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감영과 경기도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경기감영의 구성)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경기감영의 구조(출처: [https://ggc.ggcf.kr/p/5bf30aa1d8bddc1b66f9af57 경기문화재연구원,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 2017]) | *경기감영의 구조(출처: [https://ggc.ggcf.kr/p/5bf30aa1d8bddc1b66f9af57 경기문화재연구원,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 2017]) | ||
[[File:경기감영위치도.jpeg|1000px]] | [[File:경기감영위치도.jpeg|1000px]] | ||
+ | |||
+ | ==돈의문 밖, 경기감영의 위치== | ||
+ | |||
+ | [[File:위성사진에 표현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jpeg]] | ||
+ | [[File:일제강점기_지적원도.jpeg]] | ||
+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2021년 8월 17일 (화) 00:00 판
개요
- 연구 목적:
- 조선 시대의 경기감영과 현재의 경기도청의 지리적 변화를 살펴보아, 공공기관의 역사를 알아본다.
- 경기감영의 건물들을 고증하여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살펴본다.
- 연구 내용 및 방법:
- 경기감영과 관련된 그림과 문헌들을 통하여 획득된 지리정보를 바탕으로 3D 지도로 표시하며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 조선시대 부터 현재까지 경기도 공공기관으로서의 각각의 정보와 위치 변화를 씨퀀스의 형태로 표현하다.
관련교과
- 초등 사회 6학년 1학기
- 01. 우리 나라의 정치 발전
- 3. 민주 정치의 원리와 국가 기관의 역할-정부에서 하는일
- 01. 우리 나라의 정치 발전
- 교육 주제: 정부에서 하는 일
- 성취 기준: [6사05-06]국회, 정부, 법원의 기능을 이해하고, 그것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탐구한다.
조선시대 경기감영의 설치와 이전 상황
내 용 | 시 기 | 위 치 |
---|---|---|
경기감영 설치 | 태종 2년(1402) | 수원 |
경기감영 이전 | 세종 연간 | 광주 |
경기감영 이전 | 세조 연간 한양 | 돈의문 밖 |
경기감영 중군영 이전 | 광해군 연간 | 영평도호부 |
경기감영 중건 | 인조 19년(1641) | 한양 돈의문 밖 |
경기감영 이전 | 고종 33년(1896) | 수원 화성 |
경기감영 이전 | 1910년 경성 | 광화문 앞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예시 |
경기감영의 구성
- 경기감영의 구조(출처: 경기문화재연구원,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 2017)
돈의문 밖, 경기감영의 위치
참고자료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한양도성 타임머신 2021 빅데이터 편찬연구 돈의문 권역
-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
- 옛 그림속의 경기도
- 영상으로 기록하는 경기감영, 경기도청
- 이선희. "조선후기 경기감영의 인원 구성과 시설 특징 ." 동양고전연구 73 (2018): 185-218.
- 李仙喜(Yi Sun-hui). "18세기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실태와 특징." 장서각 0.23 (2010): 89-115. 『畿營狀啓謄錄』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