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번째 줄: | 303번째 줄: | ||
− | [[분류:김광우 작업실 | + | [[분류:김광우 작업실]] [[분류:석사학위논문]] |
2020년 8월 19일 (수) 19:46 기준 최신판
1. 단행본 <가나다순>
京畿道警察局 編, 『昭和 13年 京畿道警察局 治安現況』, 京畿道警察局, 1938.
김점도 편저, 『유성기음반총람자료집』, 신나라뮤직, 2000
김현, 『인문정보학의 모색』, 북코리아, 2012.
김현·임영상·김바로,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2017.
동아경제시보사편,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1939년판), 東亞經濟時報社, 1939
동아경제시보사편,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1941년판), 東亞經濟時報社, 1941
동아경제시보사편,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1942년판), 東亞經濟時報社, 1942
류금주, 『도표와 사진으로 보는 안동교회 여전도회 100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 안동교회 여전도회, 2015
朴燦鎬, 『韓國歌謠史』, 東京: 邑楽舎, 2018
朴燦鎬, 『韓國歌謠史』, 東京: 晶文社, 1987
박찬호·안동림 옮김, 『한국가요사 1』, 미지북스, 2009
박찬호·안동림 옮김, 『한국가요사』, 현암사, 1992
배연형 외(한국음반아카이브 엮음), 『한국 유성기음반』(전5권), 한걸음더, 2011
배연형, 『한국유성기음반문화사』, 지성사, 2019
徐麗紗, 『從日治時期唱片看臺灣的歌仔戲 上冊【探索篇】』, 國立傳統藝術中心, 2007
안동교회역사편찬위원회, 『안동교회 90년사』, 안동교회, 2001
영명100년사편찬위원회, 『永明100年史』, 공주영명중·고등학교, 2006
王钢·杜军民, 『孙中山及辛亥革命音频文献』, 由文心出版社·河南电子音像出版社, 2017
윤치호(국사편찬위원회편), 『尹致昊日記 七』, 국사편찬위원회, 1986
이철편, 『世界傑作歌曲 白薔薇 第1輯』, 백장미사, 1927
조선악극단기획부편, 『조선악극단 제1집』, 조선악극단기획부, 1940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2009
현경섭, 『현경섭의 일기』,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황문평, 『한국대중연예사』, 부르칸모츠, 1989
2. 논문 <가나다순>
김인숙, 「유성기음반 해제를 위한 음악적 장르 분류와 방법적 모색」 『한국음반학』 19, 한국고음반연구회, 2009
김지명, 『기록문화유산의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김현, 「향토문화 하이퍼텍스트 구현을 위한 XML 요소 처리 방안」『인문콘텐츠 9』, 인문콘텐츠학회, 2007
김현규, 『3.1운동에 관한 개방적 연계 데이터 구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9
민경탁,「작가 금릉인(金陵人)의 음악 인생과 가요사적 업적」『대중음악』10, 한국대중음악학회, 2012
박희, 「세계대공황기미국과일본의대응전략: 구성주의적평가」『담론201』 제21권 1호, 한국사회역사학회, 2018
석지훈, 『1930년대 조선악의 근대적 기획과 보급』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야마우치 후미타카(山內文登), 『일제시기 한국 녹음문화의 역사민족지-제국질서와 미시정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야마우치 후미타카(山內文登), 『한국에서의 일본대중문화 수용에 관한 역사적 고찰 : 구한말·일제강점기 창가와 유행가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오충신, 「강점기 언어정책에 대하여-한국과 대만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논문집』2, 2010
이동순, 「일제말 군국가요(軍國歌謠)의 발표현황과 실태」『한민족어문학』제59호, 한민족어문학회, 2011
이준희, 「‘대중가요' 아리랑의 1945년 이전 동아시아 전파 양상」 『한국문학과 예술』 6,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 예술 연구소, 2010
이준희, 「1945년 이전 일본 대중가요 음반에 나타난 조선인의 활동」 『대중음악』 7, 한국대중음악학회, 2011
이준희, 「일제시대 군국가요(軍國歌謠) 연구」 『한국문화』 46,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9
이준희, 「일제시대 음반검열 연구」 『한국문화』 3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임동현, 「1930년대 조선어학회의철자법 정리 통일운동과 민족어 규범 형성」 『역사와 현실』94, 한국역사연구회, 2014
임승관, 『일제강점기 3차 조선교육령(1938년도)의 시행과 성격』, 국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조영규, 『協律社와 圓覺社 硏究』, 연세대학교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박사학위 논문, 2006
최희수,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과제」 『소통과 인문학』 제13집, 한성대학교 인문화학연구원, 2011
하야시야마 가오리, 『일제강점기 언어정책에 따른 초등 조선어 교과서 내용 연구』,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한동숭, 「4차 산업 혁명 시대, 대학 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 42, 인문콘텐츠학회, 2016
한동숭, 「문화기술과 인문학」 『인문콘텐츠』 27, 인문콘텐츠학회, 2012
한동숭, 최희수, 김진규, 두일철, 김상헌 「미디어와 문화기술 그리고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 27, 인문콘텐츠학회, 2012
한정호, 「정인섭의 아동문학 연구」『현대문학이론연구』 69권,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홍정욱, 「디지털기술 전환 시대의 인문학-디지털 인문학 선언문을 통한 고찰」 『인문콘텐츠』 38, 인문콘텐츠학회, 2015
3. 신문, 잡지, 문서, 음반 <날짜순>
<신문>
「義將은 死언정 不屈」『공립신보』, 1908년 11월 4일
「玄映運과 鑛訟」『매일신보』 1916년 5월 5일
「괴물 배정자, 菩薩? 夜叉?」『매일신보』, 1916년 12월 8일
「尹致旿氏結婚」『매일신보』, 1919년 5월 14일
「李命夏氏 畧厯」『독립신문』, 1921년 2월 25일
「玄海灘激浪中에 靑年男女의 情死」『동아일보』, 1926년 8월 5일
「白薔薇第一輯發行」『동아일보』, 1927년 2월 5일
「隱退하얏든 裴龜子孃 劇壇에 再現」『동아일보』, 1928년 4월 17일
「仲秋佳節月明夜에 嘉俳音樂大會」『조선일보』, 1928년 9월 28일
「仁川音樂의 밤」『조선일보』, 1930년 5월 24일
「玄鼎健氏永眠」『동아일보』, 1933년 1월 1일
「오케-레코-드 朝鮮盤이 新年의 太陽가치 半島에 出現」『동아일보』, 1933년 2월 1일
「레코-드 販賣 年 二百萬枚, 風俗壞亂과 治安妨害 等 取締 規則 制定 中」『조선중앙일보』, 1933년 5월 10일
「레코-드 取締 規則을 發表」『동아일보』, 1933년 5월 23일
「近日 落城될 韓靑삘딍」『동아일보』, 1935년 5월 22일
「한글記念會合」『동아일보』, 1935년 10월 28일
「한글創製의 苦心」『동아일보』, 1935년 10월 28일
「壯!! 오케-朝鮮語敎育레코-드」, 『조선일보』, 1936년 1월 1일
「인생극장」 광고, 『조선일보』, 1937년 3월 9일
「朝鮮樂劇團 東京서 大好評」『동아일보』, 1939년 5월 13일
「本社主催讀者慰安會의 一場面(저고리씨스터즈)」『동아일보』, 1940년 3월 30일
「朝鮮樂劇團 映畵製作에 進出」『매일신보』, 1941년 4월 6일
「舞踊詩 扶餘回想曲」『국민신보』, 1941년 6월 1일
「銃後國民訓, 南總督 레코-드 吹込」, 『매일신보』, 1941년 6월 8일
「지원병의 어머니」 광고, 『매일신보』, 1941년 7월 28일
「朝鮮演藝協會-關係者卅餘名網羅今日結成式」『매일신보』, 1942년 1월 27일
「李王邸에 參上-朝鮮樂劇團演奏」『매일신보』, 1943년 5월 26일
「靑山哲氏 別世」 『매일신보』, 1944년 6월 21일
「조선악극단 15주년 공연」『경향신문』, 1947년 4월 9일
「関西発レコード120年(埋もれた音と歴史)」 連載記事, 『神戸新聞』, 1999년 1월
최승현, 「김정구 '낙화삼천' 부르자… 영친왕 뺨엔 눈물이 주르륵」『조선일보』, 2010년 2월 25일
유선희, 「일제강점기 영화 ‘흥행 참패 징크스’ 깰까」『한겨레신문』, 2015년 7월 22일
이준희, 「‘조선악극단’ 마지막 증인, 강윤복의 일생」『오마이뉴스』, 2015년 5월 18일
류금주,「연희전문학교와 서울 안동교회의 묘한 관련」『한국장로신문』, 2016년 6월 4일
이준희, 「최초의 걸그룹, 저고리시스터즈 리더 아세요?」『오마이뉴스』, 2016년 6월 26일
<잡지>
橫田生, 「東洋、大阪兩蓄音器會社の合併談」『蓄音器世界』, 蓄音器世界社, 1918년 4월
「假想夫婦 誌上 大披露宴」『별건곤』 제26호, 1930년 2월호
吳壽山, 「카페- 夜話, 한숨지는 孔雀들」『별건곤』 제55호, 1932년 9월호
「萬國夫人싸론-절세미인 구성안」『萬國婦人』 제1호, 1932년 10월호
草兵丁, 「六大會社 레코드戰」『三千里』, 1933년 10월호
「二大 財閥의 삘딍 爭覇戰, 韓靑· 永保의 兩大陣營」『三千里』 제7권 6호, 1935년 7월호
聽又聽生, 「沈滯해가는朝鮮레코-드의 運命」『朝光』 1935년 11월호
金陵人, 「朝鮮語敎育레코오드 吹入 製作의 經過」『한글』(3권 10호), 조선어학회, 1935년 12월호
「女社長 裵貞子 登場, 東劇의 신춘활약은 엇더할고」『三千里』 제10권 1호, 1938년 1월호
草兵丁, 「百八念珠 만지는 裵龜子 女史」『三千里』 제12권 5호 , 1940년 5월호
「機密室, 우리 社會의 諸內幕」『三千里』 제12권 9호, 1940년 10월호
S.P.R, 「舞踊詩, 扶餘回想曲」『國民新報』 제113호 6권, 1941년 6월호
「君と僕」를 말하는 座談會, 『三千里』 제13권 9호, 1941년 9월호
조관희, 「사연따라 연예 반세기(演藝 半世紀)…그 시절 그 노래(8)」, 『선데이서울』 제228호, 1973.2.25
이동순, 「일제시대 조국의 노래를 지켜냈던 이철의 삶과 예술 그리고 조국」『월간조선』, 2003년 7월호
<문서>
「국수 한 사발」 가사지, 오케레코드, 1933.8.15.
「연애특급」 가사지, 오케레코드, 1937.2.10.
「주식회사설립-조선녹음주식회사」『조선총독부관보』제3354호, 조선총독부, 1938년 3월 25일 자
「미녀도」 가사지, 오케레코드, 1939.1.20.
「內鮮一體の朝鮮樂劇團」전단, 名古屋劇場, 1939년 3월
「오조」 가사지, 오케레코드, 1940.1.1.
「조선연예주식회사」『조선총독부관보』 제4261호, 조선총독부, 1941년 4월 9일 자
「조선악극단」『조선총독부관보』 제4306호, 조선총독부, 1941년 6월 6일 자
「이철 제적부」, 종로구청
「이철 배재고보 학적부」, 배재고등학교, 2009
「이철 연희전문 학적부」, 연세대학교, 2009
<음반>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1925~1945)」, 신나라레코드, 1992
「군국가요 40선 – 일장기 그려 놓고 성수만세聖壽萬歲 부르고-」, 민족문제연구소·유정천리, 2017
4. 웹페이지 <가나다순>
<사전류>
국립민속박물관편,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국립민속박물관
송방송, 『한겨레음악대사전』, 도서출판 보고사, 2012
『위키백과』, Wikimedia Foundation
전경욱, 『한국전통연희사전』, 민속원, 2014
한국학중앙연구원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검색시스템>
국립중앙도서관편,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화자료 검색시스템』,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편, 『조선총독부관보활용시스템』, 국립중앙도서관
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소편, 『유성기음반 검색시스템』, 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소
국사편찬위원회편, 『한국역사통합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
<연구사업>
고려대학교,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한국학진흥사업단, 2014
동국대학교, 『한국 유성기음반 해제와 정보 웹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한국연구재단, 2008
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오케레코드와 조선악극단』,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기타>
김현, 「인문정보데이터베이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수업자료(2017)
김현, 「Semantic Data SQL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교실
김현, 「Semantic Database Visualization」,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교실, 검색일 2019년 11월
김현, 「XML의 이해」,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수업자료(2018)
김현규, 「3·1운동 데이터 모델」,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한국콘텐츠진흥원편, 『문화콘텐츠닷컴』, 한국콘텐츠진흥원
changpian, 「大阪蓄音器と樫尾長右衛門」『備考欄のようなもの』, 2012년 2월 7일
changpian, 「再び樫尾慶三について、そして朝鮮・台湾のオーケーレコード」『備考欄のようなもの』, 2012년 2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