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 |
+ | |||
+ | 문화 인프라 형성의 기반: 경기도 국•공립박물관 | ||
+ | * 기본적으로 박물관은 인류와 인류환경의 물적 증거를 연구, 교육, 향유할 목적으로 이를 수집, 보존, 조사연구, 상호교류하는 비영리 문화기관이다. 더불어 박물관의 소장품을 통해 지역 사회의 변화와 연속성을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은 박물관 건물이나 유적지 자체가 지역의 유형적 문화 자산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강한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박물관은 한 국가나 지역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핵심적 문화공간이다. | ||
+ | |||
+ | * 최근 박물관 | ||
+ | *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의 구심체 역할을 하는 경기도박물관을 중심으로 다수의 도내 공공박물관이 온라인상에서 구현할 수 있는 ‘소통과 융합의 전시’ 모델 연구. | ||
+ | * 여러 곳의 박물관 및 유적지에 분산되어 있는 개별 유물, 유적들을 특별한 주제 또는 사건, 인물을 중심으로 연결해서 살펴볼 수 있게 하는 메타아카이브의 예시 콘텐츠 개발. | ||
*‘도자 공예’를 주제로, 경기도 지역의 도요지 유적, 경기도 박물관 소장 도자 유물, 박물관의 도자 공예 체험 프로그램 등을 연계한 ‘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 | *‘도자 공예’를 주제로, 경기도 지역의 도요지 유적, 경기도 박물관 소장 도자 유물, 박물관의 도자 공예 체험 프로그램 등을 연계한 ‘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 | ||
+ | |||
+ | == | ||
==경기도 도자문화== | ==경기도 도자문화== | ||
− | |||
− | |||
− |
2020년 10월 2일 (금) 23:19 판
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
문화 인프라 형성의 기반: 경기도 국•공립박물관
- 기본적으로 박물관은 인류와 인류환경의 물적 증거를 연구, 교육, 향유할 목적으로 이를 수집, 보존, 조사연구, 상호교류하는 비영리 문화기관이다. 더불어 박물관의 소장품을 통해 지역 사회의 변화와 연속성을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은 박물관 건물이나 유적지 자체가 지역의 유형적 문화 자산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강한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박물관은 한 국가나 지역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핵심적 문화공간이다.
- 최근 박물관
-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의 구심체 역할을 하는 경기도박물관을 중심으로 다수의 도내 공공박물관이 온라인상에서 구현할 수 있는 ‘소통과 융합의 전시’ 모델 연구.
- 여러 곳의 박물관 및 유적지에 분산되어 있는 개별 유물, 유적들을 특별한 주제 또는 사건, 인물을 중심으로 연결해서 살펴볼 수 있게 하는 메타아카이브의 예시 콘텐츠 개발.
- ‘도자 공예’를 주제로, 경기도 지역의 도요지 유적, 경기도 박물관 소장 도자 유물, 박물관의 도자 공예 체험 프로그램 등을 연계한 ‘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