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채이 연습

onthedh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에 선조가 피난지인 의주에서 서울로 돌아와 정릉동에 있던 월산대군(月山大君)의 사저에 머물면서 행궁으로 사용하던 곳을 1611년에(광해군 3) 광해군이 처음 경운궁이라 이름 붙였다[1] 1623년(인조 1)에는 인조반정 뒤에 인조가 경운궁 즉조당(卽祚堂)에서 즉위하였으며 [2], 이후 1748년(영조 24)에는 영조가 인조의 즉위처를 확인하기 위해 경운궁에 임어하기도 했다.[3] 고종 이전까지 명례궁(明禮宮)이 자리하기도 했다.

고종대 황폐한 이곳에 새롭게 궁궐을 조성했다. 1893년(고종 30)에는 고종이 즉조당에서 선조 환도 30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을 치렀다.[4] 1896년(고종 33) 명성황후(明成皇后)가 일본인에 의해 살해되는 을미사변이후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파천(播遷)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정궁으로 삼고자 경운궁을 영건하였다.
1897년(광무 1) 고종이 환구단에서 황제로 즉위하고 경운궁으로 돌아와 대한제국을 선포하자 경운궁은 황궁(皇宮)으로 격상되었다. 1907년(융희 1)고종이 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퇴위된 이후 고종의 호를 덕수(德壽)로 하였기 때문에 경운궁은 덕수궁(德壽宮)으로 불렸다. 속칭 정릉동 황궁(皇宮)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고종 사후인 1921년에는 경운궁선원전(璿源殿), 순종 비의 혼전인 의효전(懿孝殿)을 창덕궁으로 이건한 뒤, 궁역 서북부가 분할·매각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미군정의 사무소와 미소공동위원회의 회의장으로 석조전(石造殿)이 사용되었으며, 1948년에는 정부 수립과 광복 3주년을 기념하는 의식이 거행되는 등 정치의 중심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이후 경운궁은 덕수궁으로 통칭되며 시민공원으로 활용되거나 음악공연장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석조전과 그 별관은 국립미술관, 궁중유물전시관 등으로 이용되면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역사

덕수궁 이름의 변천사

주요 건물

함녕전

咸寧 : 모두가 평안하다


함녕전은 대한제국 1대 황제 고종이 거처하던 생활공간(침전)이다.

광무 1년(1897)에 지었는데, 광무 8년(1904) 수리공사 중 불에 타[5] ,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이곳은 고종이 순종에게 황위를 물려준 뒤 1919년 1월 21일 세상을 떠난 곳이다. (고종황제 승하)
규모는 앞면 3칸·옆면 4칸이며 서쪽 뒤로 4칸을 덧붙여 평면이 ㄱ자형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인데 위쪽에 여러 가지 조각을 장식해 놓고 있다. 더욱이 지붕 모서리 부분에 장식기와를 나열한 점은 침전 건축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특이한 구성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는 구조는 새부리 모양의 익공 양식이며 구름과 덩굴문양으로 꾸몄다. 건물의 천장은 천장 속을 가리고 있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천장으로 꾸몄고, 네면 모든 칸에 벽을 두르지 않고 창을 달아 놓았다.
대한제국기 마지막 황실 침전 건물로 건축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즉조당

준명당

석어당

석조전

건물의 훼손과 복원

  1. 덕수궁 대화재

덕수궁에서 일어난 일

아관파천

대한제국 선포

고종황제 강제 퇴위

고종황제 승하

1919년 1월 12일 고종 황제가 덕수궁 함녕전에서 승하하였다. 함녕전은 고종이 침전으로 사용하던 공간으로, 1897년(광무 1)에 건축되어 1904년(광무 8)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같은 해 12월에 중건되었다. 고종의 죽음이 일제의 독살이라는 소문이 퍼지기 시작하면서 반일 감정은 극에 달했고 결국 그해 3.1 운동으로 이어졌다. 고종의 죽음은 한 역사의 종말이자 새로운 역사의 출발점이 되었다.

미·소 공동위원회 개최

덕수궁 사진

덕수궁 동영상

각주

  1. 『광해군일기』 3년(1611) 10월 11일
  2. 『인조실록』 1년 3월 13일
  3. 『영조실록』 24년(1748) 1월 27일
  4. 『고종실록』30년 10월 4일
  5. 『고종실록』41년 (1904) 4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