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위키교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y9univ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항목 페이지 구성 소개)
(항목 페이지 구성 소개)
51번째 줄: 51번째 줄:
 
| style="background:#eeeff3" | 위키 문법 예시 || style="background:#eeeff3" |  결과 예시
 
| style="background:#eeeff3" | 위키 문법 예시 || style="background:#eeeff3" |  결과 예시
 
|-
 
|-
| <nowiki>==안녕! 나는 섹션 제목이야!==</nowiki></br><nowiki>===안녕! 나는 하위 섹션 제목이야!===</nowiki> || ==안녕! 나는 섹션 제목이야!== </br>===안녕! 나는 하위 섹션 제목이야!===
+
| <nowiki>==안녕! 나는 섹션 제목이야!==</nowiki></br><nowiki>===안녕! 나는 하위 섹션 제목이야!===</nowiki> || ==안녕! 나는 섹션 제목이야!==  
 +
 
 +
===안녕! 나는 하위 섹션 제목이야!===
 
|-
 
|-
 
|}
 
|}

2023년 10월 22일 (일) 22:45 판

2023 디지털 작가 대상 교육(1차) 2023 교육자료

교육 자료 준비


작업 플랫폼 소개

'위키'란?

항목 페이지 구성 소개

항목 페이지를 새로 작성하거나 수정할 때 일관성을 위해 기존의 양식을 따라 작성해야 한다. 각 항목 페이지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1. 정의(Definition)
  2. 의미상의 정보(Semantic Data)
    1.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2.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3.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3. 공간 정보(Spatial Data) - *장소 항목터항목에 한정
  4. 웹 자원(Web Resource)
  5. 참고문헌(Bibliography)
  6. 메모(Notes)
  7. 데이터 시각화(Semantic Network Graph)
  8. 항목 페이지 분류 - *해딩이 따로 없음
* 해딩 : 단락 제목? 섹션 제목? 으로 변경하는 것이 더 이해하기 좋지 않을까 함

각 구성요소는 해딩으로 구별되어 있다. 아래에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다.

*알아두면 좋은 위키 문법 팁!*
위키의 해딩은 등호를 통해 표시한다. 해당 글자 앞뒤에 같은 숫자의 등호를 붙이면 그 글자가 해딩으로 변경된다. 등호가 많아질 수록 하위 해딩이 된다.
문법 예시 ==안녕! 나는 해딩이야!==
===안녕! 나는 하위 해딩이야!===


*  아래 표처럼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더 이해하기 좋을 것 같은데, 한번 검토해주세요! 
*알아두면 좋은 위키 문법 팁!*
위키의 해딩은 등호를 통해 표시한다. 해당 글자 앞뒤에 같은 숫자의 등호를 붙이면 그 글자가 해딩으로 변경된다. 등호가 많아질 수록 하위 해딩이 된다.
위키 문법 예시 결과 예시
==안녕! 나는 섹션 제목이야!==
===안녕! 나는 하위 섹션 제목이야!===
==안녕! 나는 섹션 제목이야!==

안녕! 나는 하위 섹션 제목이야!


정의(Definition)

양식: 일반 텍스트

정의 섹션에는 해당 항목에 대한 기본 설명을 글로 작성한다.

*알아두면 좋은 위키 문법 팁!*
정의의 내용 중에 다른 항목이 언급되면 그 항목의 페이지로 긴 하이퍼링크(http.......com) 없이 쉽게 연결할 수 있다. 항목 이름 앞뒤에 각각 2개의 대괄호([[ ]])를 붙이면 된다. 괄호 안에 있는 내용과 해당 항목 페이지 이름이 같은지 주의할 필요가 있다!
문법 예시 안녕! 나는 [[없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안녕! 나는 [[있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안녕! 나는 없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안녕! 나는 있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의미상의 정보(Semantic Data)

양식 : 표

의미상(Semantic)의 정보 섹션에는 항목에 대한 기본 정보를 틀의 형식으로 정리한다. 정보의 성격 및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개의 하위 섹션으로 나눠져 있다.

  1.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2.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3.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양식 : 표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섹션에는 해당 항목이 다른 항목과 구별할 수 있도록 기본 메타데이터 정보를 작성한다. 사람은 주민등록증에 이름, 생년월일, 집 주소, 등록번호 등이 표시 되어 있듯이 항목 설명 섹션에는 항목에 대한 기본 정보를 표의 형태로 적는다. 다음과 같은 내용,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해당 표에 적으면 된다.

  • 주의할 점
    • 이 중에 무조건 있어야 하는 정보는 id, class, label이다.
    • 띄어쓸 때는 띄어쓰기 대신에 언더바를 무조건 기재해야 한다. 즉, '광주광역시 동구'라고 하면 안 되고 '광주광역시_동구'로 표기해야 한다.
정보 품목 설명 메모
id 다른 항목과 식별되는 이름 id를 작성할 때 다른 id와 중복되면 안된다. 위키 검색 기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class 항목의 분류 분류는 분류 설계 페이지를 참고하여 제시된 데이터 설계(ontology)의 준수하여 작성해야 한다. 설계에 따라 영어로 표시해야 하야 한다.
groupName 항목의 하위 분류 분류 설계 페이지를 준수 하되 한글로 작성할 수 있다.
partName 항목의 소 하위 분류 분류 설계 페이지를 준수 하되 한글로 작성할 수 있다.
label 시각화할 때 보이는 이름 라벨은 보통 '한글'이나 '한글(한자)'의 양식으로 하는데 사람이면 생몰연도를 같이 넣거나, 외국인이나 외국자료인 경우에 영문 명칭을 같이 넣을 수가 있다.
hangeul 한글 명칭
hanja 한자 명칭
english 영문 명칭
infoUrl 대표 링크의 URL 해당 위키 페이지의 하이퍼링크
iconUrl 대표 이미지의 URL 파일을 올리는 방법은 파일관리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항목 설명의 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항목 id 분류 하위 분류 소 하위 분류 라벨 한글 명칭 한자 명칭 영문 명칭 대표 링크 URL 대표 이미지 URL
예) 광주_포충사 Heritage 시도문화재 광주광역시기념물 포충사(光州 褒忠祠) 광주_포충사 光州 褒忠祠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포충사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포충사_사당.jpg
*알아두면 좋은 위키 문법 팁!*
외부 링크를 첨부할 때 스팸 방지를 위해 페이지 저장할 때 간단한 더하기나 빼기 산수 등식을 풀어야 한다.
예시 12+3 = [___] --> 15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양식 : 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섹션에는 해당 항목과 관련 다른 항목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표의 형식으로 정리한다.

사람에게는 가족 관계, 학교 또는 직장 관계, 취미 관계 등 관계가 있는 사람, 장소, 사건, 개념 등이 있듯이 해당 항목은 관련있는 다른 사람, 장소, 사건, 개념 등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관계들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정리하면 컴튜터가 그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그 관계들을 시각화를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맥락적 관계의 데이터 형식은 3가지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바로 (1) 그 해당 항목(source, 주어 역할), (2) 그 관련 항목(target, 목적어 역할), 그리고 (3) 그 두 항목 간의 관계(relation, 동사 역할)로 나뉜다. 그 외에 관계의 더 폭잡한 내용을 더 자세하게 설명해 주는 속성(attribute, 형용사 역할)도 있다. 쉬운 예시로 '순이'(주어)가 '돌이'(목적어)의 '5년 동안 사귀던'(형용사) '친구이다'(동사).

광주의 역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예시를 할 수 있다.

컴푸터가 이러한 정보를 읽으려면 '주어' 항목와 '목적어' 항목의 id가 정확해야 하며 관계어 동사(relation)도 일관성 있게 표기해야 한다. 관계어는 광주 사업의 데이터 설계(ontology)를 참조해야 하며 관계 설계 정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외의 데이터 설계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관계어가 영어로 되어 있다. 그래서 항목의 맥락적 관계를 작성할 때 적절한 영어 관계어를 찾을 수 없다면 속성(attribute)에 해당 한국어 동사를 적으면 된다. 그리고 나중에 한중연 팀원들이 적절한 영어 관계어를 찾는 것을 도와준다.

맥락적 관계계의 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 주의할 점
    • 띄어쓸 때는 띄어쓰기 대신에 언더바를 무조건 기재해야 한다. 즉, '광주광역시 동구'라고 하면 안 되고 '광주광역시_동구'로 표기해야 한다.
    • source 와 target은 항목 이름 앞뒤에 각각 2개의 대괄호([[ ]])를 붙여서 해당 페이지로 링크되도록 해야한다.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주어 항목 id 목적어 항목 id 데이터 설계에 맞는 관계어 동사 추가 설명 또는 한글 관계어
예) 광주_포충사 고경명 isEnshrinedIn ~을 기리다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양식 : 표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섹션은 앞의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와 거의 동일한데 속성(attribute) 열이 없는 것이다.


공간 정보(Spatial Data)

양식 : 표 + 틀

공간 정보 섹션은 '장소(Place)' 분류의 항목에 해당하며 주소 및 경위도 정보를 작성하는 부분이다. 해당 항목의 id(id),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그리고 주소(address)를 정리한 표 및 그 위치를 지도로 보여주는 틀로 이루어진다.

공간 정보 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 ID의 항목 이름 앞뒤에 각각 2개의 대괄호([[ ]])를 붙여야한다.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예) 광주_포충사 35.090126 126.8466997 광주 남구 포충로 767 포충사

지도는 위키 틀(template)을 이용하는데 위도와 경도 숫자만 바꾸면 된다.

해당 틀은 다음과 같이 생겼다.

{{구글지도 | 위도=35.090126|경도= 126.8466997|줌=16}}

그리고 다음과 같은 지도가 생산된다.




웹 자원(Web Resource)

양식 : 표

웹 자원(Web Resource) 섹션에는 해당 항목을 더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도움이 될만한 디지털 자원들을 정리한다. 해당 표에는 자원의 유형(type)과 출처 웹사이트(resource), 제목(title), 설명(description/caption), 링크(url)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자원의 유형은 사업의 데이터 설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류에만 한정된다.

  • 해설, 참고, 원문, 지도, 그림, 도면, 동영상, 사진

웹 자원 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유형 출처 웹사이트 제목 설명 링크
예)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포충사(褒忠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0202

참고문헌(Bibliography)

양식 : 표

참고문헌(Bibliography) 섹션에는 항목의 정의를 작성하거나 관계 정보를 정리할 때 참고한 문헌 등을 정리한다. 해당 표에는 자원의 유형(type)과 출처 내용(bibliographic_index), 출처 서비스 및 기관(online_resource), 링크(url)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자원의 유형은 사업의 데이터 설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류에만 한정된다.

  • 단행본, 논문, 고문헌

웹 자원 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유형 출처 내용(작가, 제목, 출판사, 출판 연도 등) 출처 서비스 및 기관(KCI, 국회전자도서관 등) 링크
예) 논문 성대철 ‧ 이상선, 「광주 포충사의 배치 변화와 양식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2, 통권 78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17279
예) 단행본 삼정건축사사무소, 『포충사(褒忠祠) 정밀실측조사보고서 :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 광주광역시 문화기반조성과, 2021. 국회전자도서관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srchTarget=total&pageNum=1&pageSize=10&kwd=포충사(褒忠祠)+정밀실측조사보고서+:+광주광역시+기념물+제7호#!

메모(Notes)

양식 : 일반 텍스트

메모(Notes) 섹션에는 그 외에 대중이나 다른 연구진이 참고해야 할 내용을 작성한다. 비워도 되는 섹션이다.


데이터 시각화(Semantic Network Graph)

양식 : 틀

데이터 시각화(Semantic Network Graph) 섹션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여 네트워크 그래프(network graph)형식의 시각화로 보여준다. HTML 기반의 틀로 되어 있는데 'key+=' 뒤에 있는 항목 id만 해당 항목의 id로 고치면 된다.

  • 주의할 점
    • 항목 id는 두 곳에서 바꿔야 한다.

틀은 다음과 같이 생겼다. 고치면 되는 부분을 굵은 표시로 처리했다.

<html>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광주_포충사"></iframe> <br/>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광주_포충사'">
</html>

그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데이터 시각화를 만들어 준다.


페이지 분류

양식 : 일반 텍스트

페이지 분류는 비슷한 페이지들을 한번에 볼 수 있도록 해당 위키 페이지를 분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해당 항목의 분류(class), 페이지의 작성자, 그리고 '흥.미.로.운.가 스토리 구별 등의 분류를 할 수 있다. 섹션 해딩이 따로 없고 위키 페이지 맨 아래에 기재하며 해당 항목에 맞게 분류를 바꾸면 된다.

분류는 다음과 같이 기재할 수 있다.

[[분류:Heritage]][[분류: 이재열]][[분류:가]]

현 페이지의 맨 아래로 내려가보면 "2023 워크샵"란 분류로 되어 있다. 링크를 누르면 2023년 워크샵 관련한 다른 위키 페이지들을 확인할 수 있다.

항목 페이지 만들기 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