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onthedh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도성 동쪽 창덕궁 동쪽에 대비의 처소를 위해 지었던 궁궐. 원래 이름은 수강궁이었다.

개설

성종이 즉위하였을 때 생존해 있던 세조 비 정희왕후(貞熹王后), 덕종 비 소혜왕후(昭惠王后), 예종 비 안순왕후(安順王后)를 모시기 위해 1484년(성종 15)에 지은 궁이다(『성종실록』 15년 9월 27일). 그 터에는 고려 말에 남경 천도를 계획하면서 궁을 세웠던 것으로 전하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종이 왕위를 세종에게 물려주자 세종이 상왕의 거처로 다시 궁을 지어 수강궁(壽康宮)이라 했으며 성종대 다시 궁을 지어 창경궁이라 이름 지었다. 이곳에서는 왕실의 공식적인 의례인 조하 의식이나 외국 사신 접견 등은 거의 치러지지 않았고 왕이나 왕비, 왕대비 및 후궁들이 거처하는 곳으로 활용되었다.

정문과 정전이 동향을 하였는데, 궁의 정문이나 정전이 동향을 하고 있는 점은 조선시대 다른 궁에서 볼 수 없는 점이다. 동향을 하게 된 배경에는 왕대비 처소를 정전의 동편에 둔다는 고대부터 내려오는 궁궐 배치 관습이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창건 이후에는 주로 왕대비나 후궁이 거처하였고 왕이 침소로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조선후기에는 창덕궁과 함께 동궐(東闕)이라고 불렀다. 후원은 창덕궁과 함께 사용했으며 후원에서 과거시험을 치를 때는 주로 창경궁 쪽에서 출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