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광산김씨 김해 스토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향병일기』에 저술된 무기) |
(→『향병일기』에 저술된 무기)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비격진천뢰는 강력한 살상력을 갖고있어 임진왜란 당시 경주성 탈환전, 진주성·남원성 싸움 등 실전에서 큰 위력을 발휘했다는 기록들이 전해지며, 갑자기 날아와서 큰 소리를 내며 터지는 이 무기에 왜군이 느끼는 심리적인 압박감은 대단하였으며 왜적들은 이 무기를 가장 무서워했다. | 비격진천뢰는 강력한 살상력을 갖고있어 임진왜란 당시 경주성 탈환전, 진주성·남원성 싸움 등 실전에서 큰 위력을 발휘했다는 기록들이 전해지며, 갑자기 날아와서 큰 소리를 내며 터지는 이 무기에 왜군이 느끼는 심리적인 압박감은 대단하였으며 왜적들은 이 무기를 가장 무서워했다. | ||
{{인용문 | {{인용문 | ||
− | |비격진천뢰는 군기시의 화포장 이장손이 만든 무기다. 진천뢰를 대완구(대포)에 넣어 쏘면 500~600보를 날아가 땅에 떨어져 한참 있으면 불이 그 안에서 일어나 터진다. 왜적들은 이 무기를 가장 무서워했다 | + | |내용= 비격진천뢰는 군기시의 화포장 이장손이 만든 무기다. 진천뢰를 대완구(대포)에 넣어 쏘면 500~600보를 날아가 땅에 떨어져 한참 있으면 불이 그 안에서 일어나 터진다. 왜적들은 이 무기를 가장 무서워했다 |
− | |유성룡,<징비록>}} | + | |출처= 유성룡,<징비록>}} |
특히 박진이 경주성을 탈환한 승전의 전투에서 사용한 비격진천뢰에 대해서 한국와 일본 모두의 기록이 있다. 우리의‘선조수정실록’에는 “성 밖에서 비격진천뢰를 성 안으로 발사하여 진 안에 떨어뜨렸다. 적이 그 제도를 몰랐으므로 다투어 구경하면서 서로 밀고 당기며 만져보는 중에 조금 있다가 포(砲)가 그 속에서 터지니 소리가 천지를 진동하고 쇳조각이 별처럼 부서져 나갔다. ... 온 진중이 놀라고 두려워하면서 신비스럽게 여기다가 이튿날 드디어 성을 버리고 서생포(울산)로 도망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ref>‘선조수정실록’ 선조 25년(1592) 9월1일</ref> | 특히 박진이 경주성을 탈환한 승전의 전투에서 사용한 비격진천뢰에 대해서 한국와 일본 모두의 기록이 있다. 우리의‘선조수정실록’에는 “성 밖에서 비격진천뢰를 성 안으로 발사하여 진 안에 떨어뜨렸다. 적이 그 제도를 몰랐으므로 다투어 구경하면서 서로 밀고 당기며 만져보는 중에 조금 있다가 포(砲)가 그 속에서 터지니 소리가 천지를 진동하고 쇳조각이 별처럼 부서져 나갔다. ... 온 진중이 놀라고 두려워하면서 신비스럽게 여기다가 이튿날 드디어 성을 버리고 서생포(울산)로 도망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ref>‘선조수정실록’ 선조 25년(1592) 9월1일</ref> |
2021년 6월 4일 (금) 14:18 판
목차
개요
입향조와 함께 제향된 김해
광산김씨 재사(사진상 왼쪽) 및 사당(사진상 오른쪽).(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신문[神門]과 사당(문화콘텐츠닷컴, 한국콘텐츠진흥원)
광산김씨 재사 및 사당은 후조당 종택에 부속된 재사(齋舍, 제사 지내는 집)와 광산 김씨 중 오천리에 가장 처음으로 들어와 자리를 잡은 김효로(金孝盧,1445∼1534)와 증손자 김해(金垓,1555∼1593)를 모시고 있는 사당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어 있다.
본래 광산김씨 사당은 안동 예안 오천리 입향조인 김효로를 제향하기 위해 지어졌는데, 김해가 임진왜란 시 영남의병대장으로 활약하다가 순절하여 함께 제향하게 되었다.
안동 광산김씨는 수 많은 문인을 배출하였음에도 입향조가 모셔진 신성한 사당에 함께 불천위로 모셔진 인물인 김해는 누구일까. 그리고 그의 대표적인 저술서 『향병일기』는 무엇일까.
이것들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나라의 환란에 칼을 뽑아드는 진정한 군자, 김해의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김해는 누구인가
세상이 평화로우면 도학에 전념하는 것이 군자이다. 그러나 나라에 변란이 있으면 칼을 집고 일어서서 구국의 길을 걷는 것이 군자이다.
이것은 가히 김해를 두고 할 수 있는 말이다.
김해는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여 승문원권지정자와 예문관검열을 지낸 문신 관료였다.
고향에서 지내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해는 안동지방과 영남 북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며, 전투 상황을 자세히 기록한 진중일기인 『향병일기』와 부대지휘관의 복무지침서인 『행군수지』를 저술하였다.
내용
『향병일기』와 『행군수지』
향병일기와 행군수지(문화콘텐츠닷컴, 한국콘텐츠진흥원)
향병일기(오늘(il0202)의 블로그)
향병일기(오늘(il0202)의 블로그)
향병일기(오늘(il0202)의 블로그)
향병일기(오늘(il0202)의 블로그)
향병일기(오늘(il0202)의 블로그)
『향병일기(鄕兵日記)』는 서문과 발문 없이 1592년 4월 14일 왜적에 의한 동래성 침공 소식으로부터 그 다음해인 1593년 6월 19일 계림전투까지의 의병 활동 경과를 날짜 별로 기록하고 있다. 즉, 김해가 왜적의 침입 소식을 들은 날로부터 1593년 왜군에게 포위되어 경주의 의병 진영에서 장렬히 순국하기 바로 직전까지의 전투 상황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향병일기』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83호에 지정되어 있다.
영남 북부 지역의 의병장으로서 여러 고을의 의병을 거느리고 예천, 용궁, 함창 등지 등지에서 벌인 왜군과의 전투 과정과 각종 내역 뿐 아니라 임진왜란 초기 영남 북부 지방의 의병 활동들에 대해 자세히 기록하였다.
『행군수지(行軍須知)』는 부대 지휘관의 정신자세를 논하고 군령을 세우는 방법과 병사를 선발하는 요령, 군마를 얻는 법, 보급문제, 부대훈령 등에 걸쳐서 차례로 기술 했다. 또한 진을 치는 법, 성을 지키는 요령, 간첩 색출, 항복을 받는 요령 등을 차례로 밝혀서 부대 지휘관이 반드시 읽고 익혀야 할 책이었다.
『향병일기』와 『행군수지』는 임진왜란이라는 국난에 처한 군자의 의식과 대응 자세를 엿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역 의병사를 고찰할 수 있기 때문에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기록물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군자의 구국정신을 일깨운 김성일의 격문
김성일 문집인 『학봉집』제3권 초유문[招諭文]의 격문(한국고전번역원)
안동 출신의 김성일(金誠一)은 경상우도 초유사로 임명되어 전쟁 상황을 살피기 위해 1592년 5월에 경상우도로 내려갔다. 그는 나라를 염려하는 마음을 담아 격문을 써서 여러 지방으로 보냈으며, 이에 감동한 여러 사람들이 의병을 일으키게 되었다.
김해는 김성일의 격문에 답하길,“섬 오랑캐가 창궐(猖獗)하여 임금이 피난가자 신민(臣民)들이 매우 애통하여 살아도 죽는 것보다 못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돌아보건대, 여기 궁벽한 고장에는 필묵(筆墨)만 일삼고 궁마(弓馬)는 익히지 못하여 빈주먹만 불끈 쥐고 있으니, 자신을 구제하기에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충의(忠義)의 근성으로 복수의 뜻이 간절하여 천지에 맹세하고 왜적을 토벌하는 의리를 펼치려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김성일은 왜 격문을 썼을까
김성일은 ~
『향병일기』에 저술된 무기
비격진천뢰(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향병일기』에는 “왜적을 토벌하는 방책으로 비격진천뢰를 능가하는 것은 없다”라는 기록이 있으며, 그가 1593년 2월 24일 반암의 야지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비진천뢰를 운용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되어있다.
이 ‘비격진천뢰(飛格震天雷)’는 ‘날아올라 적을 치니 폭발할 때 하늘을 진동하는 소리를 낸다’하여 이름이 붙은 인마살상용 시한폭탄의 일종로 선조 때 이장손(李長孫)이 발명한 것이다.
비격진천뢰는 내부에 화약과 빙철(憑鐵) 등을 장전하여 완구(碗口)라는 화포에 의하여 목표물에 발사하는 무기로, 발사 후 표적지에 날아간 뒤 시간이 지나서 터지는 일종의 작렬 시한폭탄으로 분류된다. 섬광, 굉음과 함께 수많은 철파편을 사방에 흩날리는게 특징이다.
그 시대 다른 포탄들은 발사되어 성벽이나 시설물을 우선 파괴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지만, 비격진천뢰는 날아간 뒤 적병들 사이에서 폭발하는 인마살상용 무기라는 점이 다르다.
임진왜란의 비밀병기
비격진천뢰는 강력한 살상력을 갖고있어 임진왜란 당시 경주성 탈환전, 진주성·남원성 싸움 등 실전에서 큰 위력을 발휘했다는 기록들이 전해지며, 갑자기 날아와서 큰 소리를 내며 터지는 이 무기에 왜군이 느끼는 심리적인 압박감은 대단하였으며 왜적들은 이 무기를 가장 무서워했다.
"비격진천뢰는 군기시의 화포장 이장손이 만든 무기다. 진천뢰를 대완구(대포)에 넣어 쏘면 500~600보를 날아가 땅에 떨어져 한참 있으면 불이 그 안에서 일어나 터진다. 왜적들은 이 무기를 가장 무서워했다"
- 유성룡,<징비록>
특히 박진이 경주성을 탈환한 승전의 전투에서 사용한 비격진천뢰에 대해서 한국와 일본 모두의 기록이 있다. 우리의‘선조수정실록’에는 “성 밖에서 비격진천뢰를 성 안으로 발사하여 진 안에 떨어뜨렸다. 적이 그 제도를 몰랐으므로 다투어 구경하면서 서로 밀고 당기며 만져보는 중에 조금 있다가 포(砲)가 그 속에서 터지니 소리가 천지를 진동하고 쇳조각이 별처럼 부서져 나갔다. ... 온 진중이 놀라고 두려워하면서 신비스럽게 여기다가 이튿날 드디어 성을 버리고 서생포(울산)로 도망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1]
일본측 기록인 <정한위략>에서는“적진에서 괴물체가 날아와 땅에 떨어져 우리 군사들이 빙둘러 서서 구경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폭발해서 소리가 천지를 흔들고 철편이 별가루처럼 흩어져 맞은 자는 즉사하고 맞지 않은 자는 넘어졌다. 기이하고 놀라서 서생포로 돌아왔다.”고 한 것으로 보아, 일본이 이 무기를 ‘충격과 공포’로 받아들였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의 병기전문가인 아리마 세이호(有馬成甫)는 『조선역 수군사』에서 “비격진천뢰의 발화장치는 매우 교묘한 것으로 그것은 화공술로서의 획기적인 일대 진보라 말할 수 있다”고 했다.
『향병일기』, 가학(家學)이 되다
향병일기(鄕兵日記). 김해(金垓,1555~1593)가 1592년부터 1593년까지 약 2년간 기록한 일기. (한국국학진흥원)
매원일기(梅園日記). 김광계(金光繼,1580~1646)가 1603년부터 1645년까지 약 28년간 기록 한 일기. (한국국학진흥원)
묵재일기(默齋日記). 김염(1612~1659)이 1636년부터 1640년까지 약 5년간 기록한 일기(한국국학진흥원)
과헌일기(果軒日記). 김순의(金純義,1645~1714)가 1662년부터 1714년까지 약 42년간 기록한 일기. (한국국학진흥원)
계암일록(溪巖日錄). 김령(金坽,1577~1641)이 1603년부터 1641년까지 약 39년간 기록한 일기. (한국국학진흥원)
여온일기(汝溫日記). 김선(1615~1670)이 1639년부터 1644년까지 약 3년간 기록한 일기. (한국국학진흥원)
김해가 임진왜란 당시 의병대장으로 활약하면서 『향병일기』를 저술한 것을 시작으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동한 그의 아들 김광계(金光繼,1580~1646)가 28년간 매원일기 18책을, 손자 김염(1612~1659)이 5년간 묵재일기 3책을, 증손자 김순의(金純義,1645~1714)가 42년간 과헌일기 6책을 대대로 기록했다. 또한 김해의 종형제인 김령(金坽,1577~1641)이 39년간 계암일록 8책을, 김염의 동생인 김선(1615~1670)이 3년간 여온일기 2책을 썼다.
즉 4대에 걸쳐 약 120년간 총 39권의 일기를 기록했는데, 이 일기들에는 손님을 접객하거나 취미활동과 같은 일상생활, 관혼상제와 같은 가정의례 뿐 아니라 농사·노비·토지경영 등의 경제활동, 수령 및 아전 등의 관리 접촉이나 부세와 환곡, 지방정책과 같은 지방통치 관계, 질병 치료와 식생활 등 당시 우리나라의 사회, 경제, 문화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어서 생생한 생활상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쟁이나 당쟁 등 대내외적 격동기 사회를 살아가는 재지사족의 일상과 고민이 담겨 있어 그 의미가 크다.
미디어 자료
- ‘4대 120년’ 일기…사대부 고민·반성 ‘절절’(KBS News,2016)
지식 관계망
중심요소
ID | Class | Label |
---|---|---|
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Place | 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계암일록 | Record | 계암일록(溪巖日錄) |
향병일기 | Record | 향병일기(鄕兵日記) |
행군수지 | Record | 행군수지(行軍須知) |
매원일기 | Record | 매원일기(梅園日記) |
묵재일기 | Record | 묵재일기(默齋日記) |
과헌일기 | Record | 과헌일기(果軒日記) |
여온일기 | Record | 여온일기(汝溫日記) |
김령 | Actor | 김령(金坽,1577~1641) |
김효로 | Actor | 김효로(金孝盧,1445∼1534) |
김해 | Actor | 김해(金垓,1555∼1593) |
김광계 | Actor | 김광계(金光繼,1580~1646) |
김염 | Actor | 김염(金𥖝,1612~1659) |
김순의 | Actor | 김순의(金純義,1645~1714) |
김선 | Actor | 김선(1615~1670) |
문맥요소
ID | Class | Label |
---|---|---|
의병장 | Concept | 의병장 |
일기 | Concept | 일기 |
안동_광산김씨 | Concept | 안동_광산김씨 |
폭탄 | Concept | 폭탄 |
부대지휘관_지침서 | Concept | 부대지휘관_지침서 |
안동_광산김씨_가학 | Concept | 안동_광산김씨_가학 |
조선시대_생활상 | Concept | 조선시대_생활상 |
임진왜란 | Event | 임진왜란(1592~1598) |
정묘호란 | Event | 정묘호란(1627) |
병자호란 | Event | 병자호란(1636~1637) |
H37-0027-0000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27호)_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G00-0227-0000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27호)_안동_후조당_종택 |
H37-0483-0000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83호)_향병일기 |
비격진천뢰 | Object |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
안동_후조당_종택 | Place | 안동_후조당_종택 |
광산김씨_재사 | Place | 광산김씨_재사 |
광산김씨_사당 | Place | 광산김씨_사당 |
김성일_격문 | Object | 김성일_격문 |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H37-0027-0000 | isDesignatedAs |
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광산김씨_재사 | hasPart |
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광산김씨_사당 | hasPart |
안동_후조당_종택 | G00-0227-0000 | isDesignatedAs |
안동_후조당_종택 | 광산김씨_재사 | hasPart |
김효로 | 광산김씨_재사 | isEnshrinedIn |
김해 | 광산김씨_재사 | isEnshrinedIn |
김효로 | 안동_광산김씨 | isTheFirstOf |
김해 | 의병장 | servesAs |
의병장 | 김성일_격문 | isRelatedTo |
김해 | 향병일기 | creator |
향병일기 | 임진왜란 | documents |
향병일기 | 일기 | type |
향병일기 | 비격진천뢰 | mentions |
비격진천뢰 | 폭탄 | type |
향병일기 | H37-0483-0000 | isDesignatedAs |
김해 | 행군수지 | creator |
행군수지 | 부대지휘관_지침서 | type |
일기 | 안동_광산김씨_가학 | type |
일기 | 조선시대_생활상 | documents |
매원일기 | 김광계 | creator |
김해 | 김광계 | hasSon |
김광계 | 의병장 | servesAs |
매원일기 | 정묘호란 | documents |
매원일기 | 병자호란 | documents |
매원일기 | 일기 | type |
김염 | 묵재일기 | creator |
김광계 | 김염 | hasSon |
묵재일기 | 일기 | type |
김순의 | 과헌일기 | creator |
김염 | 김순의 | hasSon |
과헌일기 | 일기 | type |
계암일록 | 김령 | creator |
계암일록 | 일기 | type |
김해 | 김령 | cousins |
여온일기 | 김선 | creator |
김염 | 김선 | hasBrother |
주석
- ↑ ‘선조수정실록’ 선조 25년(1592) 9월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향병일기"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향병일기"
『디지털안동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임진왜란을 맞아 안동에서 일어난 의병들"
『스토리테마파크』online , 한국국학진흥원. - 최은주,"한결같이 군자의 길을 걷다."
한국국학진흥원 공식 블로그online , 한국국학진흥원. - "향병일기"
국가문화유산포털online , 문화재청. - 이기환,"비격진천뢰 관련 기사"
『'조선의 귀신폭탄' 비격진천뢰의 철판두께가 밝혀낸 살상력의 진실』online , 경향신문.
- "향병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