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감영과 경기도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etaArchive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돈의문 밖, 경기감영의 위치)
(시멘틱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연구 내용 및 방법:  
 
*연구 내용 및 방법:  
 
**경기감영과 관련된 그림과 문헌들을 통하여 획득된 지리정보를 바탕으로 3D 지도로 표시하며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경기감영과 관련된 그림과 문헌들을 통하여 획득된 지리정보를 바탕으로 3D 지도로 표시하며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조선시대 부터 현재까지 경기도 공공기관으로서의 각각의 정보와 위치 변화를 씨퀀스의 형태로 표현하다.
+
**조선시대 부터 현재까지 경기도 공공기관으로서의 각각의 정보와 위치 변화를 시퀀스의 형태로 표현하다.
  
 
==관련교과==
 
==관련교과==
39번째 줄: 39번째 줄:
 
*개요:19세기 초반 경기감영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고지도. 보물 제1394호. 12폭 화면 위에는 백악산·인왕산·북악산·삼각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고, 그 아래 경기감영을 중심으로 서대문 밖의 풍경과 생활상이 묘사되어 있다.
 
*개요:19세기 초반 경기감영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고지도. 보물 제1394호. 12폭 화면 위에는 백악산·인왕산·북악산·삼각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고, 그 아래 경기감영을 중심으로 서대문 밖의 풍경과 생활상이 묘사되어 있다.
  
===경기감영도(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경기감영도 위키백과])===
+
===경기감영도===
 
[[File:Gyeonggi-gamyeong-do.jpg|1000px]]
 
[[File:Gyeonggi-gamyeong-do.jpg|1000px]]
 +
<br/>(그림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경기감영도 위키백과])
  
 
===경기감영의 구조===
 
===경기감영의 구조===
64번째 줄: 65번째 줄:
 
| 8 || 포정문(布政門) || 감영 정문
 
| 8 || 포정문(布政門) || 감영 정문
 
|}
 
|}
 +
(출처: 경기도박물관, 2010년경기문화기획전-경기관찰사, 2010)
  
 
+
===3D 모형도===
===돈의문 밖, 3d 모형도===
 
 
(출처: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0&cp_code=cp0223&index_id=cp02230112&content_id=cp022301120001&search_left_menu=6 문화콘텐츠닷컴])  
 
(출처: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0&cp_code=cp0223&index_id=cp02230112&content_id=cp022301120001&search_left_menu=6 문화콘텐츠닷컴])  
 
<gallery>
 
<gallery>
82번째 줄: 83번째 줄:
 
</gallery>
 
</gallery>
  
===돈의문 밖, 도면===
+
===도면===
 
<gallery>
 
<gallery>
 
File:도면_미전(米廛)복원.jpg|미전(米廛)복원
 
File:도면_미전(米廛)복원.jpg|미전(米廛)복원
90번째 줄: 91번째 줄:
 
</gallery>
 
</gallery>
  
===돈의문 밖, 경기감영의 위치===
+
===경기감영의 위치===
*경기감영터: 37.56638919442016, 126.96686818487599
+
*경기감영 권역 위치(출처: [https://ggc.ggcf.kr/p/5bf9ae88fb94a32d13933923 경기문화재연구원,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 2017])
*경기중군영:37.56855517925412, 126.96234354738984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width:90%"
*영은문(독립문);37.5724020087587, 126.95955285654095
+
| [[File:일제강점기_지적원도.jpeg|500px]]||[[File:위성사진에 표현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jpeg|500px]]
*돈의문: 37.568318003005004, 126.96913899392375
+
|-
 +
| 일제강점기 지적원도에 표시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 ||위성사진에 표시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
 +
|-
 +
|}
 +
*3D complex
 
<html>
 
<html>
 
<iframe width="96%" height="740px" src=" 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complex/complex_kgm.htm"></iframe>
 
<iframe width="96%" height="740px" src=" 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complex/complex_kgm.htm"></iframe>
100번째 줄: 105번째 줄:
 
</html>
 
</html>
  
*경기감영 권역 위치(출처: [https://ggc.ggcf.kr/p/5bf9ae88fb94a32d13933923 경기문화재연구원,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 2017])
+
*경기감영관련 위치좌표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width:90%"
+
#경기감영터 : 37.56638919442016, 126.96686818487599
| [[File:위성사진에 표현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jpeg|400px]]||[[File:일제강점기_지적원도.jpeg|400px]]
+
#경기중군영: 37.56855517925412, 126.96234354738984
|-
+
#영은문(독립문): 37.5724020087587, 126.95955285654095
| 위성사진에 표시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 ||일제강점기 지적원도에 표시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
+
#돈의문: 37.568318003005004, 126.96913899392375
|-
+
 
|}
+
==시멘틱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
<html>
 +
<iframe width="96%" height="740px" src=" https://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graph/gamyong.htm"></iframe>
 +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graph/gamyong.htm'">
 +
</html>
 +
 
 +
<html>
 +
<iframe width="96%" height="740px" src=" 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2.py?db=s_phj&project=gggyoung&account=guest&pwd=guest&key=%EA%B2%BD%EA%B8%B0%EA%B0%90%EC%98%81"></iframe>
 +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2.py?db=s_phj&project=gggyoung&account=guest&pwd=guest&key=%EA%B2%BD%EA%B8%B0%EA%B0%90%EC%98%81'">
 +
</html>
  
 
==참고자료==
 
==참고자료==
117번째 줄: 131번째 줄:
 
*[https://memory.library.kr/files/original/42fa3c1877b3031082cb318bffa2defe.pdf (재)역사건축기술연구소,「경기도청 청사 역사문화자원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서」,경기문화재단,2016.10.28]
 
*[https://memory.library.kr/files/original/42fa3c1877b3031082cb318bffa2defe.pdf (재)역사건축기술연구소,「경기도청 청사 역사문화자원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서」,경기문화재단,2016.10.28]
 
*[https://memory.library.kr/files/original/28b130c567845856d2b135608c506e47.pdf 경기문화재단,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2017]
 
*[https://memory.library.kr/files/original/28b130c567845856d2b135608c506e47.pdf 경기문화재단,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경기도청,2017]
 +
*김용기, 최종희, 이창환, 「조선시대 감영의 입지와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17, no.2 (1999): 1-12.
 +
*최영철,「朝鮮時代 監營의 職制와 建築的 構成의 相關性에 관한 硏究」, 홍익대학교, 1994. 
 +
*최영철, 박언곤, 「조선후기 감영시설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대한건축학회 논문집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0권 제4호 1994.0483 - 89(8 pages)

2024년 7월 16일 (화) 23:12 기준 최신판

개요

  • 연구 목적:
    • 조선 시대의 경기감영과 현재의 경기도청의 지리적 변화를 살펴보아, 공공기관의 역사를 알아본다.
    • 경기감영의 건물들을 고증하여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살펴본다.
  • 연구 내용 및 방법:
    • 경기감영과 관련된 그림과 문헌들을 통하여 획득된 지리정보를 바탕으로 3D 지도로 표시하며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 조선시대 부터 현재까지 경기도 공공기관으로서의 각각의 정보와 위치 변화를 시퀀스의 형태로 표현하다.

관련교과

  • 초등 사회 6학년 1학기
    • 01. 우리 나라의 정치 발전
      • 3. 민주 정치의 원리와 국가 기관의 역할-정부에서 하는일
  • 교육 주제: 정부에서 하는 일
  • 성취 기준: [6사05-06]국회, 정부, 법원의 기능을 이해하고, 그것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탐구한다.

조선시대 경기감영의 설치와 이전 상황

내 용 시 기 위 치
경기감영 설치 태종 2년(1402) 수원
경기감영 이전 세종 연간 광주
경기감영 이전 세조 연간 한양 돈의문 밖
경기감영 중군영 이전 광해군 연간 영평도호부
경기감영 중건 인조 19년(1641) 한양 돈의문 밖
경기감영 이전 고종 33년(1896) 수원 화성
경기감영 이전 1910년 경성 광화문 앞
경기도청 이전 1967년 6월 수원

경기감영도

  • 개요:19세기 초반 경기감영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고지도. 보물 제1394호. 12폭 화면 위에는 백악산·인왕산·북악산·삼각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고, 그 아래 경기감영을 중심으로 서대문 밖의 풍경과 생활상이 묘사되어 있다.

경기감영도

Gyeonggi-gamyeong-do.jpg
(그림 출처: 위키백과)

경기감영의 구조

경기감영구조.jpeg
번호 감영 건물명 쓰임
1 선화당(宣化堂) 감영 정청(政廳)
2 관풍각(觀楓閣) 관찰사 집문소
3 내아(內衙) 감사의 처소
4 도사청(都事廳) 도사(都事) 집무소
5 영리청(營吏廳) 영리(營吏) 공간
6 신당(神堂) 제례 공간
7 사우(祠宇) 관찰사 선조 위패 봉안 공간
8 포정문(布政門) 감영 정문

(출처: 경기도박물관, 2010년경기문화기획전-경기관찰사, 2010)

3D 모형도

(출처: 문화콘텐츠닷컴)

도면

경기감영의 위치

일제강점기 지적원도.jpeg 위성사진에 표현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jpeg
일제강점기 지적원도에 표시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 위성사진에 표시한 경기감영 권역 위치
  • 3D complex


  • 경기감영관련 위치좌표
  1. 경기감영터 : 37.56638919442016, 126.96686818487599
  2. 경기중군영: 37.56855517925412, 126.96234354738984
  3. 영은문(독립문): 37.5724020087587, 126.95955285654095
  4. 돈의문: 37.568318003005004, 126.96913899392375

시멘틱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