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23 민백 작업본 검토

my9univ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침 관련 사항

기타

  • 확인이 필요한 모든 사항(링크 오류, 사진 중복 등)은 해당 셀에 색 표시 후 note에 관련사항 기재
    • 중복된 사진의 경우, 뒷번호 사진의 caption은 중복된 사진의 caption과 동일하게 기재 후 (중복) 기재, note에 사진 중복 기재
      • 190190 (caption: 군산 문창서원)과 동일한 190193은 caption에 군산 문창서원(중복) 으로 기재, note에 사진중복 으로 기재
  • 반드시 작업하신 부분만 잘라서 보내주세요!
  • 오브젝트 정리 sheet에 반드시 모든 사항 기재
    • 서원 sheet와 향교 sheet의 C열(site) ~ E열(object2) 복사 후 오브젝트 정리 sheet에 붙여넣기
      -> 오브젝트 정리 sheet 전체 선택하여 데이터-중복된 항목 제거 클릭
      -> object1 옆에 열 삽입하여 한자 기재

object

  • 정면, 후면, 측면 등 사진 구도를 통칭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object에 기재 (-당, -문, -각, -루, 서재 현판 모두 object에 기재)
    • 밀양 덕연서원 쌍전당 현판: site-밀양_덕연서원 / object1-쌍전당 / object2-현판
  • 강릉 강릉향교 내삼문 후면: site-강릉_강릉향교 / object1- 내삼문

caption

  • 지역명과 학교 및 서원명이 겹쳐도 반드시 지역명 기재해주세요.
    • 영월 영월향교

논의가 필요한 사항

caption 통일성 관련

  • caption이 겹칠 경우 표기법: 1,2와 같은 숫자를 붙일 것인지, 어떻게 붙일 것인지
    • 군산 옥구향교 단군성묘 1, 군산 옥구향교 단군성묘 2 / 군산 옥구향교 대성전 정면(1), 군산 옥구향교 대성전 정면(2)
  • 전경 / 근경 / 원경: 원경이 없을 경우, 전경으로 통일할 것인지?
  • 뒷면(0) / 후면(61+40): 후면이 많음
  • 앞면(0) / 전면(28+26) / 정면(55+50): 정면이 많음
  • 우측(45+1) · 좌측(48+0) / 우측면(21+0) · 좌측면 (22+0) / 측면(72+52): 측면이 많음
    • 원본 파일에 좌우 미기재 시 좌우를 알기 어려우므로 측면으로 통일할 것인지? 아니면 파일명 및 민백에 나와있는대로 방향을 기재할지
    • 측면으로 기재 시, 다른 측면의 사진이면 측면 1, 측면 2로 기재할 것인지?

object

  • 안내판의 object 여부
    • 문화재 안내판 / 안내판, 종합안내판 중 무엇으로 통일할 것인지
  • 지붕이나 처마, 담장의 object 여부
    • 영월 순창향교 대성전 지붕, 원주향교 대성전 담장 밖, 강릉향교 대성전 처마
  • 여러가지로 쓰인 건물의 object 명칭
    • 강당으로 주로 쓰였으며, 가끔 사당으로도 쓰인 건물. (파일명이 강당일 경우 / 사당일 경우)
  • object가 여러개일 경우 표기법: object1에 , 로 구분할 것인지
  • 비석의 object : object에는 비석 이름을 쓸 것인지(+비석 이름을 모를 경우 비석으로 기재하면 되는지), 비석 혹은 비각이라고 기재할 것인지
    • 진주 청계서원 정교당 앞 비석: site-진주_청계서원 / object1-정교당 / object2-비석
  • 비석이 여러개인 경우 표시법: object1-비석군 / object2-비석명 기재
    • 강릉향교 금리민공성인비, 강릉향교 부사신공경진청덕불망비, 강릉향교 우복선생정공권학흥교비, 강릉향교 부사이공현중권학비
  • 문석인 / 문인석 / 석물: object에 석물로 기재할 것인지

기타

  • 기존 설명의 건물이름 오기재, site 오기재도 note에 기재할 것인지
  • 사진이 잘 안보이고 관련하여 민백에도 정확한 내용이 없는 경우: note에 ~으로 추측이라고 기재할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