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관찰사의 역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etaArchive
이동: 둘러보기, 검색
(Semantic Network Graph)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연구 목적: 2010년 경기문화 기획전 《경기관찰사》를 바탕으로  1년 동안의 경기관찰사의 역할을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경기관찰사의 역할을 문헌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과거와 현재의 국가 기관의 역할을 비교하여 알 수 있다.   
+
*연구 목적
 +
**2010년 경기문화 기획전 《경기관찰사》를 바탕으로  1년 동안의 경기관찰사의 역할을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경기관찰사의 역할을 문헌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과거와 현재의 국가 기관의 역할을 비교하여 알 수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연구 내용 및 방법:
 
**조선 시대의 경기관찰사의 1년 동안의 일을 ⟨기영장계등록⟩을 바탕으로 타임라인으로 정리하여 경기도 최고 지도자로써의 역할을 시기별로 보여준다.
 
**조선 시대의 경기관찰사의 1년 동안의 일을 ⟨기영장계등록⟩을 바탕으로 타임라인으로 정리하여 경기도 최고 지도자로써의 역할을 시기별로 보여준다.
 
**조선 시대와 현대의 경기도 최고 지도자의 역할을 비교하여 본다.  
 
**조선 시대와 현대의 경기도 최고 지도자의 역할을 비교하여 본다.  
 
*관련교과
 
*관련교과
**초등 사회 4학년 1학기
+
**초등 사회 4학년 1학기, 02. 우리가 알아보는 지역의 역사, 3. 지역의 공공 기관과 주민 참여, 주제: 공공 기관의 종류와 역할
*** 02. 우리가 알아보는 지역의 역사
 
**** 3. 지역의 공공 기관과 주민 참여
 
**교육 주제: 공공 기관의 종류와 역할
 
 
**성취 기준: [4사03-05] 우리 지역에 있는 공공 기관의 종류와 역할을 조사하고, 공공 기관이 지역 주민들의 생활에 주는 도움을 탐색한다.
 
**성취 기준: [4사03-05] 우리 지역에 있는 공공 기관의 종류와 역할을 조사하고, 공공 기관이 지역 주민들의 생활에 주는 도움을 탐색한다.
  
==연간 업무력<ref>이선희, 조선 후기 경기관찰사의 일상과 업무, 경기관찰사 도록. 경기도박물관, 2010</ref>==
+
==경기 관찰사의 업무<ref>이선희, 조선 후기 경기관찰사의 일상과 업무, 경기관찰사 도록. 경기도박물관, 2010</ref>==
 +
*관찰사는 관할 도나 군현을 통치하는 각 단위별 최고 통치자로 행정을 비롯하여 사법, 군사, 치안, 경제, 교육 등 통치에 해당하는 전 분야를 관장.
 +
*아래 표와 같이 시기에 따라 집중되는 업무와 수시로 처리해야하는 일반 업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 class="wikitable"
 +
|-
 +
! 업무 !! 내용
 +
|-
 +
|시기별 업무|| 농사(2~7월까지 집중), 진휼(1~4월 집중, 대상자 선별은 12월), 환곡(3월 전후), 조세(3월초까지 완료, 8,9월에는 조세액 확정), 포폄(6,12월)
 +
|-
 +
| 일반 업무 ||사법, 인사관리, 능관리, 향교, 지역 상황 보고 등
 +
|}
  
 
*경기 관찰사의 업무 총괄표  
 
*경기 관찰사의 업무 총괄표  
35번째 줄: 43번째 줄:
 
|}
 
|}
  
===1월~2월===
+
*기영장계등록: 조선 1783~1784년
 +
<gallery>
 +
File:기영장계등록.jpeg|기영장계등록
 +
File:기영장계등록정조7년6월29일.jpeg|기영장계등록정조7년6월29일
 +
</gallery>
 +
 
 +
*기영장계등록의 업무 내용별 월별 수효
 +
[[File:기영장계등록업무내용별월별수효.jpeg|900px]]
 +
 
 +
===시기별 업무<ref>이선희, 조선 후기 경기관찰사의 일상과 업무, 경기관찰사 도록. 경기도박물관, 2010</ref>===
 +
====1월~2월====
 
*진하와 권농, 진휼
 
*진하와 권농, 진휼
 
*정조, 동지(12월), 성절 등의 시기에 맞춰 왕에게 전문 올리기. 전문은 사륙체로 네 글자와 여섯 글자를 기본으로 하여 대구법을 쓰는 문장체.
 
*정조, 동지(12월), 성절 등의 시기에 맞춰 왕에게 전문 올리기. 전문은 사륙체로 네 글자와 여섯 글자를 기본으로 하여 대구법을 쓰는 문장체.
41번째 줄: 59번째 줄:
 
*굶주린 백성을 위한 진휼업무시작. 버려진 아이에 대한 구휼도 진행(1784년 1월~5월)
 
*굶주린 백성을 위한 진휼업무시작. 버려진 아이에 대한 구휼도 진행(1784년 1월~5월)
  
===3~5월===
+
*경기관초: 1866년(고종 23년)부터 1895년까지 의정부에서 경기감영 및 경기도 내 지방관에게 내린 관문으로 간략하고 긴급한 보고서를 모은 것.
 +
<gallery>
 +
File:경기관초1.jpg|경기관초
 +
File:경기관초2.jpeg|경기관초
 +
</gallery>
 +
 
 +
====3~5월====
 
*조세 상납 마지막 시한일(경기도의 경우 3월 10일)
 
*조세 상납 마지막 시한일(경기도의 경우 3월 10일)
 
*진휼업무 계속
 
*진휼업무 계속
 
*순행 시작. 각 군현별로 직접 살핌.  
 
*순행 시작. 각 군현별로 직접 살핌.  
 
*농사 시작, 측우기로 우량 계측 및 중앙에 보고
 
*농사 시작, 측우기로 우량 계측 및 중앙에 보고
 +
<gallery>
 +
금영측우기.jpeg|금영측우기<ref>금영은 충청도 감영을 뜻함.문화재청 출처</ref>
 +
농서.jpeg|농서<ref>이재학 경기관찰사 재임 때 올린 농업 진흥대책</ref>
 +
경기각읍정미조원환곡총수.jpeg|경기각읍정미조원환곡총수<ref>1788년(정조12년)에 경기감영에서 작성한 도내 각 읍의 작년도 원환곡 총수를 책으로 만든 것</ref>
 +
경기각읍신정사례.jpeg|경기각읍신정사례<ref>1894년(고종 31년) 경기도 내 36개 읍진의 신정사례를 모아 엮은 책으로 지방재정의 지표 역할을 함</ref>
 +
</gallery>
  
===6월===
+
====6월====
 
*포폄(褒貶)
 
*포폄(褒貶)
**관찰사가 관할 도내 지방관의 6개월 간의 업무 성적에 다라 등급을 나누어 성적을 평가하던 제도
+
**관찰사가 관할 도내 지방관의 6개월 간의 업무 성적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성적을 평가하던 제도.
 
**법전에 정한 포폄일은 6월 15일, 12월 15일.
 
**법전에 정한 포폄일은 6월 15일, 12월 15일.
**도사 1, 중군 1, 검율 1, 부윤 1, 목사 3, 부사 9,군수 8, 현령 4, 현감 11, 첨사 1, 찰방 6, 발장 7 등 총 53명에 대한 포폄등제를 경기관찰사가 작성
+
**도사 1, 중군 1, 검율 1, 부윤 1, 목사 3, 부사 9,군수 8, 현령 4, 현감 11, 첨사 1, 찰방 6, 발장 7 등 총 53명에 대한 포폄등제를 경기관찰사가 작성.
 +
*경기도병마절도사장계: 경기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김명진(金明鎭:1840~?)이 고종 23년 가을. 겨울. 도내 각 진영의 여수(旅帥)와 대정(隊正)의 근무성적 평가에 대해 올린 장계.
 +
<gallery>
 +
경기도병마절도사장계.jpeg|경기도병마절도사장계
 +
경기도병마절도사장계1.jpg|경기도병마절도사장계
 +
</gallery>
  
===7~11월===
+
*경기도포폄등제: 조선 1824년(순조 24년), 경기관찰사 박종기가 경기도 관할 지역 내 관리들의 근무성적을 평가한 것.
 +
 
 +
[[File:경기포폄등제.jpeg|400px|왼쪽]]
 +
{| class="wikitable"
 +
|-
 +
! 번호 !! 직책 !! 이름!! 내용 !! 성적
 +
|-
 +
| 1 || 갑신 || 12월 15일 || 이번 가을 겨울 근무고과를 다음과 같이 기록함 ||
 +
|-
 +
| 2 || 양주목사 || 이진연 || 지역을 위해서 하는 일에 힘을 다하였음. || 상上
 +
|-
 +
| 3 || 여주목사 || 박장복 || 원래 글을 배운 선비로 처음 관리를 담당하였으나 잘함. || 상上
 +
|-
 +
| 4 || 파주목사 || 안성연 || 사람이 조용하고 주민생활에 어려움을 잘 살핌. || 상上
 +
|-
 +
| 5 || 장단부사 || 이인영 || 탐욕이 많아 비등하는 여론을 막을 수 없음. || 하下
 +
|-
 +
| 6 || 인천부사 || 정동만 || 말이 별로 없고 하는 일은 완벽함. || 상上
 +
|-
 +
| 7 || 이천부사 || 이종직 || 초상집에서도 술을 즐기고 양곡수급이 문란함. || 하下
 +
|-
 +
| 8 || 고양군수 || 이유 || 결함은 없고 재치는 있다. || 중中
 +
|-
 +
| 9 || 용인현령 || 정동구 || 하는 일은 흡족하지 못하나 잘하려고 하는 뜻은 간절함. || 중中
 +
|}
 +
<br/>
 +
 
 +
====7~11월====
 
*당해년의 수세안 정리. 권농관→수령→관찰사로의 순서로 재실에 대해 조사하여 보고하고 관찰사는 왕에게 보고한다(9월 15일까지 보고 기한).  
 
*당해년의 수세안 정리. 권농관→수령→관찰사로의 순서로 재실에 대해 조사하여 보고하고 관찰사는 왕에게 보고한다(9월 15일까지 보고 기한).  
 
*수세안을 보고 내년도 5월까지 납부해야하는 조세수 결정
 
*수세안을 보고 내년도 5월까지 납부해야하는 조세수 결정
  
===12월===
+
 
 +
====12월====
 
*한해 마무리, 6월과 마찬가지로 포폄등제 작성
 
*한해 마무리, 6월과 마찬가지로 포폄등제 작성
 
*세전을 기한으로 경기도 수조안을 마련하여 상송
 
*세전을 기한으로 경기도 수조안을 마련하여 상송
 
*12월에는 동지 전문 올려 왕에게 예를 갖춤.
 
*12월에는 동지 전문 올려 왕에게 예를 갖춤.
 
*진휼 대상 명단을 조사하고 작성
 
*진휼 대상 명단을 조사하고 작성
 +
 +
===일반 업무===
 +
====사법====
 +
*형옥과 쟁송 판결 권한
 +
*단자: 단자란 소지류에 속하는 문서로, 사대부가 친히 관사에 올리는 소장 청원서이다.
 +
*소지: 백성들이 자신의 소청. 민원 또는 매매를 위해 관청에 올리는 문서로 발괄이라고도 한다.
 +
*입안: 관에서 발급하는 문서로 개인의 청원에 따라 어떤 사실(매매, 양도 등)을 확인하여 이를 인증해 주는 문서.
 +
*소장:사서, 서리, 천민이 올리는 청원서, 진정서
 +
*여주 윤보길 죄목 보고서: 1885년 2월 18일(고종 22년) 경기도 여주목에서 일어난 민란 떄 공격 대상이 되었던 전 이방 윤보길의 죄상 15가지를 규명하고 위 죄목을 주장한 민란 주동자들의 행적에 대한 보고서.
 +
 +
<gallery>
 +
File:소지2.jpeg|소지
 +
File:소지1.jpeg|소지
 +
File:소장.jpeg|소장
 +
File:입안.jpeg|입안
 +
File:단자1.jpeg|단자
 +
File:여주윤보길죄목보고서.jpeg|여주 윤보길 죄목 보고서
 +
</gallery>
 +
 +
====군사====
 +
*군사적 기능으로 군사지휘권을 가지고 국토방위와 관련된 업무 감찰의 의무
 +
*유서: 국왕이 각 지방으로 부임하는 관찰사, 절도사, 방어사, 유수 등에게 왕과 해당 관원만이 아는 병부를 내리면서 함께 발급하는 명령서.
 +
*팔사품도: 이순신에게 보낸 8가지 군사장비를 그린 것으로 조선 후기에는 관찰사, 지방 관아 수령의 집무실 장식용도로 쓰임.
 +
*병부: 왕명을 증명하기 위한 물건으로 유서와 함께 있어야 군사권을 시행할 수 있음.
 +
*병부 주머니: 병부를 보관하던 주머니.
 +
*관문: 관부 상호간에 주고받는 관용문서로 동등이하에 쓴다.
 +
 +
<gallery>
 +
File:관문2.jpeg|관문
 +
File:관문1.jpeg|관문
 +
File:병부주머니.jpeg|병부주머니
 +
File:병부.jpeg|병부
 +
File:팔사품도.jpeg|팔사품도
 +
File:유서2.jpeg|유서
 +
File:유서1.jpeg|유서
 +
</gallery>
 +
 +
====교화====
 +
*관찰사는 수령과 함께 교육과 주민의 교화에 책임이 있음. 순력할 때마다 향교에 들러 감독하며, 왕에게 추천하여 효자문, 정려문을 세우게 함.
 +
*충렬서원강당중수기: 충렬서원 강당을 중수하던 당시의 상황을 기재한 자료.
 +
*충렬서원선생안: 충렬서원 역대 선생들의 명단을 정리한 책.
 +
*전패, 궐패: 조선시대 왕의 초상을 대신하여 동지, 설, 왕의 생일, 하례의식 등이 있을 때 관원들과 함께 배례
 +
*진위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
 +
 +
<gallery>
 +
충렬서원강당중수기.jpeg|충렬서원강당중수기
 +
충렬서원선생안.jpeg|충렬서원선생안
 +
충렬서원.jpeg|충렬서원
 +
진위향교.jpeg|진위향교
 +
전패궐패.jpeg|전패궐패
 +
</gallery>
 +
 +
====인재====
 +
*조홀첩: 1758년(영조34년) 경기도사가 공도회제술초시에 합격한 유학 백사은에게 내린 조홀첩. 생원 진사시 예비시험을 조흘강이라고 하며 조흘강 합격자에게 주는 증명서.
 +
<gallery>
 +
조홀첩.jpeg|조홀첩
 +
</gallery>
 +
 +
====지역 상황 보고====
 +
*경기안: 조선 1896~1908년, 경기관찰사와 지방관에게 내려진 외부의 지령, 훈령과 이에 대한 관찰사와 수령들의 보고서를 모은 책.
 +
*남양군보고서: 1900년(광무 4년)에 남양군수 서상학이 경기관찰사에 올린 보고서 부본 제125호
 +
<gallery>
 +
경기안1.jpeg|경기안
 +
경기안.jpeg|경기안
 +
남양군보고서.jpeg|남양군보고서
 +
</gallery>
 +
 +
====경기관찰사의 특수 임무====
 +
*타도에는 없는 특수한 임무가 있었는데 능묘 관련된 일, 중국 사신 접대, 도성 수축, 등 요역과 진상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
*경기지칙정례: 경기도 내 4참(홍재원참, 벽제참, 마산참, 오목참)에서 칙사(청나라 사신)를 접대하는 데 드는 비용과 칙사의 접대규식 등에 관한 지칙례 등을 참고하여 마련한 정례
 +
*예조관문: 1843년(현종 9년) 예조와 경기관찰사 간의 관문으로 왕릉을 관리하는 능관들이 폐단이 없도록 하라는 내용
 +
*기영료: 1893년(고종 30년) 예조에서 기영(경기감영), 동영(강원감영), 선혜청 등으로 능관리에 관련한 내용을 보내려고 작성한 관문의 초안본.
 +
 +
<gallery>
 +
예조관문.jpeg|예조관문
 +
기영료.jpeg|기영료
 +
경기지칙정례.jpeg|경기지칙정례
 +
</gallery>
 +
 +
==Semantic Network Graph==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phj&project=gggyoung&key=경기관찰사"></iframe>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phj&project=gggyoung&key=경기관찰사'">
 +
</html>
  
 
==참조==
 
==참조==

2024년 7월 16일 (화) 23:07 기준 최신판

개요

  • 연구 목적
    • 2010년 경기문화 기획전 《경기관찰사》를 바탕으로 1년 동안의 경기관찰사의 역할을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경기관찰사의 역할을 문헌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과거와 현재의 국가 기관의 역할을 비교하여 알 수 있다.
  • 연구 내용 및 방법:
    • 조선 시대의 경기관찰사의 1년 동안의 일을 ⟨기영장계등록⟩을 바탕으로 타임라인으로 정리하여 경기도 최고 지도자로써의 역할을 시기별로 보여준다.
    • 조선 시대와 현대의 경기도 최고 지도자의 역할을 비교하여 본다.
  • 관련교과
    • 초등 사회 4학년 1학기, 02. 우리가 알아보는 지역의 역사, 3. 지역의 공공 기관과 주민 참여, 주제: 공공 기관의 종류와 역할
    • 성취 기준: [4사03-05] 우리 지역에 있는 공공 기관의 종류와 역할을 조사하고, 공공 기관이 지역 주민들의 생활에 주는 도움을 탐색한다.

경기 관찰사의 업무[1]

  • 관찰사는 관할 도나 군현을 통치하는 각 단위별 최고 통치자로 행정을 비롯하여 사법, 군사, 치안, 경제, 교육 등 통치에 해당하는 전 분야를 관장.
  • 아래 표와 같이 시기에 따라 집중되는 업무와 수시로 처리해야하는 일반 업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업무 내용
시기별 업무 농사(2~7월까지 집중), 진휼(1~4월 집중, 대상자 선별은 12월), 환곡(3월 전후), 조세(3월초까지 완료, 8,9월에는 조세액 확정), 포폄(6,12월)
일반 업무 사법, 인사관리, 능관리, 향교, 지역 상황 보고 등
  • 경기 관찰사의 업무 총괄표
업무 내용
사법(司法) 산송(산소에 대한 소송), 살옥, 사법
군정(軍政) 습조(군사훈련 연습), 군역
진휼(賑恤) 진휼(흉년 때 가난한 백성을 도와줌, 기아, 환곡, 전염병
농사(農事) 농형(농사가 잘되고 못된 형편), 우택, 재해, 권농
조세(組稅) 수세, 조운, 진상
인사(人事) 인사, 포폄(근무 성과 평가), 규찰(지방관에 대한 감사)
능원(陵園) 봉심(능이나 묘를 보살핌), 능행
기타 향교, 역로 관리, 순행
  • 기영장계등록: 조선 1783~1784년
  • 기영장계등록의 업무 내용별 월별 수효

기영장계등록업무내용별월별수효.jpeg

시기별 업무[2]

1월~2월

  • 진하와 권농, 진휼
  • 정조, 동지(12월), 성절 등의 시기에 맞춰 왕에게 전문 올리기. 전문은 사륙체로 네 글자와 여섯 글자를 기본으로 하여 대구법을 쓰는 문장체.
  • 중앙에서 1월에 권농유지를 각 도에 내려 보냄. 도에서는 수령에게 관문을 내려 유지의 내용을 각 읍민에게 전달하도록 함.
  • 굶주린 백성을 위한 진휼업무시작. 버려진 아이에 대한 구휼도 진행(1784년 1월~5월)
  • 경기관초: 1866년(고종 23년)부터 1895년까지 의정부에서 경기감영 및 경기도 내 지방관에게 내린 관문으로 간략하고 긴급한 보고서를 모은 것.

3~5월

  • 조세 상납 마지막 시한일(경기도의 경우 3월 10일)
  • 진휼업무 계속
  • 순행 시작. 각 군현별로 직접 살핌.
  • 농사 시작, 측우기로 우량 계측 및 중앙에 보고

6월

  • 포폄(褒貶)
    • 관찰사가 관할 도내 지방관의 6개월 간의 업무 성적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성적을 평가하던 제도.
    • 법전에 정한 포폄일은 6월 15일, 12월 15일.
    • 도사 1, 중군 1, 검율 1, 부윤 1, 목사 3, 부사 9,군수 8, 현령 4, 현감 11, 첨사 1, 찰방 6, 발장 7 등 총 53명에 대한 포폄등제를 경기관찰사가 작성.
  • 경기도병마절도사장계: 경기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김명진(金明鎭:1840~?)이 고종 23년 가을. 겨울. 도내 각 진영의 여수(旅帥)와 대정(隊正)의 근무성적 평가에 대해 올린 장계.
  • 경기도포폄등제: 조선 1824년(순조 24년), 경기관찰사 박종기가 경기도 관할 지역 내 관리들의 근무성적을 평가한 것.
경기포폄등제.jpeg
번호 직책 이름 내용 성적
1 갑신 12월 15일 이번 가을 겨울 근무고과를 다음과 같이 기록함
2 양주목사 이진연 지역을 위해서 하는 일에 힘을 다하였음. 상上
3 여주목사 박장복 원래 글을 배운 선비로 처음 관리를 담당하였으나 잘함. 상上
4 파주목사 안성연 사람이 조용하고 주민생활에 어려움을 잘 살핌. 상上
5 장단부사 이인영 탐욕이 많아 비등하는 여론을 막을 수 없음. 하下
6 인천부사 정동만 말이 별로 없고 하는 일은 완벽함. 상上
7 이천부사 이종직 초상집에서도 술을 즐기고 양곡수급이 문란함. 하下
8 고양군수 이유 결함은 없고 재치는 있다. 중中
9 용인현령 정동구 하는 일은 흡족하지 못하나 잘하려고 하는 뜻은 간절함. 중中


7~11월

  • 당해년의 수세안 정리. 권농관→수령→관찰사로의 순서로 재실에 대해 조사하여 보고하고 관찰사는 왕에게 보고한다(9월 15일까지 보고 기한).
  • 수세안을 보고 내년도 5월까지 납부해야하는 조세수 결정


12월

  • 한해 마무리, 6월과 마찬가지로 포폄등제 작성
  • 세전을 기한으로 경기도 수조안을 마련하여 상송
  • 12월에는 동지 전문 올려 왕에게 예를 갖춤.
  • 진휼 대상 명단을 조사하고 작성

일반 업무

사법

  • 형옥과 쟁송 판결 권한
  • 단자: 단자란 소지류에 속하는 문서로, 사대부가 친히 관사에 올리는 소장 청원서이다.
  • 소지: 백성들이 자신의 소청. 민원 또는 매매를 위해 관청에 올리는 문서로 발괄이라고도 한다.
  • 입안: 관에서 발급하는 문서로 개인의 청원에 따라 어떤 사실(매매, 양도 등)을 확인하여 이를 인증해 주는 문서.
  • 소장:사서, 서리, 천민이 올리는 청원서, 진정서
  • 여주 윤보길 죄목 보고서: 1885년 2월 18일(고종 22년) 경기도 여주목에서 일어난 민란 떄 공격 대상이 되었던 전 이방 윤보길의 죄상 15가지를 규명하고 위 죄목을 주장한 민란 주동자들의 행적에 대한 보고서.

군사

  • 군사적 기능으로 군사지휘권을 가지고 국토방위와 관련된 업무 감찰의 의무
  • 유서: 국왕이 각 지방으로 부임하는 관찰사, 절도사, 방어사, 유수 등에게 왕과 해당 관원만이 아는 병부를 내리면서 함께 발급하는 명령서.
  • 팔사품도: 이순신에게 보낸 8가지 군사장비를 그린 것으로 조선 후기에는 관찰사, 지방 관아 수령의 집무실 장식용도로 쓰임.
  • 병부: 왕명을 증명하기 위한 물건으로 유서와 함께 있어야 군사권을 시행할 수 있음.
  • 병부 주머니: 병부를 보관하던 주머니.
  • 관문: 관부 상호간에 주고받는 관용문서로 동등이하에 쓴다.

교화

  • 관찰사는 수령과 함께 교육과 주민의 교화에 책임이 있음. 순력할 때마다 향교에 들러 감독하며, 왕에게 추천하여 효자문, 정려문을 세우게 함.
  • 충렬서원강당중수기: 충렬서원 강당을 중수하던 당시의 상황을 기재한 자료.
  • 충렬서원선생안: 충렬서원 역대 선생들의 명단을 정리한 책.
  • 전패, 궐패: 조선시대 왕의 초상을 대신하여 동지, 설, 왕의 생일, 하례의식 등이 있을 때 관원들과 함께 배례
  • 진위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

인재

  • 조홀첩: 1758년(영조34년) 경기도사가 공도회제술초시에 합격한 유학 백사은에게 내린 조홀첩. 생원 진사시 예비시험을 조흘강이라고 하며 조흘강 합격자에게 주는 증명서.

지역 상황 보고

  • 경기안: 조선 1896~1908년, 경기관찰사와 지방관에게 내려진 외부의 지령, 훈령과 이에 대한 관찰사와 수령들의 보고서를 모은 책.
  • 남양군보고서: 1900년(광무 4년)에 남양군수 서상학이 경기관찰사에 올린 보고서 부본 제125호

경기관찰사의 특수 임무

  • 타도에는 없는 특수한 임무가 있었는데 능묘 관련된 일, 중국 사신 접대, 도성 수축, 등 요역과 진상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 경기지칙정례: 경기도 내 4참(홍재원참, 벽제참, 마산참, 오목참)에서 칙사(청나라 사신)를 접대하는 데 드는 비용과 칙사의 접대규식 등에 관한 지칙례 등을 참고하여 마련한 정례
  • 예조관문: 1843년(현종 9년) 예조와 경기관찰사 간의 관문으로 왕릉을 관리하는 능관들이 폐단이 없도록 하라는 내용
  • 기영료: 1893년(고종 30년) 예조에서 기영(경기감영), 동영(강원감영), 선혜청 등으로 능관리에 관련한 내용을 보내려고 작성한 관문의 초안본.

Semantic Network Graph


참조

  1. 이선희, 조선 후기 경기관찰사의 일상과 업무, 경기관찰사 도록. 경기도박물관, 2010
  2. 이선희, 조선 후기 경기관찰사의 일상과 업무, 경기관찰사 도록. 경기도박물관, 2010
  3. 금영은 충청도 감영을 뜻함.문화재청 출처
  4. 이재학 경기관찰사 재임 때 올린 농업 진흥대책
  5. 1788년(정조12년)에 경기감영에서 작성한 도내 각 읍의 작년도 원환곡 총수를 책으로 만든 것
  6. 1894년(고종 31년) 경기도 내 36개 읍진의 신정사례를 모아 엮은 책으로 지방재정의 지표 역할을 함

참고문헌

  • 기영장계등록
  • 경기도박물관, 『경기관찰사 : 2010년 경기문화 기획전 special exhibition』, 2010
  • 경기도청, 『기록으로 남은 경기감영』, 2017
  • 이선희, 조선후기 경기감영의 인원 구성과 시설 특징 . 동양고전연구 73 ,2018 : 185-218.
  • 李仙喜(Yi Sun-hui). "18세기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실태와 특징." ,장서각 0.23, (2010): 89-115. 『畿營狀啓謄錄』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