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76번째 줄: | 76번째 줄: | ||
==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 지식 관계망== | ==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 지식 관계망== | ||
− | {{NetworkGraph | title= | + | {{NetworkGraph | title=도자_공예_메타_아카이브_지식_관계망.lst}} |
2020년 10월 20일 (화) 10:27 판
경기도 국•공립박물관 문화 인프라 형성의 기반
- 기본적으로 박물관은 인류와 인류환경의 물적 증거를 연구, 교육, 향유 목적으로 이를 수집•보존•조사연구•상호교류하는 비영리 문화기관이다. 더불어 박물관의 소장품을 통해 지역 사회의 변화와 연속성을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은 박물관 건물이나 유적지 자체가 지역의 유형적 문화 자산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강한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박물관은 한 국가나 지역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핵심적 문화공간이다.
- 경기도박물관은 1996년 개관 이후, 경기문화의 역사•문화상의 특성을 알리고자 '경기도박물관 사회교육 프로그램'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 활동들을 통하여 경기도 지역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문화공간인 동시에 경기도 지역 공공박물관의 구심체 역할을 하고 있다.
- 최근 박물관들은 관람객의 박물관 소장품 감상에 초점을 맞춘 '관람객 중심 박물관'을 넘어 박물관과 관람객의 관계에 지역사회가 추가된, 지역 연계, '지역 참여적 박물관 프로그램'에 집중하고 있다. 이것은 문화•예술적으로 관람객을 문화의 소비자에서 참여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흐름 속에서 박물관 본래의 기능이 확장,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여러 곳의 박물관 및 유적지에 분산되어 있는 개별 유물, 유적들을 특별한 주제 또는 사건, 인물을 중심으로 연결해서 살펴볼 수 있게 하는 메타아카이브 구축은 관람객들에게 경기도 소재 유적과 문화재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 전달뿐만 아니라 경기도 국•공립박물관들의 다양한 지역 참여적 박물관 프로그램을 알리고 관람객들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
- 경기도는 위치적으로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한반도의 남북에서 도성으로 통하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경기도의 지리적인 위치는 다양한 문물과 문화가 교류되어 다른 어떤 지역보다 빠른 변화를 초래하였다.
- ‘도자 공예’는 과거부터 현대까지의 경기도를 살펴볼 수 있는 주제이다.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지역의 도요지 유적, 경기도 박물관 소장 도자 유물, 박물관의 도자 공예 체험 프로그램 등을 연계한 ‘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 는 '지역 참여적 박물관'을 구축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에 자료가 될 수 있다.
경기도 도자문화 실생활 속에서 사용되었던 도자기는 그 형태와 문양에서 그 시대 사람들의 미의식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사회적 변화를 그대로 보여주는 물질자료가 된다. 특히 경기도는 수 세기에 걸쳐 조선시대의 왕실자기를 제작하던 가마가 있었던 지역으로 왕조의 안정기와 혼란기에 따른 시대적 흐름을 도자기를 통해서 보여준다.
경기도 광주지역의 왕실 가마터 사옹원은 진상품과 식사를 담당하던 조선시대 중앙관청으로 사옹방에서 사옹원으로 승격되는 동시에 왕실 자기를 제작하는 가마도 관리하게 되었다. 사옹원과 관련된 문헌기록을 통하여 15세기부터 경기도에서는 질 좋은 백자를 생산하였으며, 왕실 그릇을 제작하던 가마 활동이 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옹원 관련 | 사이트 및 문헌자료 |
---|---|
사옹원의 정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옹원의 소속관직과 역할 | [경국대전] |
사옹원에 소속된 사기공 380명 | [경국대전] |
실록에서 보는 조선시대의 백자 | 해당 문헌자료 |
---|---|
15세기부터 활발했던 경기도 광주 지역의 가마운영 상황 | [세종실록 지리지] |
명나라 진상용 백자를 경기도 광주에서 진상하도록 명함 | [세종실록(1425년)] |
진상용 자기로 백자를 지정하며 그 생산과 판매를 통제함 | [세조실록(1466년)] |
사옹방에서 사옹원으로 승격 그리고 제반업무 전담시킴 | [세조실록(1467년)] |
도자공예메타아카이브
1. 초보적인 형태의 구상물
no | 박물관_유물명 | 박물관_유물명 | 관련 기록 | 관련 유적지 | 관계 |
---|---|---|---|---|---|
1 | 회암사지_회지석 |
경기도_백자청화지석 |
- | - | 기존 묘지석과 백자묘지명 |
2 | 경기도자_정경부인최씨 묘지편 |
경기도_묘지도 |
- | - | 가마터출토 묘지편/집안 묘의 위치를 그린 그림지도 |
3 | 경기도자_정경부인최씨 묘지편 |
수원화성_해평윤씨묘지석 |
- | 우산리가마터(15-16c) | 가마터 출토 묘지편/완전한 형태의 묘지명 |
4 | 경기도자_정경부인최씨 묘지편 |
경기도_이복원백자지석 |
- | 우산리가마터(15-16c) | 가마터 출토 묘지편/완전한 형태의 묘지명 |
5 | 경기도자_묘지편 |
경기도_백자묘지석 및 합 |
- | - | 가마터 출토 묘지편/실제봉안형태 |
6 | 경기도_백자청화대접형묘지 |
화성시역사_백자대접 |
- | - | 다양햔형태의백자묘지명 |
7 | 경기도_백자청화대접형묘지 |
경기도_백자철화이형손묘지 |
- | - | 다양햔형태의백자묘지명 |
8 | 경기도_백자호 |
과천추사_기명절지쌍폭 |
- | - | 백자호/회화에 나타난 저장용기로서의 백자호 |
9 | 경기도_백자호 |
현대미술(과천)_김환기<달항아리> |
- | - | 달항아리/현대회화작품에서의 백자호(달항아리) |
10 | 여주_책가도8폭병풍 |
용인시_청화백자국화문병 |
- | - | 백자/회화에 나타난 백자 |
11 | 여주_책가도8폭병풍 |
경기도_백자청화용문항아리 |
- | - | 백자/회화에 나타난 백자 |
12 | 경기도_백자마상배 |
회암사지_백자마상배 |
- | - | 백자마상배/유적지발견 백자마상배 |
13 | 경기도_백자마상배 |
수원시_이덕해 묘 부장품 |
- | - | 백자명기/실제 묘에서 발견된 백자명기 |
14 | 경기도자_신대리백자명기 |
수원시_이덕해 묘 부장품 |
- | - | 백자명기/실제 묘에서 발견된 백자명기 |
15 | - | - | [세종실록 지리지] | 가마터출토백자/문헌기록 |
2. 온톨로지 설계
도자 공예 메타 아카이브 지식 관계망
데이터 구축 현황
no | Main Class | Sub Class | Description | Examples |
---|---|---|---|---|
1 | Object | 소장품 | 기관 소장 문화재 | 정경부인최씨묘지편 |
2 | Place | 유적지 | 소장품 출토지 | 우산리가마터 |
3 | Place | 소장처 | 박물관/미술관/기념관/전시관 | 경기도자박물관 |
4 | Text | 문헌자료 | 고문헌 또는 텍스트 위주의 기사 | 세종실록 지리지 |
5 | Actor | 작가 | 소장품 제작자 | 김환기 |
6 | WebResource | WebResource | 월드와이드웹상의 연계자원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기도메모리 |
no | NameSpace | Relaction | Examples |
---|---|---|---|
1 | A edm:currentLocation B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백자음각정경부인최씨묘지편-경기도자박물관 |
2 | A hasSonInLaw B | 장모-사위 | 정경부인최씨-신용개 |
3 | A hasWife B (=isHusbandOf) | 처 | 정경부인최씨-의정부좌찬성 박건 |
4 | A sameAs B | 동일 또는 유사관계 | 도마리 출토 "천,지,현,황" 백자편-회암사지 출토 "천,지,현,황" 백자편 |
5 | - | A는 B에서 출토되었다. | 백자음각정경부인최씨묘지편-우산리 |
6 | A는 B에 기록되었다 | 백자음각정경부인최씨묘지편-이락정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