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감영과 경기도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rean2002 (토론 | 기여) (ghgh) |
(→시멘틱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3번째 줄: | 113번째 줄: | ||
==시멘틱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 ==시멘틱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96%" height="740px" src=" | + | <iframe width="96%" height="740px" src=" https://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graph/gamyong.htm"></iframe> |
− |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 | + |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graph/gamyong.htm'"> |
</html> | </html>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96%" height="740px" src=" | + | <iframe width="96%" height="740px" src=" 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2.py?db=s_phj&project=gggyoung&account=guest&pwd=guest&key=%EA%B2%BD%EA%B8%B0%EA%B0%90%EC%98%81"></iframe> |
− |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 | + |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2.py?db=s_phj&project=gggyoung&account=guest&pwd=guest&key=%EA%B2%BD%EA%B8%B0%EA%B0%90%EC%98%81'"> |
</html> | </html> | ||
2024년 7월 16일 (화) 23:12 기준 최신판
목차
개요
- 연구 목적:
- 조선 시대의 경기감영과 현재의 경기도청의 지리적 변화를 살펴보아, 공공기관의 역사를 알아본다.
- 경기감영의 건물들을 고증하여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살펴본다.
- 연구 내용 및 방법:
- 경기감영과 관련된 그림과 문헌들을 통하여 획득된 지리정보를 바탕으로 3D 지도로 표시하며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 조선시대 부터 현재까지 경기도 공공기관으로서의 각각의 정보와 위치 변화를 시퀀스의 형태로 표현하다.
관련교과
- 초등 사회 6학년 1학기
- 01. 우리 나라의 정치 발전
- 3. 민주 정치의 원리와 국가 기관의 역할-정부에서 하는일
- 01. 우리 나라의 정치 발전
- 교육 주제: 정부에서 하는 일
- 성취 기준: [6사05-06]국회, 정부, 법원의 기능을 이해하고, 그것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탐구한다.
조선시대 경기감영의 설치와 이전 상황
내 용 | 시 기 | 위 치 |
---|---|---|
경기감영 설치 | 태종 2년(1402) | 수원 |
경기감영 이전 | 세종 연간 | 광주 |
경기감영 이전 | 세조 연간 한양 | 돈의문 밖 |
경기감영 중군영 이전 | 광해군 연간 | 영평도호부 |
경기감영 중건 | 인조 19년(1641) | 한양 돈의문 밖 |
경기감영 이전 | 고종 33년(1896) | 수원 화성 |
경기감영 이전 | 1910년 경성 | 광화문 앞 |
경기도청 이전 | 1967년 6월 | 수원 |
경기감영도
- 개요:19세기 초반 경기감영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고지도. 보물 제1394호. 12폭 화면 위에는 백악산·인왕산·북악산·삼각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고, 그 아래 경기감영을 중심으로 서대문 밖의 풍경과 생활상이 묘사되어 있다.
경기감영도
(그림 출처: 위키백과)
경기감영의 구조
번호 | 감영 건물명 | 쓰임 |
---|---|---|
1 | 선화당(宣化堂) | 감영 정청(政廳) |
2 | 관풍각(觀楓閣) | 관찰사 집문소 |
3 | 내아(內衙) | 감사의 처소 |
4 | 도사청(都事廳) | 도사(都事) 집무소 |
5 | 영리청(營吏廳) | 영리(營吏) 공간 |
6 | 신당(神堂) | 제례 공간 |
7 | 사우(祠宇) | 관찰사 선조 위패 봉안 공간 |
8 | 포정문(布政門) | 감영 정문 |
(출처: 경기도박물관, 2010년경기문화기획전-경기관찰사, 2010)
3D 모형도
(출처: 문화콘텐츠닷컴)
도면
경기감영의 위치
- 경기감영 권역 위치(출처: 경기문화재연구원,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 2017)
일제강점기 지적원도에 표시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 | 위성사진에 표시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 |
- 3D complex
- 경기감영관련 위치좌표
- 경기감영터 : 37.56638919442016, 126.96686818487599
- 경기중군영: 37.56855517925412, 126.96234354738984
- 영은문(독립문): 37.5724020087587, 126.95955285654095
- 돈의문: 37.568318003005004, 126.96913899392375
시멘틱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참고자료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한양도성 타임머신 2021 빅데이터 편찬연구 돈의문 권역
-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
- 옛 그림속의 경기도
- 영상으로 기록하는 경기감영, 경기도청
- 이선희. "조선후기 경기감영의 인원 구성과 시설 특징 ." 동양고전연구 73 (2018): 185-218.
- 李仙喜(Yi Sun-hui). "18세기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실태와 특징." 장서각 0.23 (2010): 89-115. 『畿營狀啓謄錄』을 중심으로.
- (재)역사건축기술연구소,「경기도청 청사 역사문화자원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서」,경기문화재단,2016.10.28
- 경기문화재단,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2017
- 김용기, 최종희, 이창환, 「조선시대 감영의 입지와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17, no.2 (1999): 1-12.
- 최영철,「朝鮮時代 監營의 職制와 建築的 構成의 相關性에 관한 硏究」, 홍익대학교, 1994.
- 최영철, 박언곤, 「조선후기 감영시설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대한건축학회 논문집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0권 제4호 1994.0483 - 89(8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