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개설
태종이 1405년(태종 5) 한양으로 재천도하면서 정궁이던 경복궁에 들지 않고 경복궁 동편에 새로 이궁(離宮)을 세워 이름을 창덕궁이라고 하였다(『태종실록』 5년 10월 25일). 역대 왕들이 다른 궁보다 이곳을 좋아하였으며 17세기 이후에는 경복궁을 대신해서 정궁으로 사용했다. 동쪽에는 담을 사이에 두고 창경궁이 있어서 창덕궁의 부족한 공간을 채워 주었다. 조선후기에는 두 궁을 합해서 동궐(東闕)이라 불렀다.
도성 북쪽 응봉에서 내려오는 경사진 지형을 살려 지세에 맞추어 건물들을 지었다. 따라서 전체 건물 배치는 좌우 대칭을 피하고 크고 작은 건물과 마당들이 불규칙하면서도 서로 연속성을 갖고 이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넓은 숲으로 이루어진 후원은 인공을 최소화하고 자연 상태의 언덕과 골짜기로 만들어졌으며 곳곳에 정자와 샘물이 마련되었다. 후원은 창경궁에서도 함께 이용했다.
위치 및 용도
경복궁의 동편에 있으며 도성 전체로 보면 중앙의 약간 북쪽에 위치한다. 조선초기 풍수가 중에는 주산인 백악(북악산)이 북서쪽에 치우쳐 있는 점을 결함으로 치고 남쪽 산인 목멱산(남산)과 마주하는 응봉(鷹峰) 아래를 명당으로 주장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창덕궁이 바로 응봉 아래 궁궐이었다. 이런 주장은 임진왜란 이후 궁궐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창덕궁이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종묘는 창덕궁과 언덕을 사이에 두고 이어져 있었다. 그 때문에 왕들은 궐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종묘에 갈 수 있었다. 왕이 궐 밖으로 나가는 일은 복잡한 절차와 많은 수행 인원을 대동해야 하는 번잡한 일이었으므로 이런 점에서도 창덕궁은 편리한 점이 있었다.
17세기 이후 경복궁을 대신해서 창덕궁이 정궁의 역할을 맡자 공간의 부족을 곁에 있는 창경궁을 함께 사용하면서 해결했다. 그 결과 두 궁궐을 통칭해서 동궐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그에 상응해서 도성 서쪽의 경희궁을 서궐(西闕)로 칭하여 조선후기의 역대 왕들은 두 궐을 오가며 정치를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서 동궐이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1721년(경종 1)이며(『경종실록』 1년 11월 2일) 서궐은 1760년(영조 36)에 나타난다(『영조실록』 36년 10월 8일). 뒤에 경복궁이 중건되자 북궐(北闕)이란 호칭을 붙였다(『고종실록』 37년 3월 23일).
변천 및 현황
이궁으로 출발한 창덕궁은 곧 건물이 비좁고 부족한 사태를 맞아 건물을 증축하고 영역을 넓혀 나갔다. 정전은 당초 정면 3칸으로 지었으나, 10여 년이 지난 1418년(세종 즉위)에는 5칸으로 증축하였다. 이후에도 여러 부속 전각들이 신축되었는데, 조선전기에 가장 이름난 건물은 연회를 베풀기 위해 지은 광연루(廣延樓)였다. 이 건물은 경복궁의 경회루(慶會樓)에 대비될 수 있는 창덕궁의 누각이었다.
임진왜란으로 도성 내 궁궐이 모두 소실된 후에 경복궁은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창덕궁이 가장 먼저 복구되었다. 1609년(광해군 1)에는 정전 등이 갖추어졌고 1611년(광해군 3)에는 광해군이 창덕궁으로 들어왔다. 이때는 복구를 통해 소실 이전 모습을 그대로 되살렸다고 전한다(『광해군일기』 3년 10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