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y9univ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생가지와 추모)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1번째 줄: 41번째 줄:
 
===업적 요약===
 
===업적 요약===
 
1906년 북간도 용정촌에서 이상설, 여준 등과 서전의숙을 설립하였고, 1907년 귀국하여 안창호, 양기탁 등과 신민회를 조직하였다. <br/> 1911년에는 항일독립군 양성의 중추기관인 신흥학교(신흥무관학교의 전신)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으로 취임하였다.  <br/> 1918년에는「대한독립선언서」를 작성하였으며,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4월 13일 임시의정원의 초대 의장으로 선임되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탄생을 주선하였다.  <br/> 1919년 4월 13일 임시정부 수립을 내외에 선포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총리로 취임하였으며, 1927년 주석이 되었다.  <br/> 1935년에는 한국국민당을 조직하여 당수가 되었다.
 
1906년 북간도 용정촌에서 이상설, 여준 등과 서전의숙을 설립하였고, 1907년 귀국하여 안창호, 양기탁 등과 신민회를 조직하였다. <br/> 1911년에는 항일독립군 양성의 중추기관인 신흥학교(신흥무관학교의 전신)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으로 취임하였다.  <br/> 1918년에는「대한독립선언서」를 작성하였으며,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4월 13일 임시의정원의 초대 의장으로 선임되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탄생을 주선하였다.  <br/> 1919년 4월 13일 임시정부 수립을 내외에 선포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총리로 취임하였으며, 1927년 주석이 되었다.  <br/> 1935년에는 한국국민당을 조직하여 당수가 되었다.
 +
 +
 +
{{강조|여러 학생들이여 우리의 용기가 좌절하였는가. 아니다. 우리의 정열이 식었는가. 아니다. 우리 민족의 유일한 요구인 독립에 대한 결심은 더욱 견고할 뿐입니다. 오늘에 우리는 우리의 의사를 한번 더 분명히 발표하기 위하여 다시 두 손을 높이 듭시다. 적의 간담이 서늘하도록 천지가 울리는 만세를 합창합시다.|이동녕|1919년 10월 임시정부 내무총장으로 발포한 포고문 중}}
  
 
=='''생애'''==
 
=='''생애'''==
 
<html>
 
<html>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fAfaxToiUYXyB7__4Dxk7tsFVFzCjSWsV_fgJkQ49C0&font=Default&lang=en&timenav_position=top&initial_zoom=0&height=650' width='8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fAfaxToiUYXyB7__4Dxk7tsFVFzCjSWsV_fgJkQ49C0&font=Default&lang=en&initial_zoom=0&height=650' width='9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html>
 
</html>
  
63번째 줄: 66번째 줄:
  
 
===신민회 설립===
 
===신민회 설립===
1907년 안창호(安昌浩)의 발기로 양기탁(梁起鐸)·전덕기(全德基)·이동휘(李東輝)·이동녕(李東寧)·이갑(李甲)·유동열(柳東說)·안창호 등 7인과 창건위원이 되어 항일 비밀결사단체인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신민회 신민회(新民會)]를 설립한다.<ref>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2974 신민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907년 안창호(安昌浩)의 발기로 양기탁(梁起鐸)·전덕기(全德基)·이동휘(李東輝)·이동녕(李東寧)·이갑(李甲)·유동열(柳東說)·안창호 등 7인과 창건위원이 되어 항일 비밀결사단체인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신민회 신민회(新民會)]를 설립한다.
  
 
안창호·이회영과 협력해, 전국에 교육단을 조직하고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발행을 지원하고, 대성학교(大成學校)와 오산학교(五山學校) 설립에도 조력했으며, 상동청년학원을 설립·교사로 재직하여 민족교육을 전개하였다.
 
안창호·이회영과 협력해, 전국에 교육단을 조직하고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발행을 지원하고, 대성학교(大成學校)와 오산학교(五山學校) 설립에도 조력했으며, 상동청년학원을 설립·교사로 재직하여 민족교육을 전개하였다.
70번째 줄: 73번째 줄:
 
1910년 나라를 일제에 빼앗긴 뒤 만주 서간도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 망명하여, 한국인 자치기관인 경학사(耕學社)를 설립해 교포들의 신분 보장과 독립정신 고취에 앞장섰다.
 
1910년 나라를 일제에 빼앗긴 뒤 만주 서간도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 망명하여, 한국인 자치기관인 경학사(耕學社)를 설립해 교포들의 신분 보장과 독립정신 고취에 앞장섰다.
  
곧이어 신흥무관학교의 전신인 신흥학교(新興學校)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으로 취임하였다. 신흥무관학교는 항일독립군 양성의 중추기관이 되었다.<ref>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3613 신흥무관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곧이어 신흥무관학교의 전신인 신흥학교(新興學校)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으로 취임하였다. 신흥무관학교는 항일독립군 양성의 중추기관이 되었다.
  
 
이후 1918년 길림성(吉林省)에서 민족 대표 39명이 「대한독립선언서」(이칭: 「무오독립선언서」)를 작성할 때 참여하여 연서하였으며, 「대한독립선언서」를 선포할 때에는 대종교 서도본사(西道本司)의 포교책으로 활약하였다.
 
이후 1918년 길림성(吉林省)에서 민족 대표 39명이 「대한독립선언서」(이칭: 「무오독립선언서」)를 작성할 때 참여하여 연서하였으며, 「대한독립선언서」를 선포할 때에는 대종교 서도본사(西道本司)의 포교책으로 활약하였다.
88번째 줄: 91번째 줄:
 
=='''생가지와 추모'''==
 
=='''생가지와 추모'''==
 
이동녕은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났으며, 생가지는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400720000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72호(이동녕 선생 생가지)]로 지정되어 있다.<br/>
 
이동녕은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났으며, 생가지는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400720000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72호(이동녕 선생 생가지)]로 지정되어 있다.<br/>
조국광복 후 1948년 사회장으로 봉환식을 거행했고, 효창원([[효창공원|현재의 효창공원]])에 안장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조국광복 후 1948년 사회장으로 봉환식을 거행했고, 효창공원에 안장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
=='''시각자료'''==
 +
===갤러리===
 +
{|class="wikitable"
 +
! 사진 || 설명
 +
|-
 +
| [[파일:이동녕선생생가지.jpg|400px]] || 이동녕 생가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
| [[파일:임정묘역_이동녕.jpg|400px]] || 효창공원 내 임정묘역의 이동녕 묘
 +
|}
 +
 
 +
===영상===
 +
<html>
 +
<iframe width="644" height="362" src="https://www.youtube.com/embed/XLidwiF33qs"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html>
  
  
261번째 줄: 279번째 줄:
 
| 임정요인_묘역 || 서울_효창공원 || hasPart ||
 
| 임정요인_묘역 || 서울_효창공원 || hasPart ||
 
|}
 
|}
 
=='''시각자료'''==
 
===갤러리===
 
{|class="wikitable"
 
! 사진 || 설명
 
|-
 
| [[파일:이동녕선생생가지.jpg|400px]] || 이동녕 생가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파일:임정묘역_이동녕.jpg|400px]] || 효창공원 내 임정묘역의 이동녕 묘
 
 
|}
 
 
===영상===
 
<html>
 
<iframe width="644" height="362" src="https://www.youtube.com/embed/XLidwiF33qs"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html>
 
 
=='''주석'''==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286번째 줄: 285번째 줄:
 
#* 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051 이동녕]"<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051 이동녕]"<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7594 만민공동회]"<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7594 만민공동회]"<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3174&cid=59011 이동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독립운동가』<sup>online</sup></online></html>, 국가보훈처.
  
 
[[분류:인물]]
 
[[분류:인물]]

2022년 10월 7일 (금) 02:37 기준 최신판


이동녕(李東寧)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이동녕
한자표기 李東寧
생몰년 1869년-1940년
본관 연안
석오(石吾), 암산(巖山)
시대 근대
대표직함 주석
대표경력 신흥무관학교 소장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주석
임시의정원 초대 의장
한국국민당 이사
상훈 건국훈장 대통령장(1962)
능묘 효창공원
생가 이동녕 선생 생가지(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72호)
성격 독립운동가, 정치인, 행정가



정의

이동녕(1869년~1940)은 한말의 독립운동가이고 정치가이며 행정가이다. 일제강점기 신흥무관학교 소장,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 한국국민당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업적 요약

1906년 북간도 용정촌에서 이상설, 여준 등과 서전의숙을 설립하였고, 1907년 귀국하여 안창호, 양기탁 등과 신민회를 조직하였다.
1911년에는 항일독립군 양성의 중추기관인 신흥학교(신흥무관학교의 전신)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으로 취임하였다.
1918년에는「대한독립선언서」를 작성하였으며,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4월 13일 임시의정원의 초대 의장으로 선임되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탄생을 주선하였다.
1919년 4월 13일 임시정부 수립을 내외에 선포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총리로 취임하였으며, 1927년 주석이 되었다.
1935년에는 한국국민당을 조직하여 당수가 되었다.


여러 학생들이여 우리의 용기가 좌절하였는가. 아니다. 우리의 정열이 식었는가. 아니다. 우리 민족의 유일한 요구인 독립에 대한 결심은 더욱 견고할 뿐입니다. 오늘에 우리는 우리의 의사를 한번 더 분명히 발표하기 위하여 다시 두 손을 높이 듭시다. 적의 간담이 서늘하도록 천지가 울리는 만세를 합창합시다.
— 이동녕, 1919년 10월 임시정부 내무총장으로 발포한 포고문 중

생애

상세내용

독립협회 가입

1896년 독립협회에 가입하고,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에서 잘못된 정치를 탄핵하고 상소하는 등 국민운동 일선에 나섰으며, 이로 인해 이준(李儁)·이승만(李承晩)과 함께 옥고를 치렀다.

출옥한 뒤 이종일(李鍾一)이 창간해 경영하는 『제국신문(帝國新聞)』의 논설위원으로 개화 논설 수십 편을 집필하여 의식계몽에 힘썼다.

청년회 조직

1903년 이상재(李商在)·전덕기(全德基)목사 등 종교인과 손잡고 YMCA운동을 전개하였고, 1904년 한일협약이 강제 체결되자 서울 상동교회(尙洞敎會)에서 전덕기 목사·양기탁(梁起鐸)·신채호(申采浩)·조성환(曺成煥) 등과 같이 상동청년회를 조직해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일제의 강압으로 체결되자 동지들과 결사대를 조직하였다. 이 조약이 체결된 덕수궁 대한문(大漢門) 앞에서 연좌시위를 벌이면서 조약의 무효와 파기를 선언했다가 일본 헌병에 잡혀 2개월 간 고문을 받았다.

서전의숙 설립

1906년 만주 북간도 용정촌(龍井村)으로 망명하여 이상설(李相卨)·여준(呂準) 등과 같이 서전의숙(瑞甸義塾)을 설립하여 교포들의 민족 교육에 힘썼다.

신민회 설립

1907년 안창호(安昌浩)의 발기로 양기탁(梁起鐸)·전덕기(全德基)·이동휘(李東輝)·이동녕(李東寧)·이갑(李甲)·유동열(柳東說)·안창호 등 7인과 창건위원이 되어 항일 비밀결사단체인 신민회(新民會)를 설립한다.

안창호·이회영과 협력해, 전국에 교육단을 조직하고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발행을 지원하고, 대성학교(大成學校)와 오산학교(五山學校) 설립에도 조력했으며, 상동청년학원을 설립·교사로 재직하여 민족교육을 전개하였다.

신흥무관학교 설립

1910년 나라를 일제에 빼앗긴 뒤 만주 서간도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 망명하여, 한국인 자치기관인 경학사(耕學社)를 설립해 교포들의 신분 보장과 독립정신 고취에 앞장섰다.

곧이어 신흥무관학교의 전신인 신흥학교(新興學校)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으로 취임하였다. 신흥무관학교는 항일독립군 양성의 중추기관이 되었다.

이후 1918년 길림성(吉林省)에서 민족 대표 39명이 「대한독립선언서」(이칭: 「무오독립선언서」)를 작성할 때 참여하여 연서하였으며, 「대한독립선언서」를 선포할 때에는 대종교 서도본사(西道本司)의 포교책으로 활약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4월 13일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의 초대 의장으로 선임되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탄생을 주선하였으며, 임시정부 수립을 내외에 선포하고 얼마 뒤 국무총리로 취임하였다. 그 뒤 국민대표회(國民代表會)의 소집 등 대한민국임시정부 불신이 표면화되자 이동녕은 안창호·여운형·조소앙·이시영·차이석(車利錫)·홍진(洪震)·노백린(盧伯麟) 등과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를 조직, 대동단결을 호소하였다. 전장(鎭江)에서 요양 중 상해로 와서 1924년 국무총리로 정식 취임했고, 군무총장(軍務總長)도 겸임하였다. 1927년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주석(主席)이 되어 약화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튼튼한 반석 위에 올려놓았다.

임시정부 주석 역임

1930년 김구 등과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조직, 이사장에 추대되었고, 두 번째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1930∼1932)이 되는 중책을 짊어졌다. 1932년 이봉창(李奉昌)·윤봉길(尹奉吉) 의거를 김구·이유필(李裕弼) 등과 지도, 윤봉길의 쾌거를 이룩하였다.

1935년 세번째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주석(1935∼1939)이 되었다. 이때 양우조(楊宇朝)·엄항섭(嚴恒燮)·이시영·조성환·차이석·송병조(宋秉祚) 등과 함께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을 조직해 이사에 선임되었다. 1939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네번째 주석이 되어 김구와 합심해 전시 내각을 구성하였다.

1940년 급성폐렴으로 쓰촨성[四川省] 치장[綦江]에서 죽었다.


생가지와 추모

이동녕은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났으며, 생가지는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72호(이동녕 선생 생가지)로 지정되어 있다.
조국광복 후 1948년 사회장으로 봉환식을 거행했고, 효창공원에 안장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사진 설명
이동녕선생생가지.jpg 이동녕 생가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임정묘역 이동녕.jpg 효창공원 내 임정묘역의 이동녕 묘

영상


지식 관계망


노드

ID Class Label 비고
이동녕 Actor 이동녕(李東寧,1869~1940)
이준 Actor 이준(李儁,1859~1907)
이상설 Actor 이상설(李相卨,1870~1917)
안창호 Actor 안창호(安昌浩,1878~1938)
전덕기 Actor 전덕기(全德基,1875~1914)
이승만 Actor 이승만(李承晩,1875~1965)
양기탁 Actor 양기탁(梁起鐸,1871~1938)
신채호 Actor 신채호(申采浩,1880~1936)
조성환 Actor 조성환(曺成煥,1875~1948)
여준 Actor 여준(呂準,1862~1932)
이회영 Actor 이회영(李會榮,1867~1932)
이상룡 Actor 이상룡(李相龍,1858~1932)
이시영 Actor 이시영(李始榮,1869~1953)
을사늑약 Event 을사늑약(1905)
임시정부_주석 Concept 임시정부_주석
J34-0072-0000 Heritage (충청남도_기념물_제72호)이동녕_선생_생가지
대한매일신보 Object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독립협회 Organization 독립협회(獨立協會)
만민공동회 Organization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헤이그_특사 Organization 헤이그_특사(1907년)
상동청년회 Organization 상동청년회(尙洞靑年會)
경학사 Organization 경학사(耕學社)
대한민국임시의정원 Organization 대한민국임시의정원(大韓民國臨時議政院)
대한민국임시정부 Organization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신민회 Organization 신민회(新民會)
상동교회 Place 상동교회(尙洞敎會)
서전의숙 Place 서전의숙(瑞甸義塾)
상동_청년학원 Place 상동_청년학원(尙洞_靑年學院)
신흥학교 Place 신흥학교(新興學校)
이동녕_선생_생가지 Place 이동녕_선생_생가지
임정요인_묘역 Place 임정요인_묘역
헤이그_이준열사박물관 Place 헤이그_이준열사박물관
신흥무관학교 Place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대한독립선언서 Record 대한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1918)
서울_효창공원 Place 서울_효창공원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동녕 독립협회 isRelatedTo
이동녕 만민공동회 participatesIn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isRelatedTo
만민공동회 이준 participatesIn
만민공동회 이승만 participatesIn
헤이그_특사 헤이그_이준열사박물관 isRelatedTo
이준 헤이그_특사 participatesIn
헤이그_특사 을사늑약 isCausedBy
상동청년회 이동녕 participatesIn
상동청년회 양기탁 participatesIn
상동청년회 신채호 participatesIn
상동청년회 조성환 participatesIn
상동청년회 이준 participatesIn
상동청년회 전덕기 founder
상동교회 전덕기 member
서전의숙 이상설 founder
서전의숙 여준 founder
이상설 헤이그_특사 participatesIn
안창호 신민회 founder
이동녕 신민회 founder
전덕기 신민회 founder
이동녕 대한매일신보 isRelatedTo
상동_청년학원 이동녕 founder
상동_청년학원 전덕기 founder
상동_청년학원 신민회 isRelatedTo
경학사 이동녕 founder
경학사 양기탁 founder
경학사 이회영 founder
경학사 이상룡 founder
경학사 이시영 founder
신흥학교 이동녕 founder
신흥학교 신흥무관학교 hasNewName
이동녕 대한독립선언서 participatesIn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대한민국임시정부 isRelatedTo
대한민국임시정부 이동녕 member
이동녕 임시정부_주석 servesAs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정부_주석 isRelatedTo
이동녕_선생_생가지 이동녕 isBirthPlaceOf
임정요인_묘역 이동녕 isTombOf
이동녕_선생_생가지 J34-0072-0000 DesignatedAs
임정요인_묘역 서울_효창공원 hasPart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신용하, "이동녕"『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용하, "만민공동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동녕" 『독립운동가』online, 국가보훈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