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풍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y9univ
이동: 둘러보기, 검색
(Spatial Data)
9번째 줄: 9번째 줄:
  
 
=== Download ===
 
=== Download ===
* [http://www.dh.aks.ac.kr/hanyang2/glb/2022/건물/3D-창덕궁_석복헌_외행각.glb 신풍루 FBX(fbx)]
+
* [http://www.dh.aks.ac.kr/hanyang2/glb/2022/건물/3D-창덕궁_석복헌_외행각.glb 봉수당 FBX(fbx)]
* [http://www.dh.aks.ac.kr/hanyang2/glb/2022/건물/3D-창덕궁_석복헌_외행각.glb 신풍루 Unity(unitypackage)]
+
* [http://www.dh.aks.ac.kr/hanyang2/glb/2022/건물/3D-창덕궁_석복헌_외행각.glb 봉수당 Unity(unitypackage)]
* [[:분류:신풍루 건축물 부품| 신풍루 건축물 부품별 다운]]
+
* [[:분류:봉수당 건축물 부품| 봉수당 건축물 부품별 다운]]
  
 
== Definition ==
 
== Definition ==
[[신풍루]]는
+
신풍루는 화성행궁의 정문이다. 이층의 누각구조로 아래층은 출입문으로 쓰고, 위층에는 큰 북을 두어 군사들이 주변을 감시하고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사용했다. 문루 좌우에는 행랑을 두었고, 양쪽 끝에는 군영을 배치해서 행궁의 경호체제를 갖췄다.
  
 +
정조 13년(1789)에 수원읍의 관청 건물을 세우면서 그 정문으로 지었는데, 처음에는 진남루(鎭南樓)라 부르다가 1795년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열면서 이름을 고쳤다. '신풍(新豊)'이란 이름은 한나라 고조가 '풍 땅은 새로운 또 하나의 고향'이라고 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화성이 정조에게 고향과 같은 곳이라는 의미로 지었다.
  
화성행궁의 정당이다. 왕이 행궁에 머무는 동안에는 정전으로 쓰이고, 평소에는 관아의 동헌으로 쓰였다. 처음 이름은 장남헌(壯南軒)이었으나 혜경궁의 장수를 기원하며 1795년 혜경궁의 회갑연을 계기로 [[봉수당]](奉壽堂)으로 이름을 고쳤다.
+
1795년 정조는 화성행궁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열었는데, 잔치 다음날 신풍루에서 가난한 백성들에게 쌀과 소금을 나누어주고 굶주린 백성에게 죽을 끓여 먹이는 진휼행사를 베풀었다. 당시 행사 모습이 《신풍루사미도》라는 그림으로 남아 있다.
  
[[봉수당]]의 앞에는 넓은 마당을 두고, 북쪽의 긴 행랑에는 문서를 보관할 수 있도록 했다. 마당 한 가운데에 있는 벽돌로 깐 길은 왕이 지나는 길인 어로이며, 건물 앞에는 넓은 기단인 월대를 갖추었다. 어로와 월대는 일반 동헌에는 없고 임금이 머무는 공간에만 설치하는 시설이다.
+
현재 신풍루 앞에는 상설문화공연을 여는 광장을 비롯해 홍살문과 하마비가 있다.
  
1795년 윤2월, 혜경궁의 회갑잔치가 열리던 날 [[봉수당]] 월대 앞에 넓은 무대를 설치하고 춤과 음악을 연주했다. 이 봉수당진찬의 행사모습은 『화성능행도병(華城陵幸圖屛)』 중 3폭인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에 상세하게 그려져 있다.
+
신풍루는 『원행을묘정리의궤』(1795), 『화성성역의궤』(1801), 『정리의궤』에 자세하게 그려져있다.
 
 
현재 화성행궁 봉수당 뒤편의 행각 벽면에는 『화성행행도 병풍』(8폭), 『화성성역의궤』에 있는 화성전도와 성곽 건축물 도설, 정조대왕 능행 반차도 그림이 전시되어 있다.
 
 
 
[[봉수당]]은 『원행을묘정리의궤』(1795), 『화성성역의궤』(1801), 『정리의궤』에 자세하게 그려져있다.
 
  
 
== Spatial Data ==
 
== Spatial Data ==
31번째 줄: 28번째 줄:
 
!id||latitude||longitude||address
 
!id||latitude||longitude||address
 
|-
 
|-
| 신풍루 || 37.2819245 || 127.0118091 || 경기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25
+
| 봉수당 || 37.2819351 || 127.0104287 || 경기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25
 
|-
 
|-
 
|}
 
|}
  
{{구글지도 | 위도=37.2819245 | 경도=127.0118091 |줌=16}}
+
{{구글지도 | 위도=37.2819351 | 경도=127.0104287 |줌=16}}
  
 
== 3D Reference Data ==
 
== 3D Reference Data ==
49번째 줄: 46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GuestQuery.py?db=class2022&project=wip_meta2023&key=유여택"></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GuestQuery.py?db=class2022&project=wip2023m&key=신풍루"></iframe>
 
<br/>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GuestQuery.py?db=class2022&project=shilla&key=유여택'">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a 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GuestQuery.py?db=class2022&project=wip2023m&key=신풍루'">  
 
</html>
 
</html>
  
58번째 줄: 55번째 줄:
  
  
[[분류:2023 메타버스 콘텐츠]] [[분류:수원 화성행궁]] [[분류:2023:이효림]]
+
[[분류:2023 메타버스 콘텐츠]] [[분류:수원 화성행궁]] [[분류:2023 이효림]]

2023년 11월 5일 (일) 19:08 판

3D모델

Preview


Download

Definition

신풍루는 화성행궁의 정문이다. 이층의 누각구조로 아래층은 출입문으로 쓰고, 위층에는 큰 북을 두어 군사들이 주변을 감시하고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사용했다. 문루 좌우에는 행랑을 두었고, 양쪽 끝에는 군영을 배치해서 행궁의 경호체제를 갖췄다.

정조 13년(1789)에 수원읍의 관청 건물을 세우면서 그 정문으로 지었는데, 처음에는 진남루(鎭南樓)라 부르다가 1795년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열면서 이름을 고쳤다. '신풍(新豊)'이란 이름은 한나라 고조가 '풍 땅은 새로운 또 하나의 고향'이라고 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화성이 정조에게 고향과 같은 곳이라는 의미로 지었다.

1795년 정조는 화성행궁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열었는데, 잔치 다음날 신풍루에서 가난한 백성들에게 쌀과 소금을 나누어주고 굶주린 백성에게 죽을 끓여 먹이는 진휼행사를 베풀었다. 당시 행사 모습이 《신풍루사미도》라는 그림으로 남아 있다.

현재 신풍루 앞에는 상설문화공연을 여는 광장을 비롯해 홍살문과 하마비가 있다.

신풍루는 『원행을묘정리의궤』(1795), 『화성성역의궤』(1801), 『정리의궤』에 자세하게 그려져있다.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봉수당 37.2819351 127.0104287 경기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25




3D Reference Data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화성성역의궤』 속 봉수당 봉수당 references 화성성역의궤_67page
『원행을묘정리의궤』 속 봉수당 봉수당 references 원행을묘정리의궤_45page

Semantic Network Graph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