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한국고고학사전 활용방안연구 보고서

my9univ
My9univ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5월 19일 (금) 11:5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국고고학사전 활용방안 연구 최조보고서(2022.11) 분석 - 1장(3p ~ 53)

개요

  • 고고학계 연구성과 및 업적 집대성 -> 일반인의 문화유산 이해 도모 - 2001부터 2022까지 11편 발간
  • 일반편 + 주요시대 망라하여 구분 -> 일반, 청동기, 고분, 성곽 및 봉수, 신석기, 구석기, 고분유물, 생산유적 편
  • 대표 유적 소개, 기본적 개념 정리
  • 편찬체계 검토 방법: 편별 사전의 구성과 표기 원칙 - 용어 선정 및 원고 작성, 유적의 범위 / 항목 배열, 표제어 명의 규칙 등


편찬체계 검토

한국고고학사전(~2001)

  • 1992~2000년 한국상고사학회와 계약(용어 선정 및 원고작성) + 2001년 연구소에서 교정 및 도면과 도판 편집
  • 일반편 + 시대편
  • 기본 용어 개념 및 시대별 유적 설명
  • 항목명: 한글 자모순 배열 / 『문화재청 용어순화집』(문화재청, 2001) 참고하여 한글 표기 + ()에 한자 또는 원어 병기
  • 항목명 중 유적의 지명: 행정구역상의 최신 지명을 따르되, 고유명사화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지명은 옛 지명 표기 / 한글로 동, 리 + ()에 시, 군 및 동, 리 를 한자로 표기
  • 한 지명 내 여러 시대 유적이 있으면, 동일 지점이면 지명만으로 유적명 표기하고, 전 시대를 설명 / 다른 지점이면 지명 및 유적 성격명으로 유적명 표기
    • 동일 지점인 경우, 시대를 나누어서 ID로 잡아주는 것이 좋을 것 같음 (for 고고학전문사전과의 연계성)


한국고고학전문사전-청동기시대편(2003~2004) 및 2022년 증보판

  • 증보판만 보면 되는지?
  • 한반도 및 주변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 및 유물, 개념용어 망라 + 2022 증보를 통해 최신 연구성과 증보
  • 2004년 표기원칙
    • 항목은 한글 자모순 배열 / 유적명은 정식조사가 이루어진 것을 우선 기재
    • 항목명: 한글 표기 + () 혹은 []에 한자 또는 원어 병기
    • 항목명 중 유적명: 지명과 성격명으로 표기(유적의 지명과 성격은 띄어쓰는 것이 원칙)
      • 성격명은 유적의 대표적인 성격으로 표기, 여러 성격의 유구가 혼합되었으면 유적으로 표기
      • 지명은 한글 동,리 / ()에 시, 군 및 동, 리 를 한자로 표기
  • 2022년 증보판 표기원칙
    • 표제어: 한글 자모순 배열, 동일한 경우 지역명의 자모순 배열
    • 표제어: 한글 표기 우선 + 한자어 병기
    • 유적 표제어의 성격: 유적을 원칙으로 하고, 특정 성격(고인돌 및 군, 동굴유적, 바위그림, 조개더미, 선돌 등)의 유적은 별도 구분
      • 고인돌(군), 조개더미는 유적 특성상 구분이 가능한 경우 세부 유적 이름을 덧붙여 구분(ex. 천곡리 연지 고인돌군 )
    • 유적 표제어의 지명은 현재 법정동(리)명이 변경된 경우, 관용적 유적명, 문화재와 상이한 경우 찾아가기(>》)로 표시
    • 개념 표제어: 중요 개념, 유구, 유물 등의 명칭을 표기 / 하위 개념이나 같은 개념의 이칭에서 찾아가기를 통해 상위 개념의 표제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ex. ‘ㄱ’자 모양 돌칼>》‘ㄱ’자 돌칼, 동북형 석도>》‘ㄱ’자 돌칼
유경식 석도>》‘ㄱ’자 돌칼)
      • 이칭으로 분류된 것 중 sameAs 개념의 이칭과, type 개념의 이칭이 혼용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됨. 이칭에 대한 정확한 규칙 설정 필요
      • 2004년과 2022년 증보판 차이: 대표적 성격+여러 성격 혼합이면 유적 vs 원칙으로 유적+특별 성격만 구분 하나로 통합할 필요가 있음


한국고고학전문사전-고분편(2009)

  • 한반도 및 주변지역의 고분 유적, 개념용어 정리
    • 한국 고분 형성과 관련이 있거나 상호 영향을 주고받은 중국, 러시아, 일본소재 유적 다수 포함
  • 유적의 범위: 초기철기시대 말기 무렵(대구 팔달동분묘군 단계) ~ 통일신라시대
    • 주조철기가 출토되는‘초기철기유적’과 『한국고고학전문사전-청동기시대편』에 수록된 ‘지석묘’, 향후 발간예정인 『한국고고학전문사전-건물지편』, 『한국고고학전문사전-유물편』에 수록예정인 ‘취락’, ‘출토유물’은 제외
  • 항목은 한글 자모 순 / 개별 고분을 포함하는 상위 고분군이 있으면 상위 고분군 먼저, 개별 고분을 다음으로
  • 유적명: 지명과 함께 + ‘고분’, ‘분묘’, ‘유적’ 등을 사용
    • ‘분묘’: 3세기까지의 원삼국시대가 중심인 유적
    • ‘고분’: 삼국시대가 중심인 유적
    • ‘유적’: 고분 외 기타 유구(주거지 등)가 함께 나온 경우
    • ‘고분군’: 기타 유구와 함께 고분이 확인된 경우라도 고분군이 밀집하여 분포하거나 고분군으로 알려진 경우
    • 유적명에 국가명(백제, 신라 등)은 사용 자제, 그러나 두 개 이상의 고분군이 있어 구분이 필요한 경우 사용
    • 설명에 국가가 있는지 확인 필요 -> 없다면 삼국시대로 묶을지, 미확인 된 것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것들만 삼국시대로 해놓고, 확인된 것은 나라를 엮을지(->차후 밝혀지면 차차 수정)
  • 유적명은 ( )에 시ㆍ군 명과 함께 한자를 병기
  • 표제어명은 ① 발굴보고서의 명칭과 ② 지정명칭을 따랐으며, 대표 시ㆍ군 명을 제외한 세부주소(구 등)는 표제어에 표기하지 않으나, 문화유적분포지도에 수록된 조사되지 않은 유적의 경우 동ㆍ리명을 반드시 표기
  • 외국에 소재한 유적명은 현지 발음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표기 원칙 / 중국은 우리의 한자 발음으로 표기


한국고고학전문사전-성곽ㆍ봉수편(2011)

  • 한반도 및 주변지역의 성곽 및 봉수와 관련된 개념과 출토 유적의 현황 및 성격 용어 정리
    • 연관성이 있을만한 중국, 러시아, 일본소재 유적 다수 포함
  • 성곽편과 봉수편으로 대별한 뒤, 각각 한글 자모순으로 배열
  • 표제어별 원고의 흐름은「①명칭/지정번호, ②위치, ③주변 환경 및 입지, ④초축 연대 및 사용 시기, ⑤유적 내용 및 현황, ⑥출토유물, ⑦중요성 및 의의, ⑧참고문헌」의 순
    • 북한 소재 유적의 경우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간행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를 기준으로 표제어명을 정함
  • 원칙은 현재 지명을 사용 / ( )에 시ㆍ군 명을 한자로 병기
  • 외국에 소재한 유적명은 현지 발음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표기 원칙 / 중국은 우리의 한자 발음으로 표기
  • 한자를 음으로 표기한 경우는“한글(한자)”, 한글 표기와 한자음이 다른 표현인 경우 “한글〔한자〕”로 표기


한국고고학전문사전-신석기시대편(2012)










정리 및 방안

명칭

  • 명칭: 한글과 한글 이외의 언어(한자, 한자+원어, 한자와 영어 - 영어는 한자와 별개로 있음)
    • 명칭: 한글 명칭 / 이외의 언어(한자, 한자+원어) / 영어는 넣는 것을 원칙으로 함
  • 이칭: 이칭과 상위개념의 분리


유형 - 개념 only

  • ->개념항목 중 분류주제가 될 수 있는 것을 선정(ex.문화재관리: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 / 제작 기술 / 구성재료)하여 모든 사전에 메타데이터로 들어가면 좋겠음. (항목화 X) - 한국고고학사전과 그 외의 사전을 하나로 묶을 수 있음

대표적 유적 유형(개념)

  • 개요: 모든 사전 / 개념 한정
  • 고분, 고인돌, 굴립주건물, 분구묘 등 고고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유적의 대표적인 유형
  • 내용: 용어의 개념, 다른 유형과 구분 방법, 유적 조사 방법, 주요 특징

대표적 유물 유형(개념)

  • 개요: 모든 사전 / 개념 한정
  • 고고학 분야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물의 유형과 관련된 용어
  • ex. '之'자문토기문화, ‘U’자형 철기, ‘ㄱ’자형돌칼, 빗창, 작살, 활ㆍ화살 등
  • 고고학 분야에서 특정 시대 및 특정 지역의 문화권 설정을 위한 지표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유물의 유형도 포함됨
  • 내용
    • 유물의 개념, 제작 방식, 형태적 특징, 출토지역 범위, 의미 등
    • 도구의 개념, 연혁, 형태적 특징, 시공간적 분포 범위, 의미 등

세부 구성요소(개념)

  • 개요: 모든 사전 / 개념 한정
  • 고고학 분야의 유적 또는 유구의 내ㆍ외를 구성하는 세부 시설 등
  • ex. 매장주체부, 목곽고, 암거
  • 내용: 용어 개념, 시설방법, 주요 특징 등


제작 기술(개념)

  • 개요: 모든 사전 / 개념 한정
  • 유물을 제작하는 방법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유구 또는 유적을 조성하는 방법 등을 통칭
  • ex. 골각기 제작방법, 부엽공법, 야장, 한국의 제철
  • 내용: 용어의 개념 정의, 사례, 연혁, 의미 등

구성 재료(개념)

  • 개요: 모든 사전 / 개념 한정
  • 유물의 제작이나 유구를 조성할 때 사용되는 대표적 재료
  • ex. 수은, 운모, 황토 등
  • 내용: 용어 개념, 생산 방법, 생산 지역, 사용처, 사용 방법, 의미 등


문화재 및 다른 학문 분야 관련 항목(개념)

  • 개요: 한국고고학사전 / 개념항목 한정
  • 문화재 관련(ex.문화재 관리, 문화유물론)
    • 내용: 문화재 유형, 관리 방법론, 관련 연구 분야 및 연구 동향 등
  • 다른 학문 분야 표제어(ex.어로활동, 한일 문화교류)
    • 내용: 다음 정보 포함: 용어 정의, 설명, 사례 등


유형: 개념 및 유적

문화재 지정 유적/유물(개념,유적 / 개념,유적)

  • 개요: 모든 사전 / 개념 및 유적
  • 문화재청 지정명칭과 유적명칭이 일치하지 않기도 함
    • 2022년에는 이걸로 구분한 듯
  • ->정치적인 이유로 수정이 어렵다면 -> 지정되었으면 cpca?, 혹은 문화유산포털의 URL 쓰는 것이 좋겠음
  • 내용(지정현황 중 예전엔 지정번호 제0호도 썼으나 이제 안씀)
    • 지정 유적: 지정 현황, 위치, 조사경과 및 결과, 출토유물, 역사적 학술적 가치와 의미 有
    • 지정된 특정 유물: 지정 현황, 출토 위치, 유물의 제원, 표현기법, 형태, 역사적 학술적 가치와 의미 有

문화재 미지정 유적(개념, 유적)

  • 개요: 모든 사전 / 유적-개념 및 유적(미지정 유물과 다름)
  • 내용: 유적 입지와 위치, 조사 경과 및 결과, 출토유물, 역사적 학술적 가치와 의미 有

문화재 미지정 유물(유적)

  • 개요: 모든 사전 / 유물 - 유적(미지정 유적과 다름)
  • 내용: 출토 위치, 유물의 제원, 표현기법, 형태, 의미 有
  • 출토 유물을 집합군으로 표기 / 유적에서 다량으로 출토된 유물 중 재질별로 분류하여 일괄 수록


해외 소재 유적()

  • 한국 고고학과 관련 있는 해외 소재 유적
    • 개요:
  • 한국 고고학과 관련 없는 해외 소재 유적
    • 개요:


특정지역 관련 항목(국내)

  • 개요:

특정 시기 관련 항목(국내/해외)

  • 개요:

특정 국가

  • 개요:


학문 분야와 관련된 항목

  • 개요:

연구방법과 관련된 항목

  • 개요:

국내 대표 연구자

  • 개요:

해외 대표 연구자

  • 개요:


사전별 공통/차이점

공통

  •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특정 항목


      • 다음 정보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