔,即寒山禅寺,所谓“姑苏城外寒山寺”者也。问其地名则曰枫桥;问其水名则曰射渎河也。苏州古称吴会,东濒于海,控三江,带五湖,沃野千里,士夫渊薮。海陆珍宝,若纱罗绫缎、金银珠玉,百工技艺、富商大贾,皆萃于此。自古天下以江南为佳丽地,而江南之中以苏杭为第一州,此城尤最。乐桥在城中,界吴、长洲两县治间,市坊星布,江湖众流通贯吐纳乎其中,人物奢侈,楼台联络。又如阊门、码头之间,楚商闽舶辐辏云集。又湖山明媚,景致万状。但臣等乘夜到姑苏驿,翌日又不喜观望,又乘夜傍城而过,故白乐天所谓七堰、八门、六十坊、三百九十桥,及今废旧添新、胜景奇迹,俱不得记之详也。




  • 기후
  • 지명
  • 역사
  • 고증(건축)
  • 지명
  • 언어(어원)
  • 건축물
  • 풍경
  • 제도(관직)
  • 사회
  • 역사-조선
  • 유학(사당,묘에제사,분향)-조선
  • 유학(효,용맹,지모있는 선비)-조선
  • 풍습(음식)
  • 의전(음식)
  • 인물
  • 시간
  • 언어(어원)
  • 불교
  • 역사-고려
  • 사회
  • 의전
  • 인명
  • 제도(외교)
  • 유학(예의숭상)
  • 언어(작고-물고)
  • 사회(유생은기예를배우지않는다)-조선
  • 제도(교육)-조선
  • 유학(예절)-조선
  • 행정(국법)-조선
  • 모화
  • 행정(연호)-조선
  • 제도(관복)-조선
  • 풍습(초상)-조선
  • 풍습(의복)-조선
  • 풍습(음식)
  • 의전(음식)
  • 유학(주례)
  • 제도(교통)
  • 시간






  1. ‘동양의 베니스’ 중국 쑤저우(蘇州), 신동아, 2010.01.08
  2. 와신상담
  3. 여수전쟁
  4. [토크멘터리 전쟁史 43부 고구려-수나라 전쟁편]
  5. 고구려가 수나라 100만 대군을 이길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
  6. 고구려는 어떻게 수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했나?, 민플러스, 2019.02.26
  7. 고구려 수당전쟁
  8. 고구려가 수-당과 벌인 90년 전쟁이 자기네 국내전쟁이라는 중국의 궤변, 동아일보, 2014.02.18
  9. 우리가 변해야 중국이 바뀐다, <칼럼> 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위원, 통일뉴스, 2017.12.20
  10. [박현규 교수와 함께 한 대륙 속 우리문화 흔적을 찾아서<2> 장쑤 성 쑤저우 시의 고려정]
  11. 楓橋夜泊(풍교야박), 한겨레신문, 2016.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