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소장처정보 | | {{소장처정보 |
− | |사진= 전곡선사박물관.jpg | + | |사진= 전곡선사.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전곡선사박물관 |
| |대표명칭= 전곡선사박물관 | | |대표명칭= 전곡선사박물관 |
| |한자표기= 全谷先史博物館 | | |한자표기= 全谷先史博物館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 |
| == 정의 == | | == 정의 ==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8.011926" lon="127.062993" type="normal" zoom="12"
| + | 전곡선사박물관은 전곡리 선사 유적의 보존과 활용, 선사 문화와 인류의 진화과정에 대한 이해를 알리고자 개관하였다. |
−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8.011491, 127.063768,
| |
− | </googlemap>
| |
| | | |
− | 경기도 연천 전곡리유적은 국가 사적268호로 지정된 구석기유적이다. 1978년 한탄강변에서
| + | ===소장품 및 전시실 구성=== |
− | 주먹도끼가 처음 발견된 이듬해부터 시작된 발굴조사와 그 성과를 바탕으로 국가 사적268호로
| |
− | 지정되었다. 사적의 범위는 77,8296m2
| |
− | 으로 연천군의 주 시가지인 전곡읍 입구쪽 한탄강 일대가
| |
− | 상당수 유적인 셈이다. 덕분에 주택이나 상업 및 공업시설의 개발이 제한되어 자연경관 등이 잘
| |
− | 보존되고 있는 편이다. 여기에 유적의 장기적인 보전과 활용을 위해 2011년 4월 25일 박물관이
| |
− | 들어섰다.
| |
− | 전곡선사박물관은 전곡리유적의 동남부 및 그 주변부와 전곡리 사랑동인 176-4번지 일대의
| |
− | 약 77,058m2
| |
− | 의 땅에 건립되었다. 박물관의 설립이념은 ‘인류의 진화와 선사문화의 이해를 통한
| |
− | 인류 보편적 가치의 구현’이다. 이 이념을 실천하기 위한 운영목적은 크게 5가지로 나뉜다. 첫째
| |
− | 관람객에게 지속적인 흥미를 주기 위해 수준 높은 전시와 다양한 체험교육을 실시하고, 둘째 지역
| |
− | 사회의 개발에 공헌할 수 있는 창조 기관이 되며, 셋째 유적보호활동 및 소장품 관리의 효율적인
| |
− | 운영을 통해 문화유산을 후대에 온전히 전달할 것이며, 넷째 선사시대 전문박물관으로서 지속적
| |
− | 인 연구활동을 전개하며, 다섯째 유적을 중심으로 국내외 네트워크의 중심역할을 하는 것이다. <ref>김소영. "전곡선사박물관, 지역에서 살기"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VOL.- NO.40 (2016):182-200</ref>
| |
| | | |
− | == 내용 == | + | {|class="wikitable" |
− | * 시간여행 여권
| + | ||[[파일:가와지볍씨박물관.jpg|200px]] <br />'''가와지볍씨박물관''' |
− | 관람객에게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요소로 ‘시간여행 여권’과 ‘타임패스 카
| + | ||[[파일:박물관.jpg|200px]]<br />'''가와지볍씨박물관 전경''' |
− | 드’를 자체 제작하여 전시를 보조하고 있다. 이 같은 접근 방식은 현대인들에게
| + | ||[[파일:가외지볍씨.jpg|200px]]<br />'''가외지볍씨''' |
− | 익숙한 여권이라는 소재와 시간여행이라는 테마를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관람객으로 하
| + | ||[[파일:가와지볍씨캐릭터.jpg|150px]]<br />'''가와지볍씨 캐릭터''' |
− | 여금 박물관에 전시된 문화유산과 더욱 역동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하였다.
| + | |} |
− | 박물관에서 여권과 카드를 구매한 관람객은 여권 사진을 찍는 방식으로 자신의 얼굴
| + | [[https://artsandculture.google.com/exhibit/전곡선사박물관/swICUqGwlsp4Iw?hl=ko 구글앤아트]] |
− | 을 RFID 장치에 저장한다이를 가지고 인류의 진화 과정에 따라 구성된 총 4
| |
− | 개 구역의 전자장치에 카드기를 인식시키는 작업을 진행하며 전시를 관람하게 된다. 이
| |
− |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인류가 진화하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여기에 자신의 얼
| |
− | 굴을 입혀봄으로써 인류 진화 과정의 특징을 쉽게 체득하도록 하였다.또한 전시 동
| |
− | 선을 따라 인류의 진화 과정에 영향을 미친 자연환경과 특징을 담은 패널과 전시물을
| |
− | 함께 제시함으로써 관람객의 전시 이해를 돕고 있다.<ref>관람객의 창조적 접근을 위한 박물관 내⋅외부 장소성 확장과 현재적 맥락화, 임평섭&김미소,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0 (2016.6) 11</ref>
| |
| | | |
− | * 구석기 생활 체험 프로그램 '선사의 법칙 1박 2일 고고학캠프'
| + | [[http://www.ggcf.kr/archives/56909 이한용 관장님과 함께하는 전곡선사박물관 탐험]] |
− | 참가자들은 직접 주먹도끼를 만들어 고기나 가죽을 잘라보고(사진 7), 텐트를 설치하
| |
− | 면서 막집을 재현해볼 수 있다. 이러한 체험을 통해 자연스레 주먹도끼의 효용
| |
− | 성과 기능에 대해 습득하게 된다. 이는 설명으로만 제시하는 일방향적인 접근보다는 일
| |
− | 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도구와 구석기시대의 도구를 접목시킴으로써 문화유산에 대한 새
| |
− | 로운 가치와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저녁에는 야외에서 캠프파이어를 통해 고구마나
| |
− | 감자를 구워먹으며 가족들과 함께 야외활동을 함으로써, 구석기시대의 일상생활을 현대
| |
− | 인들의 캠핑과 연결시키고 있다
| |
− | 이 과정에서 구석기인들의 생활상을 직접 체험함은 물론, 여기서 그치지 않고 체험을
| |
− | 현재적으로 적용하고 재해석하려는 노력이 주목된다.<ref>관람객의 창조적 접근을 위한 박물관 내⋅외부 장소성 확장과 현재적 맥락화, 임평섭&김미소,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0 (2016.6) 11</ref>
| |
− | <gallery>
| |
− | 파일:캠프1.png|고고학캠프
| |
− | 파일:캠프2.png|고고학캠프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주먹도끼.png|고고학캠프
| |
− | </gallery>
| |
− | | |
− | * 모나코 국왕 알베르 2세 전곡선사박물관 방문(이한용 특별칼럼)
| |
− | <gallery>
| |
− | 파일:모1.png|
| |
− | 파일:모2.png|
| |
− | </gallery>
| |
− | | |
− | * VR ‘인류진화의 위대한 행진'
| |
− | ‘유물이 원래 있었던 선사시대(先史時代)에 스며 있는 과거의 상황 속’으로 들어가 스스
| |
− | 로 흥미를 느끼고 대상을 탐색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방향으로 진행하게 만들었다. 이
| |
− | 것은 또한 일방향식 디지털 영상 콘텐츠가 아닌 직접 관람자가 체험할 수 있는 능동적
| |
− | 실감체험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로 VR시나리오가 짜여졌고 거기에 맞는 VR제작이 이루
| |
− | 어지게 된 것이다.
| |
− | "인류의 진화, 그 거대한 행진(行進)"유물 파노라마를 대상으로 한 3D스캔 작업 실시하였는데, 전곡선사박물관이 보유하고 있는 총 10여점
| |
− | 의 선사인류(先史人類)중 대표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3D스캔 작업 실시하였다. 이 3D스캔
| |
− | 데이터를 바탕으로 3D MAYA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전환하여 인류 캐릭터를 제작하였다.<ref>
| |
− | 박진호, 김상헌 (2018). 경기도 전곡선사박물관 인류의 진화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글로벌문화콘
| |
− | 텐츠학회 학술대회, 155-158</ref>
| |
− | <gallery>
| |
− | 파일:VR 인류행진.png|
| |
− | </gallery>
| |
− | == 지식관계망 ==
| |
− | === 관계정보 ===
| |
− | == 시각자료 ==
| |
− | === 파노라마 ===
| |
− | === 갤러리 ===
| |
− | === 동영상 ===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a7wDc-wuuPI"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주석 ==
| |
− | == 참고문헌 ==
| |
− | <references/>전곡선사박물관, 지역에서 살기"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VOL.- NO.40 (2016):182-200
| |
− | <references/>관람객의 창조적 접근을 위한 박물관 내⋅외부 장소성 확장과 현재적 맥락화, 임평섭&김미소,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0 (2016.6) 11
| |
− | <references/>박진호, 김상헌 (2018). 경기도 전곡선사박물관 인류의 진화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글로벌문화콘
| |
− | 텐츠학회 학술대회, 155-158
| |
− | <references/>이한용, 특별칼럼, 모나코 국왕 알베르 2세 전곡선사박물관 방문 20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