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광산김씨 수운잡방 스토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영문)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안동_광산김씨_수운잡방_영문 영문]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안동_광산김씨_수운잡방_영문 영문 초안] |
=='''개요'''== | =='''개요'''== | ||
+ | * '''[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my9univ&script=수운잡방_스토리.lst "할아버지를 이어 손자가 쓴 책, 수운잡방" 스토리별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my9univ&script=수운잡방_스토리.lst"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할아버지 김유와 손자 김령이 쓴 수운잡방=== | ===할아버지 김유와 손자 김령이 쓴 수운잡방=== | ||
7번째 줄: | 14번째 줄: | ||
파일:수운잡방.jpg|수운잡방의 표지([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4350000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파일:수운잡방.jpg|수운잡방의 표지([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4350000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파일:수운잡방2.jpg|수운잡방의 내부([http://www.soowoonjapbang.com/coding/sub1/sub3.asp 수운잡방, (사)수운잡방연구원]) | 파일:수운잡방2.jpg|수운잡방의 내부([http://www.soowoonjapbang.com/coding/sub1/sub3.asp 수운잡방, (사)수운잡방연구원]) | ||
+ | </gallery>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
+ | 파일:수운잡방_상.jpg|김유가 쓴 수운잡방 상편 중 타락 만드는 법.([http://www.soowoonjapbang.com/coding/sub1/sub3.asp 수운잡방, (사)수운잡방연구원]) | ||
+ | 파일:수운잡방_하.jpg|김령가 쓴 수운잡방 하편 중 오정주 만드는 법.([http://www.soowoonjapbang.com/coding/sub1/sub3.asp 수운잡방, (사)수운잡방연구원]) | ||
</gallery> | </gallery> | ||
− | 일반인이 기록한 최초의 요리서<ref>우리나라 최초의 식품고전종합농서는 궁중어의이자 영농 온실을 세계 최초록 설계한 과학자 전순의(全循義)가 기록한 『산가요록(山家要錄,1449)』이다.</ref>인『수운잡방(需雲雜方)』은 2권으로 된 한문 필사본으로 121개의 요리법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 중 59가지가 술을 빚는 방법이다 | + | 일반인이 기록한 최초의 요리서<ref>우리나라 최초의 식품고전종합농서는 궁중어의이자 영농 온실을 세계 최초록 설계한 과학자 전순의(全循義)가 기록한 『산가요록(山家要錄,1449)』이다.</ref>인『수운잡방(需雲雜方)』은 2권으로 된 한문 필사본으로 121개의 요리법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 중 59가지가 술을 빚는 방법이다. |
− | + | 속표지에는 탁청공유묵(濯淸公遺墨), 계암선조유묵(溪巖先祖遺墨)이라고 적혀 있고, 상편은 행서, 하편은 초서로 되어 있으므로 글자체 및 필체에 따라 구분해 볼 때 김유(金綏,1491~1555, 호:탁청정)가 기록한 86항(상편)과 김령(金坽,1577~1641, 호:계암)가 기록한 35항(하편)으로 나눌 수 있다. | |
− | |||
− | 즉, ''' | + | 사실 손자 김령은 할아버지 김유가 죽은 지 22년 후에 태어났다. 이『수운잡방』은 어떤 책이길래 얼굴도 못 본 손자가 이어서 쓰게 된 것일까. 여기서는 『수운잡방』이 어떠한 책인지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
+ | |||
+ | <big>''수운잡방은 무슨 뜻인가''</big> | ||
+ | |||
+ | '수운(需雲)'이란 단어는 주역(周易)의 ‘구름(雲)이 하늘에 오른 것이 수(需)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마시고 먹으며 잔치하고 즐긴다(雲上于天需君子以飮食宴樂)’는 구절<ref>주역(周易)의 64괘 가운데 5번째 괘인 수천수(水天需)</ref>에서 인용한 것이다. | ||
+ | |||
+ | 이는 하늘에 구름이 끼었다고 곧바로 비가 내리는 것이 아닌 만큼 '''좋은 음식'''으로 몸과 마음을 가꾸면서 '''때를 기다린다'''는 뜻이며, 격조 있는 음식<ref>주역‘서괘전(序卦傳)’에 ‘수(需)는 먹고 마시는 음식의 도(道)’라고 적혀있다. (전문: 蒙者蒙也 物之穉也 物穉不可不養也, 故 受之以需 需者 飮食之道也)</ref>, 연회 등 음식과 관련된 행사<ref>세조실록, 세조 6년(1460) 1월 18일</ref>라는 뜻으로 자주 인용된다. 또한 '잡방(雜方)'이란 갖가지 방법을 뜻한다. | ||
+ | |||
+ | 즉, 수운잡방은 '''격조 있는 음식으로 군자를 대접하는 갖가지 방법'''이라는 뜻이다. | ||
+ | |||
+ | ===영문=== | ||
+ | * ''Suun japbang'' written by grandfather(Kim Yu) and grandson (Kim Ryeong) | ||
+ | ''Suun japbang'', the first cookbook written by ordinary people, is a two-volume manuscript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t contains 121 recipes, 59 of which are methods of making alcohol. | ||
+ | |||
+ | On the inside cover, it is written TakcheongGongYumuk (濯淸公遺墨) and Gyeam SeonjoYumuk (溪巖先祖遺墨). When distinguishing according to typeface and handwriting, it can be devided into two parts: 86 paragraphs (first volume) recorded by Kim Yu (1491-1555, ho: Takcheongjeong) and 35 paragraphs (second volume) recorded by Kim Ryeong (1577-1641, ho: Gye-am). | ||
+ | |||
+ | The title of the book, ''Suun japbang'', means various ways to serve the gentleman with elegant food. | ||
=='''내용'''== | =='''내용'''== | ||
− | === | + | ==='''김유는 『수운잡방』을 왜 저술하게 되었나'''===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
25번째 줄: | 50번째 줄: | ||
파일:탁청정이황시판.jpg|탁청정의 이황 시판([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3034 수운잡방 관련 기사, 중앙시사매거진.]) | 파일:탁청정이황시판.jpg|탁청정의 이황 시판([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3034 수운잡방 관련 기사, 중앙시사매거진.]) | ||
</gallery> | </gallery> | ||
− | + | 오천은 도산서당·역동서원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선비들의 왕래가 잦은 곳인데, 김유는 선비의 덕목인 ‘봉제사접빈객(奉祭祀接賓客, 제사를 받들고 손님을 대접)’에 충실하여 접빈객을 정중하게 대접하였으며 선비들과 학문을 이야기하고 시인 묵객들과 교유를 넓히는 풍류를 즐겼다. | |
− | + | ||
+ | 김유는 탁청정에서 친족 및 친구 등에게 좋은 음식과 술을 대접하였다.<ref>김광계(金光繼)의 매원일기(梅園日記)에 보면 동네의 여러 친족들과 탁청정(濯淸亭)에서 모여 술을 마시기로 했다고 되어있다.</ref>탁청정에 찾아오는 여러 친족과 친구들에게 좋은 음식을 대접하던 일이 많아지자 김유는 음식을 만드는 일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조리서 『수운잡방(需雲雜方)』을 저술하였다. | ||
+ | |||
+ | <big>''탁청정은 어떤 정자일까?''</big> | ||
− | + | 김유가 세운 건물은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탁청정공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72호)]과 종택의 정자인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안동_탁청정 탁청정(중요민속자료 제226호)]이 있다.<ref>침류정은 김유가 수리한 것으로 포함하지 않았다.</ref> 특히 탁청정은 그 규모가 웅장하고 모양이 화려하여 오랫동안 인근에서 이름을 떨쳤다. <ref>실제로 낙성연에 초대된 이황이 강 건너에서 정자의 모양을 보고는 ‘선비의 집이 너무 호사스럽다.’고 하여 오르기를 꺼렸다는 이야기가 있다.</ref> | |
탁청정은 매우 튼튼한 재료를 사용하였고, 정방형으로 느껴질 만큼 입체구성의 비례가 잘 잡혀 있는 것이 특징이며, 건축 당시에는 단청이 있었다. 영남지방에서 개인의 정자로는 그 구도가 가장 웅장하고 우아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 탁청정은 매우 튼튼한 재료를 사용하였고, 정방형으로 느껴질 만큼 입체구성의 비례가 잘 잡혀 있는 것이 특징이며, 건축 당시에는 단청이 있었다. 영남지방에서 개인의 정자로는 그 구도가 가장 웅장하고 우아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 ||
34번째 줄: | 62번째 줄: | ||
탁청정의 현판은 당대의 명필인 한호(韓濩,1543~1605,호:석봉)의 글씨이며, 획과 점들이 듬직한 가운데 한 글자 한 글자가 생동감을 준다. 또한 내부에는 이현보(李賢輔,1467~1555), 이황(李滉,1501~1570) 등의 시구(詩句)가 현판(懸板)되어 있다. | 탁청정의 현판은 당대의 명필인 한호(韓濩,1543~1605,호:석봉)의 글씨이며, 획과 점들이 듬직한 가운데 한 글자 한 글자가 생동감을 준다. 또한 내부에는 이현보(李賢輔,1467~1555), 이황(李滉,1501~1570) 등의 시구(詩句)가 현판(懸板)되어 있다. | ||
− | ===''' | + | ====영문==== |
+ | * Why did Kim Yu write ''Suun japbang'' | ||
+ | Ocheon area is located on the road to famous Confucian Academies (Dosanseowon and Yeokdongseowon), so many scholars frequented the area. Kim Yu treated visting scholars with respect, and enjoyed the tradition of conversing and expanding communion with scholars and poets. | ||
+ | |||
+ | Takcheongjeong Pavilion was used to serve good food and alcohol to relatives and friends. As he often served good food to his relatives and friends who came to Takcheongjeong Pavilion, Kim Yu became interested in making food and wrote a cookbook, ''Suun japbang''. | ||
+ | |||
+ | * What is the Takcheongjeonggong? | ||
+ | The buildings built by Kim Yu include the Takcheongjeonggong Branch of the Gwangsan Kim Clan and Takcheongjeong Pavilion, the pavilion of that branch. In particular, Takcheongjeong Pavilion has been famous in the neighborhood for a long time because of its grand scale and gorgeous shape. | ||
+ | |||
+ | ==='''『수운잡방』에는 어떤 요리가 기록되어 있을까'''=== | ||
41번째 줄: | 78번째 줄: | ||
파일:수운잡방_신라호텔.jpg|수운잡방을 토대로 신라호텔 '더 파크뷰'에서 만든 음식. 상단에서부터 삼색어아탕, 서여탕, 전계아, 육면.([https://blog.naver.com/theshillain73/220998361231 호텔신라 공식블로그, 더신라]) | 파일:수운잡방_신라호텔.jpg|수운잡방을 토대로 신라호텔 '더 파크뷰'에서 만든 음식. 상단에서부터 삼색어아탕, 서여탕, 전계아, 육면.([https://blog.naver.com/theshillain73/220998361231 호텔신라 공식블로그, 더신라]) | ||
</gallery> | </gallery> | ||
− | 『수운잡방』은 재료 저장법에서 조리법, 가공법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조선 전기 안동 양반가의 식생활 모습을 정확하게 알려주고 있다. | + | |
− | 일부 향신료는 사용되었으나 고추는 사용된 기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1600년 초반까지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 + | 『수운잡방』은 재료 저장법에서 조리법, 가공법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조선 전기 안동 양반가의 식생활 모습을 정확하게 알려주고 있다. 일부 향신료는 사용되었으나 고추는 사용된 기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1600년 초반까지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ref>고추는 임진왜란 이후부터 사용되었다.</ref> |
또한『수운잡방』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의 각종 요리서<ref>중국 조리서 『거가필용(居家必用)』에서 인용된 것도 있고, 당시에 널리 읽혔던 것으로 알려진 『식경(食經)』의 내용도 있다.</ref>에 나오는 요리법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각종 요리서를 참고하여 저술한 부분도 있으나 「오천가법」, 「현재 엿도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법」이라는 글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항간에 나돌고 있는 속방(俗方)을 수록하기도 하고 양반가문에서 일상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조리법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요리법의 변천이나 용어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식품조리사의 중요한 자료이다. | 또한『수운잡방』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의 각종 요리서<ref>중국 조리서 『거가필용(居家必用)』에서 인용된 것도 있고, 당시에 널리 읽혔던 것으로 알려진 『식경(食經)』의 내용도 있다.</ref>에 나오는 요리법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각종 요리서를 참고하여 저술한 부분도 있으나 「오천가법」, 「현재 엿도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법」이라는 글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항간에 나돌고 있는 속방(俗方)을 수록하기도 하고 양반가문에서 일상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조리법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요리법의 변천이나 용어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식품조리사의 중요한 자료이다. | ||
− | + | <big>''『수운잡방』의 활용''</big> | |
− | + | 안동에는 『수운잡방』에 기록된 음식을 맛볼 수 있는 수운잡방 전통음식 체험관도 운영이 되고 있으며, 2017년 서울신라호텔 레스토랑 '더 파크뷰'에서는 『수운잡방』의 8가지 음식(새우 수란, 모점이법, 향과저, 서여탕, 전계아, 타락, 전약, 다식, 식혜)을 현대적인 조리기법으로 재해석하여 선보인 바 있다. | |
+ | ====영문==== | ||
+ | * What dishes are recorded in ''Suun japbang''? | ||
+ | ''Suun japbang'' is a detailed record of how to store ingredients, how to cook, and how to process food, accurately describing the eating habits of the upper-class in Andon. There are records of some spices being used, but there is no record of pepper being used, which was introduc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s(1592-1598). so it is estimated that it was written until the early 1600s. | ||
+ | |||
+ | In addition, ''Suun japbang'' contains recipes from various cookbooks of Korea and China. Some were written with reference to traditional cookbooks, but given that there are contains methods coming from the public community, or methods routinely used by the upper-class fami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stimate changes in recipes or changes in terminology. | ||
+ | |||
+ | * Utilization of ''Suun japbang'' | ||
+ | In 2017, 'The Park View', a restaurant in the Shilla Hotel Seoul, recreates the 8 dishes of ''Suun japbang'' reevaluated and presented using modern cooking techniques. | ||
+ | |||
+ | ===할아버지의 수운잡방을 이어서 쓴 김령, 그는 누구인가.===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
58번째 줄: | 105번째 줄: | ||
'''지조(志操)의 꿋꿋함, 풍절(風節)의 고결함은 사림(士林)의 모범이 된다.''' 이는 김령이 죽은 후 숙종이 도승지에 추증하면서 내린 교지(敎旨)에서 그를 설명한 문구로써, 김령은 광해~인조의 혼탁한 시절 속에서도 꼿꼿하게 지조를 끝까지 지키는 선비의 삶을 보여준 대표적 인물이다. | '''지조(志操)의 꿋꿋함, 풍절(風節)의 고결함은 사림(士林)의 모범이 된다.''' 이는 김령이 죽은 후 숙종이 도승지에 추증하면서 내린 교지(敎旨)에서 그를 설명한 문구로써, 김령은 광해~인조의 혼탁한 시절 속에서도 꼿꼿하게 지조를 끝까지 지키는 선비의 삶을 보여준 대표적 인물이다. | ||
− | 김령은 김부륜(金富倫,1531~1598)의 아들이자 김유의 손자로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 + | 김령은 김부륜(金富倫,1531~1598)의 아들이자 김유의 손자로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광해군의 정치를 비관해 관직을 관두고 낙향하여 은거하였으며, 수십차례에 걸쳐 여러 직책이 내려졌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ref>김령은 의리가 지켜지지 않는 세상과 담을 쌓고, 18년 동안 두문분출하였다. 보던 책들은 표지를 가려서 드나드는 사람들이 무슨 책인지 모르게 하고, 의롭지 않은 것은 겨자씨 하나라도 받지 않았다.</ref> |
인조실록에서는 김령에 대해 ‘성품이 차분하고 지조가 있어 여러 번 부름을 받았으나 사양하여 종신토록 영(嶺)을 넘지 않아 세칭 영남제일인(嶺南第一人)이라 했다’고 적고 있다. | 인조실록에서는 김령에 대해 ‘성품이 차분하고 지조가 있어 여러 번 부름을 받았으나 사양하여 종신토록 영(嶺)을 넘지 않아 세칭 영남제일인(嶺南第一人)이라 했다’고 적고 있다. | ||
− | 김령은 1603년부터 1641년까지 38년간 일기를 썼는데, 그 일기가 바로 『계암일록(溪巖日錄)』<ref>원서의 제목은『일록(日錄)』이다.</ref>이다. 일기의 | + | <big>''38년간 일기를 쓴 김령''</big> |
+ | |||
+ | 김령은 1603년부터 1641년까지 38년간 일기를 썼는데, 그 일기가 바로 『계암일록(溪巖日錄)』<ref>원서의 제목은『일록(日錄)』이다.</ref>이다. | ||
+ | |||
+ | 일기의 내용은 가정의례와 친족 및 접빈객과 교류하고 대접한 일상사가 대부분이지만, 인조반정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문제 제기, 지방관의 가렴으로 인한 민생의 심각성, 향시의 폐단 등에 대한 기록 등 중앙과 지방의 전반적인 시사에 대해서도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 | ||
『계암일록』은 『설월당유고』, 177매의 고문서(교지, 유지, 분재기, 호구단자, 제문 등)과 함께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0호(설월당종택소장전적및고문서)로 지정되어 있다. | 『계암일록』은 『설월당유고』, 177매의 고문서(교지, 유지, 분재기, 호구단자, 제문 등)과 함께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0호(설월당종택소장전적및고문서)로 지정되어 있다. | ||
+ | |||
+ | ====영문==== | ||
+ | * Kim Ryeong, who wrote the sequel to his grandfather's ''Suun japbang'', who is he? | ||
+ | "His principled and integrity are examples of a Confucian scholar." This is a phrase from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granted by to Kim Ryeong. Kim Ryeong i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showed the life of a scholar who stood up to the end even in the turbulent days of King Gwanghae ~ King Injo. | ||
+ | |||
+ | Kim Ryeong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but he was pessimistic about the politics of King Gwanghaegun and retired from office and took refuge in his hometown. He was appointed to several official posts, but declined. | ||
+ | |||
+ | Silok of Injo writes about Kim Ryeong, “He was called many times because of his calm personality and kindness, but he declined and did not advance, so he was regarded as the first person of Yeongnam area.” | ||
+ | |||
+ | * Diary written for 38 years, Gye-am Daily Journal | ||
+ | Kim Ryeong kept a diary for 38 years from 1603 to 1641, and that diary is Gye-am Daily Journal. Most of the diaries are about family ceremonies, daily interactions with relatives and guests. But overall current affairs, such as raising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validity of the rebellion of Injo, the seriousness of people's livelihoods due to local officials' negligence is also recorded in detail. | ||
+ | |||
+ | 'Gye-am Daily Journal' is designated as Heritage along with Seolwoldang Yugo and 177 ancient documents. | ||
=='''미디어 자료'''== | =='''미디어 자료'''== | ||
79번째 줄: | 143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my9univ&script=안동_광산김씨_수운잡방_스토리.lst "안동 광산김씨 수운잡방 스토리 전체" 지식관계망]''' | |
− | + | <html> | |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my9univ&script=안동_광산김씨_수운잡방_스토리.lst"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htm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1년 6월 23일 (수) 03:03 기준 최신판
목차
개요
할아버지 김유와 손자 김령이 쓴 수운잡방
수운잡방의 표지(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수운잡방의 내부(수운잡방, (사)수운잡방연구원)
김유가 쓴 수운잡방 상편 중 타락 만드는 법.(수운잡방, (사)수운잡방연구원)
김령가 쓴 수운잡방 하편 중 오정주 만드는 법.(수운잡방, (사)수운잡방연구원)
일반인이 기록한 최초의 요리서[1]인『수운잡방(需雲雜方)』은 2권으로 된 한문 필사본으로 121개의 요리법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 중 59가지가 술을 빚는 방법이다.
속표지에는 탁청공유묵(濯淸公遺墨), 계암선조유묵(溪巖先祖遺墨)이라고 적혀 있고, 상편은 행서, 하편은 초서로 되어 있으므로 글자체 및 필체에 따라 구분해 볼 때 김유(金綏,1491~1555, 호:탁청정)가 기록한 86항(상편)과 김령(金坽,1577~1641, 호:계암)가 기록한 35항(하편)으로 나눌 수 있다.
사실 손자 김령은 할아버지 김유가 죽은 지 22년 후에 태어났다. 이『수운잡방』은 어떤 책이길래 얼굴도 못 본 손자가 이어서 쓰게 된 것일까. 여기서는 『수운잡방』이 어떠한 책인지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수운잡방은 무슨 뜻인가
'수운(需雲)'이란 단어는 주역(周易)의 ‘구름(雲)이 하늘에 오른 것이 수(需)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마시고 먹으며 잔치하고 즐긴다(雲上于天需君子以飮食宴樂)’는 구절[2]에서 인용한 것이다.
이는 하늘에 구름이 끼었다고 곧바로 비가 내리는 것이 아닌 만큼 좋은 음식으로 몸과 마음을 가꾸면서 때를 기다린다는 뜻이며, 격조 있는 음식[3], 연회 등 음식과 관련된 행사[4]라는 뜻으로 자주 인용된다. 또한 '잡방(雜方)'이란 갖가지 방법을 뜻한다.
즉, 수운잡방은 격조 있는 음식으로 군자를 대접하는 갖가지 방법이라는 뜻이다.
영문
- Suun japbang written by grandfather(Kim Yu) and grandson (Kim Ryeong)
Suun japbang, the first cookbook written by ordinary people, is a two-volume manuscript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t contains 121 recipes, 59 of which are methods of making alcohol.
On the inside cover, it is written TakcheongGongYumuk (濯淸公遺墨) and Gyeam SeonjoYumuk (溪巖先祖遺墨). When distinguishing according to typeface and handwriting, it can be devided into two parts: 86 paragraphs (first volume) recorded by Kim Yu (1491-1555, ho: Takcheongjeong) and 35 paragraphs (second volume) recorded by Kim Ryeong (1577-1641, ho: Gye-am).
The title of the book, Suun japbang, means various ways to serve the gentleman with elegant food.
내용
김유는 『수운잡방』을 왜 저술하게 되었나
탁청정 전경(수운잡방, (사)수운잡방연구원)
탁청정의 현판(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탁청정의 이황 시판(수운잡방 관련 기사, 중앙시사매거진.)
오천은 도산서당·역동서원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선비들의 왕래가 잦은 곳인데, 김유는 선비의 덕목인 ‘봉제사접빈객(奉祭祀接賓客, 제사를 받들고 손님을 대접)’에 충실하여 접빈객을 정중하게 대접하였으며 선비들과 학문을 이야기하고 시인 묵객들과 교유를 넓히는 풍류를 즐겼다.
김유는 탁청정에서 친족 및 친구 등에게 좋은 음식과 술을 대접하였다.[5]탁청정에 찾아오는 여러 친족과 친구들에게 좋은 음식을 대접하던 일이 많아지자 김유는 음식을 만드는 일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조리서 『수운잡방(需雲雜方)』을 저술하였다.
탁청정은 어떤 정자일까?
김유가 세운 건물은 탁청정공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72호)과 종택의 정자인 탁청정(중요민속자료 제226호)이 있다.[6] 특히 탁청정은 그 규모가 웅장하고 모양이 화려하여 오랫동안 인근에서 이름을 떨쳤다. [7]
탁청정은 매우 튼튼한 재료를 사용하였고, 정방형으로 느껴질 만큼 입체구성의 비례가 잘 잡혀 있는 것이 특징이며, 건축 당시에는 단청이 있었다. 영남지방에서 개인의 정자로는 그 구도가 가장 웅장하고 우아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탁청정의 현판은 당대의 명필인 한호(韓濩,1543~1605,호:석봉)의 글씨이며, 획과 점들이 듬직한 가운데 한 글자 한 글자가 생동감을 준다. 또한 내부에는 이현보(李賢輔,1467~1555), 이황(李滉,1501~1570) 등의 시구(詩句)가 현판(懸板)되어 있다.
영문
- Why did Kim Yu write Suun japbang
Ocheon area is located on the road to famous Confucian Academies (Dosanseowon and Yeokdongseowon), so many scholars frequented the area. Kim Yu treated visting scholars with respect, and enjoyed the tradition of conversing and expanding communion with scholars and poets.
Takcheongjeong Pavilion was used to serve good food and alcohol to relatives and friends. As he often served good food to his relatives and friends who came to Takcheongjeong Pavilion, Kim Yu became interested in making food and wrote a cookbook, Suun japbang.
- What is the Takcheongjeonggong?
The buildings built by Kim Yu include the Takcheongjeonggong Branch of the Gwangsan Kim Clan and Takcheongjeong Pavilion, the pavilion of that branch. In particular, Takcheongjeong Pavilion has been famous in the neighborhood for a long time because of its grand scale and gorgeous shape.
『수운잡방』에는 어떤 요리가 기록되어 있을까
수운잡방 원형 재현 음식. 윗줄 왼쪽부터 삼색어아탕, 납조저, 더덕좌반, 동치미, 두부, 조정.
아랫줄 왼쪽부터 삼하탕, 황탕, 다식법, 치저, 육면, 분탕. (수운잡방, (사)수운잡방연구원)수운잡방을 토대로 신라호텔 '더 파크뷰'에서 만든 음식. 상단에서부터 삼색어아탕, 서여탕, 전계아, 육면.(호텔신라 공식블로그, 더신라)
『수운잡방』은 재료 저장법에서 조리법, 가공법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조선 전기 안동 양반가의 식생활 모습을 정확하게 알려주고 있다. 일부 향신료는 사용되었으나 고추는 사용된 기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1600년 초반까지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8]
또한『수운잡방』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의 각종 요리서[9]에 나오는 요리법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각종 요리서를 참고하여 저술한 부분도 있으나 「오천가법」, 「현재 엿도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법」이라는 글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항간에 나돌고 있는 속방(俗方)을 수록하기도 하고 양반가문에서 일상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조리법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요리법의 변천이나 용어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식품조리사의 중요한 자료이다.
『수운잡방』의 활용
안동에는 『수운잡방』에 기록된 음식을 맛볼 수 있는 수운잡방 전통음식 체험관도 운영이 되고 있으며, 2017년 서울신라호텔 레스토랑 '더 파크뷰'에서는 『수운잡방』의 8가지 음식(새우 수란, 모점이법, 향과저, 서여탕, 전계아, 타락, 전약, 다식, 식혜)을 현대적인 조리기법으로 재해석하여 선보인 바 있다.
영문
- What dishes are recorded in Suun japbang?
Suun japbang is a detailed record of how to store ingredients, how to cook, and how to process food, accurately describing the eating habits of the upper-class in Andon. There are records of some spices being used, but there is no record of pepper being used, which was introduc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s(1592-1598). so it is estimated that it was written until the early 1600s.
In addition, Suun japbang contains recipes from various cookbooks of Korea and China. Some were written with reference to traditional cookbooks, but given that there are contains methods coming from the public community, or methods routinely used by the upper-class fami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stimate changes in recipes or changes in terminology.
- Utilization of Suun japbang
In 2017, 'The Park View', a restaurant in the Shilla Hotel Seoul, recreates the 8 dishes of Suun japbang reevaluated and presented using modern cooking techniques.
할아버지의 수운잡방을 이어서 쓴 김령, 그는 누구인가.
계암일록. (수운잡방, (사)수운잡방연구원)
설월당종택 소장 전적 및 고문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인조실록[10]에 쓰인 김령. (조선왕조실록, 고전번역원.)
지조(志操)의 꿋꿋함, 풍절(風節)의 고결함은 사림(士林)의 모범이 된다. 이는 김령이 죽은 후 숙종이 도승지에 추증하면서 내린 교지(敎旨)에서 그를 설명한 문구로써, 김령은 광해~인조의 혼탁한 시절 속에서도 꼿꼿하게 지조를 끝까지 지키는 선비의 삶을 보여준 대표적 인물이다.
김령은 김부륜(金富倫,1531~1598)의 아들이자 김유의 손자로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광해군의 정치를 비관해 관직을 관두고 낙향하여 은거하였으며, 수십차례에 걸쳐 여러 직책이 내려졌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1]
인조실록에서는 김령에 대해 ‘성품이 차분하고 지조가 있어 여러 번 부름을 받았으나 사양하여 종신토록 영(嶺)을 넘지 않아 세칭 영남제일인(嶺南第一人)이라 했다’고 적고 있다.
38년간 일기를 쓴 김령
김령은 1603년부터 1641년까지 38년간 일기를 썼는데, 그 일기가 바로 『계암일록(溪巖日錄)』[12]이다.
일기의 내용은 가정의례와 친족 및 접빈객과 교류하고 대접한 일상사가 대부분이지만, 인조반정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문제 제기, 지방관의 가렴으로 인한 민생의 심각성, 향시의 폐단 등에 대한 기록 등 중앙과 지방의 전반적인 시사에 대해서도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
『계암일록』은 『설월당유고』, 177매의 고문서(교지, 유지, 분재기, 호구단자, 제문 등)과 함께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0호(설월당종택소장전적및고문서)로 지정되어 있다.
영문
- Kim Ryeong, who wrote the sequel to his grandfather's Suun japbang, who is he?
"His principled and integrity are examples of a Confucian scholar." This is a phrase from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granted by to Kim Ryeong. Kim Ryeong i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showed the life of a scholar who stood up to the end even in the turbulent days of King Gwanghae ~ King Injo.
Kim Ryeong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but he was pessimistic about the politics of King Gwanghaegun and retired from office and took refuge in his hometown. He was appointed to several official posts, but declined.
Silok of Injo writes about Kim Ryeong, “He was called many times because of his calm personality and kindness, but he declined and did not advance, so he was regarded as the first person of Yeongnam area.”
- Diary written for 38 years, Gye-am Daily Journal
Kim Ryeong kept a diary for 38 years from 1603 to 1641, and that diary is Gye-am Daily Journal. Most of the diaries are about family ceremonies, daily interactions with relatives and guests. But overall current affairs, such as raising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validity of the rebellion of Injo, the seriousness of people's livelihoods due to local officials' negligence is also recorded in detail.
'Gye-am Daily Journal' is designated as Heritage along with Seolwoldang Yugo and 177 ancient documents.
미디어 자료
- 자연의 재료로 색을 입히고 건강까지 생각한 요리, 수운잡방 (KBS 대구, 2020)
- ‘500년 전통 종갓집 요리’ 현대적 감각으로 재탄생 (TV조선, 2015)
지식 관계망
주석
- ↑ 우리나라 최초의 식품고전종합농서는 궁중어의이자 영농 온실을 세계 최초록 설계한 과학자 전순의(全循義)가 기록한 『산가요록(山家要錄,1449)』이다.
- ↑ 주역(周易)의 64괘 가운데 5번째 괘인 수천수(水天需)
- ↑ 주역‘서괘전(序卦傳)’에 ‘수(需)는 먹고 마시는 음식의 도(道)’라고 적혀있다. (전문: 蒙者蒙也 物之穉也 物穉不可不養也, 故 受之以需 需者 飮食之道也)
- ↑ 세조실록, 세조 6년(1460) 1월 18일
- ↑ 김광계(金光繼)의 매원일기(梅園日記)에 보면 동네의 여러 친족들과 탁청정(濯淸亭)에서 모여 술을 마시기로 했다고 되어있다.
- ↑ 침류정은 김유가 수리한 것으로 포함하지 않았다.
- ↑ 실제로 낙성연에 초대된 이황이 강 건너에서 정자의 모양을 보고는 ‘선비의 집이 너무 호사스럽다.’고 하여 오르기를 꺼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 ↑ 고추는 임진왜란 이후부터 사용되었다.
- ↑ 중국 조리서 『거가필용(居家必用)』에서 인용된 것도 있고, 당시에 널리 읽혔던 것으로 알려진 『식경(食經)』의 내용도 있다.
- ↑ 인조실록28권 인조11년 1월 9일
- ↑ 김령은 의리가 지켜지지 않는 세상과 담을 쌓고, 18년 동안 두문분출하였다. 보던 책들은 표지를 가려서 드나드는 사람들이 무슨 책인지 모르게 하고, 의롭지 않은 것은 겨자씨 하나라도 받지 않았다.
- ↑ 원서의 제목은『일록(日錄)』이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정혜경,"수운잡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영춘,"계암일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계암일록"
『디지털안동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운잡방"
『수운잡방』online , (사)수운잡방연구원. - "산가요록"
『음식고전:옛 책에서 한국 음식의 뿌리를 찾다』online , 현암사. - "16세기 선비가 쓴 조리책_수운잡방"
한국국학진흥원 공식 블로그online , 한국국학진흥원. - "탁청정에 대하여"
『스토리테마파크』online , 한국국학진흥원. - "수운잡방"
국가문화유산포털online , 문화재청. - "수운잡방 관련 기사"
조리서 <수운잡방> 쓴 김유·김령 online , 중앙시사매거진.
- 정혜경,"수운잡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