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정기

my9univ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백정기(白貞基)
Por baekjeongki.jpg
대표명칭 백정기
한자표기 白貞基
생몰년 1896년-1934년
구파(鷗波)
시대 근대
대표직함 의사
대표경력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 한국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63)
능묘 효창공원
생가 구파 백정기의사 고택지(전라북도 기념물 제103호)
성격 독립운동가



정의

백정기(1896~1934)는 일제강점기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 한국대표를 역임한 독립운동가이다.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에서 조직적인 아나키스트 활동을 펼쳤다.


업적 요약

1931년 한국·중국·일본 아나키스트들과 함께 남화한인청년연맹을 결성하고 산하 행동대인 흑색공포단(B.T.P)을 편성하여 본격적인 무장투장에 나섰다. 1933년 상해 훙커우[虹口]에 있는 육삼정(六三亭)에서 일본주중대사 아리요시 아키라를 습격하고자 하였다.


나의 구국 일념은 첫째, 강도 일제(日帝)로부터 주권과 독립을 쟁취함이요. 둘째는 전세계 독재자를 타도하여 자유․평화 위에 세계 일가(一家)의 인류공존을 이룩함이니 왜적 거두의 몰살은 나에게 맡겨 주시오
— 백정기, 1933년 육삼정 의거에 나서기 전


생애


상세내용

독립운동 전개

1919년 서울에 올라와 3·1운동을 목격하고, 고향에 돌아가 동지를 규합해 일제와의 무장항쟁을 전개하였다. 8월에는 인천에 있는 일본군 시설물을 파괴하려다가 사전에 폭로되어 만주 봉천(奉天)으로 망명하였다.

독립운동의 군자금 조달을 위해 여러 차례 국내에 잠입해 활동하다가 1920년 서울 중부경찰서에 구속되기도 하였다.

노동자 운동 전개

1922년 일본의 탄압으로 북경으로 망명하여 중심으로 이회영(李會榮)·유자명(柳子明)·이을규(李乙奎)·정화암(鄭華巖)·신채호(申采浩) 등과 자주 접촉하며 독립운동을 계속하으며, 이회영·신채호의 영향으로 무정부주의에 빠져들게 되었다. 이들은 1923년 친일 부호의 친척인 고명복의 집에 잠입하여 귀금속 등을 빼내어 (일명 모아호동사건(帽兒胡同事件))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였다.

1924년 4월 독립운동을 체계화시킬 목적으로 정화암(鄭華岩)·이회영(李會榮)·이을규(李乙奎)·이정규(李正奎)·백정기(白貞基)·유자명(柳子明) 등이 조선무정보주의자연맹(朝鮮無政府主義者聯盟), 일명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을 조직하고, 기관지 『정의공보(正義公報)』를 창간, 보급하였다. 또한 일본 동경에 밀입국하여 하야가와[早川]수력공사장에 은신하며 수력공사장·주요건물 등을 폭파하기로 했으나 여의치 못해 북경으로 귀환하였으며, 상해로 가서 정화암 등과 함께 영국인이 경영하는 철공장에 들어가 폭탄 제조기술을 익히면서 노동문제에 관한 이해가 깊어졌다.

1925년 상해에서 5·30 총파업이 일어나자 중국인 무정부주의자인 화남연맹과 더불어 노동자운동을 전개하여 10여만 명 단위의 대노동자조합을 만들어 독립운동의 방편으로 이용할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1927년 복건성에서 민단편련처[民團編練處]라는 농민자위군을 조직하여 농촌의 자치조직을 통해 한중일 삼국동지 합작으로 일으켰다.

무정부주의 전개

1928년 일본상품 배격운동을 지도하고, 아시아 각국의 무정부주의자들이 모여 결성한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東方無政府主義者聯盟)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였고, 기관지 동방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30년 10월 정화암, 양여주, 장기준, 김지강, 우당 이회영의 여식인 이현숙, 이규숙 자매 등 한국무정부주의자연맹 15명과 함께 북만주로 가서 신안진과 산시 근처의 조선족 소학교에서 자유혁명자연맹(自由革命者聯盟)이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청장년 훈련과 동포 자녀교육 및 농사지도에 힘썼다.

흑색공포단 결성

1931년 9월 한국·중국·일본의 무정부주의자들이 모여 항일구국연맹(抗日救國聯盟)을 결성하고, 이회영·정화암과 함께 이들을 규합하여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을 결성하고 기관지 자유신문을 발행하여 항일투쟁을 선전 고취하였다. 그러던 중 11월 일본의 국경기관 및 수송기관의 파괴·일제 요인 사살·친일파 숙청 등을 목표로 ‘비티피(BTP)’라는 흑색공포단(黑色恐怖團)을 조직해 배일운동을 전개하였다. 흑생공포단은 1932년 일본육군과 군수물자를 싣고 천진항에 입항한 11,000톤급 일청선(日淸船)에 폭탄을 던져 선체일부를 파괴하고, 이여산과 함께 천진 일본 총영사관 관저에도 폭탄을 던졌다.

육삼정 의거

1933년 3월 상해 훙커우[虹口]에 있는 일본요정 육삼정(六三亭)에서 일본주중대사인 아리요시 아키라[有吉明]를 중심으로 일본정객 참모부원들을 위시한 친일중국정객과 군인 100여 명을 초대해 연회를 연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아나키스트 이강훈(李康勳)·원심창(元心昌)과 함께 습격하고자 하였으나, 일본 첩자의 밀고로 체포되었다.

고택지와 추모

백정기의 고택지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103호(구파 백정기의사 고택지)로 지정되어 있다.

백정기는 부안에서 태어나 1907년 이 곳(전라북도 정읍)으로 이주하여 1919년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망명할 때까지 12년동안 생활하였다고 한다.

그 후 일본 나가사키 법원[長崎法院]에서 무기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1934년 6월 5일 39세의 일기로 순국하였다. 광복 후 일본에서 유해를 송환받아 1946년 7월 6일 국민장으로 효창공원 삼의사 묘역에 안장하였으며,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시각자료

영상


갤러리

사진 설명
구파백정기의사고택지.jpg 백정기 고택지 (정읍관광, 정읍시)
효창 삼의사묘 백정기.jpg 효창공원 내 삼의사 묘역의 백정기 묘
백정기의사기념관.jpg 정읍 백정기의사 기념관의 구파기념관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 정읍시)


지식 관계망


노드

ID Class Label 비고
백정기 Actor 백정기(白貞基,1896~1934)
이회영 Actor 이회영(李會榮,1867~1932)
정화암 Actor 정화암(鄭華岩,1896~1981)
주중일본공사 Concept 주중일본공사
흑색공포단 Organization 흑색공포단(黑色恐怖團)
남화한인청년연맹 Organization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
항일구국연맹 Organization 항일구국연맹(抗日救國聯盟)
육삼정의거 Event 육삼정의거(1933)
아리요시_아키라 Concept 아리요시_아키라(有吉明)
백정기의사기념관 Place 백정기의사기념관
무정부주의자 Concept 무정부주의자
J35-0103-0000 Heritage (전라북도_기념물_제103호)_구파_백정기의사_고택지
구파_백정기의사_고택지 Place 구파_백정기의사_고택지
삼의사_묘역 Place 삼의사_묘역
서울_효창공원 Place 서울_효창공원
민단편련처 Organization 민단편련처(民團編練處)
화남연맹 Concept 화남연맹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 Organization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東方無政府主義者聯盟)
이강훈 Actor 이강훈(李康勳,1903~2003)
원심창 Actor 원심창(元心昌,1906~1973)
신채호 Actor 신채호(申采浩,1880~1936)
산동학원 Place 산동학원(山東學院)
대한매일신보 Object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이동녕 Actor 이동녕(李東寧,1869~1940)
조선혁명선언 Record 조선혁명선언(1923)
신민회 Organization 신민회(新民會)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정기 무정부주의자 type
항일구국연맹 백정기 member
흑색공포단 백정기 member
항일구국연맹 흑색공포단 hasPart
남화한인청년연맹 백정기 member
남화한인청년연맹 이회영 member
남화한인청년연맹 정화암 member
항일구국연맹 남화한인청년연맹 isRelatedTo
백정기의사기념관 백정기 isRelatedTo
아리요시_아키라 육삼정의거 isRelatedTo
아리요시_아키라 주중일본공사 servesAs
민단편련처 백정기 founder
화남연맹 백정기 isRelatedTo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 백정기 member
육삼정의거 백정기 participatesIn
육삼정의거 이강훈 participatesIn
육삼정의거 원심창 participatesIn
구파_백정기의사_고택지 백정기 isBirthPlaceOf
삼의사_묘역 백정기 isTombOf
구파_백정기의사_고택지 J35-0103-0000 DesignatedAs
삼의사_묘역 서울_효창공원 hasPart
남화한인청년연맹 원심창 member
남화한인청년연맹 이강훈 member
흑색공포단 원심창 member
흑색공포단 이강훈 member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 신채호 founder
신채호 산동학원 founder
신채호 대한매일신보 isRelatedTo
이동녕 대한매일신보 isRelatedTo
신민회 신채호 member
신채호 조선혁명선언 isRelatedTo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이현희, "백정기"『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백정기 의사 기념관" 『정읍시 문화관광』online, 정읍시.
    • 백정기" 『독립운동가』online, 국가보훈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