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사회 지역화 교과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etaArchive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6번째 줄: 6번째 줄:
 
*제작방법: 매년 말 각 시도교육청에서 관내 초등교사들이 모여 지역화 교과서를 제작. 사명감(?)으로.
 
*제작방법: 매년 말 각 시도교육청에서 관내 초등교사들이 모여 지역화 교과서를 제작. 사명감(?)으로.
  
*현황 및 문제점: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교재를 제작할 수는 있겠으나, 국정, 검인정에 비해 교재 연구 및 구성 편집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짐.
+
*현황 및 문제점: 여전히 서책형만 있음.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교재를 제작할 수는 있겠으나, 국정, 검인정에 비해 교재 연구 및 구성 편집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짐.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832 울산교육연구정보원 초등학교 3, 4학년 지역화 교재 개발]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832 울산교육연구정보원 초등학교 3, 4학년 지역화 교재 개발]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54069 전북 초3 지역 사회 교과서, 우리말 쓰기 오류 '수두룩']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54069 전북 초3 지역 사회 교과서, 우리말 쓰기 오류 '수두룩']  

2021년 4월 21일 (수) 11:20 판

개요

  • 정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과 수업을 위해 만든 지역 맞춤 보조교재
  1. 국정교과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지역의 자원과 소재를 활용하는 것으로, 지역 정체성을 형성하거나 향토애 제고를 목적으로 한 사회과 보조 교재다.
  2. 이를 위해 매년 각각의 시도교육청에서 지역화 교과서의 수정·보완을 하고 있다.
  • 제작방법: 매년 말 각 시도교육청에서 관내 초등교사들이 모여 지역화 교과서를 제작. 사명감(?)으로.
  • 현황 및 문제점: 여전히 서책형만 있음.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교재를 제작할 수는 있겠으나, 국정, 검인정에 비해 교재 연구 및 구성 편집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짐.
  1. 울산교육연구정보원 초등학교 3, 4학년 지역화 교재 개발
  2. 전북 초3 지역 사회 교과서, 우리말 쓰기 오류 '수두룩'
  3. 화성오산교육지원청, 초등학교 3학년 지역화 교재 ‘우리 고장 화성’, ‘우리 고장 오산’ 개발
  • 대안: 경기도 박물관의 메타아카이브를 통하여, 경기도 각각 시도교육청의 지역화 교과서의 내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업교재를 전문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