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을 위한 이경석의 글쓰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etaArchive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리정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333100840000 경기도 기념물 제84호 이경석선생묘 (李景奭先生墓)]
+
==개요==
*[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1/HunHyeok/graph/lee.htm 네트워크그래프]
+
*정의: 조선후기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https://aharisu.tistory.com/26 백헌 이경석의 신도비의 기구한 사연]
+
*생애 및 활동사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354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경석(李景奭))]
*[https://aharisu.tistory.com/entry/%EC%A1%B0%EC%84%A0%EC%9D%98-%EC%9D%B8%EC%A1%B0%EA%B0%80-%EC%98%A4%EB%9E%91%EC%BA%90-%EC%B2%AD%EC%97%90-%EC%B9%98%EC%9A%95%EC%9D%98-%ED%95%AD%EB%B3%B5%EC%9D%84-%ED%95%98%EB%8B%A4?category=337186 조선의 인조가 오랑캐 청에 치욕의 항복을 하다.]
+
*스토리: 이경석(李景奭, 1595~1671)의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호는 백헌(白軒)이다. 치욕으로 얼룩진 병자호란. 이 수모의 역사가 새겨진 삼전도비. 1639년(인조 17) 그 치욕의 삼전도비문을 쓰고 싶은 사람이 있을까. 누가 고양이 목에 방을 달 것인가. 자신의 명예를 희생해서라도 실리와 현실을 추구하였고 그 후에도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앞장서서 직분을 충실하게 이행하였다. 그 어려운 시대를 앞장서서 헤쳐나간 명재상 이경석의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에 있다.
<pre>
+
 
치욕과 굴욕으로 얼룩진 병자호란. 이 수모의 역사가 새겨진 삼전도비. 인조는 4명의 신하에게 삼전도비에 새길 비문 찬술을 명령하지만 아무도 명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는다. 명분으로 사는 조선시대에 항복비문의 작성은 개인과 집안의 수치일 뿐 아니라 후대까지 오명을 쓰는 일이었던 것이다. 과연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가? 난세를 앞서 헤쳐간 명재상, 이경석
+
==관련유물==
그의 파란만장한 삶이 한국사 傳에서 펼쳐진다.
+
<gallery>
 +
File:병자록(병자호란)(정음사, 1947)_PS0100203400700548900000_0.jpg|병자록(병자호란)(정음사, 1947)_국립한글박물관
 +
File:이경석 필 간찰_PS0100100101600724000000_0.jpg|이경석 필 간찰_국립중앙박물관
 +
File:인조대왕실록_PS0100301500210011600000_0.jpg|인조대왕실록_강화역사박물관
 +
File:임금의 궤장 하사를 기념하고 기로회를 축하하는 그림_PS0100100100900339400000_0.jpg|궤장 하사_국립중앙박물관
 +
File:조선왕조실록 인조대왕실록 권지17_PS0100100102003554400000_0.jpg|조선왕조실록 인조대왕실록 권지17_국립중앙박물관
 +
</gallery>
 +
 
 +
 
 +
==이야기==
 +
옛날 조선 시대 때
 +
청나라 군대가 쳐들어 왔어요.
 +
 
 +
임금님과 신하들은 맞서 싸웠지만
 +
힘이 약해서 항복할 수밖에 없었죠.
 +
 
 +
청나라는 조선보다 자신들이 뛰어나다는
 +
내용의 비석을 만들라고 명령했어요.
 +
[[파일:이경석.jpg|600px|오른쪽]]
 +
임금님은 글을 쓰는 선비들에게
 +
청나라를 높이는 글을 쓰라고 했어요.
 +
 
 +
하지만, 누가 그런 치욕적인 글을 쓰고 싶겠어요?
 +
더군다나 조선 시대는 글을 목숨처럼 소중하게
 +
여기던 시대였어요.
 +
 
 +
당연히 아무도 비석에 들어갈 글을
 +
안 쓰겠다고 했어요.
 +
 
 +
그때, 이경석이 말했어요.
 +
 
 +
“제가 이 비문을 쓰면
 +
사람들은 저를 비겁하다고 욕할 것입니다.  
 +
 
 +
하지만 이걸 쓰지 않는다면
 +
다시 청나라의 군대가 우리 백성을
 +
괴롭힐 것입니다.
 +
 
 +
저는 차라리 나라를 위해
 +
비겁하다는 욕을 듣겠습니다.”
 +
 
 +
이경석은 슬픈 마음으로 어렵게 어렵게 글을 썼습니다.
 +
 
 +
하지만 사람들은 비석을 보고
 +
이경석을 비겁하다고 욕했어요.
 +
 
 +
그럼에도불구하고 이경석은 이후로도 묵묵히 3명의 임금님을 섬기며
 +
나라의 어려운 일들을 현명하게 해결해 나갔어요.
 +
 
 +
그런 이경석을 위해 임금님은 궤장이라는 지팡이와 의자를
 +
선물했어요. 매우 영광스러운 일이었지요.
 +
 
 +
임금님은 말했어요.
 +
 
 +
“참된 용기란, 자신의 명예를 위해
 +
고통받는 백성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
 
 +
백성과 나라를 위해
 +
자신의 명예를 버리는 것이다.
 +
 
 +
이경석은, 모두에게 욕을 먹을 것을 알면서
 +
나라와 백성을 위해 명예를 버렸으니
 +
 
 +
이것이야말로 진짜 용기다.
  
- 이경석은 왜 삼전도비문을 지은 것일까?
+
이경석은 어려운 시기에 진짜 용기로
삼전도비는 1639년(인조 17), 청나라 태종이 조선 인조의 항복을 받고 자신의 공덕을 찬양하기 위해 세운 전승비이다.  
+
많은 사람에게 감동을 주었어요.
바로 이 삼전도비문을 지은 사람이 명재상 이경석이다.
 
병자호란에 패했지만 여전히 청나라를 배척하고 명나라를 섬기는 분위기가 팽배한 조선. 청나라는 조선이 스스로 비를 세우게 함으로써 조선의 패배를 기정사실화하고 명나라와의 관계를 단절 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개인과 집안의 명예 실추와 오명을 감수하며 항복비문을 쓰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당시 핵심관직을 두루 역임하며 명문가의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이경석 역시 마찬가지 상황!
 
만약 삼전도비문을 쓸 경우 자신 뿐 아니라 후대까지 불명예를 안을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런데 이경석은 왜, 무엇을 위해 삼전도비문을 지은 것일까?
 
  
- 개인의 명예인가, 국가의 존망인가
+
지금도 이와 관련된 유물들을 경기도 박물관에서
조선시대 선비에게 글이란 목숨과도 맞바꿀 있는 것이었다.
+
있답니다.
인조에게 비문 찬술을 명령받은 4명의 신하들은 모두 당대의 문장가였지만 왕의 명령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다. 이경전은 병을 핑계로 자리에 누웠고, 조희일은 고의로 글을 거칠게 써 채택되지 않도록 했다. 결국 이경석과 장유 두 사람의 글을 청나라에 보내지만 심한 질책과 함께 되돌아온다. 장유는 적절치 않은 인용문을 사용했고 이경석의 글은 너무 소략하다는 것이었다. 결국 다시 이경석을 불러 간곡히 부탁하는 인조.
 
이경석은 국가를 위해 자신의 명예를 희생할 것인가, 아니면 개인의 명예를 지킬 것인가. 삼전도비문 찬술은 조선 전체를 뒤흔드는 명분과 현실 사이의 갈등이었다.  
 
  
-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이경석
+
==지리정보==
이경석이 영의정으로 국정을 총괄하던 효종 1년(1650).  
+
<html>
조선을 경악케 만든 사건이 발생한다. 효종이 왜군 침입의 대비란 명목으로 청나라가 엄격히 금지한 성곽수리를 시행한 것이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청은 곧 조사관을 파견했다.  
+
<iframe width="96%" height="740px" src=" https://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complex/complex_leekyeongseok.htm"></iframe>
효종과 백관을 협박하며 왕을 궁지로 모는 청사신. 이 때 이경석이 책임을 자청해 효종은 위기를 모면한다. 하지만 책임을 인정하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하는 일. 다행히 이경석은 효종의 간청으로 간신히 극형을 면한 뒤 의주 백마산성에 감금되었다가 이듬해에 풀려났다.  
+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complex/complex_leekyeongseok.htm'">
목숨을 걸고 청나라를 막은 이경석. 영의정이란 자신의 직분을 충실하게 이행한 이경석은 오늘날 공직자가 가장 본받아야 할 자세, 즉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현한 인물이었다.
+
</html>
  
- 난세를 헤쳐간 삼조의 충신, 이경석
+
==가상현실==
경기도 분당에 위치한 이경석의 묘. 그런데 특이하게도 하나는 새것이고, 하나는 글귀가 깎여 글자가 보이지 않는 두 개의 비가 서있다. 땅에 묻혀있던 비를 후손들이 다시 세운 것이다.  
+
<html>
생전에는 나라의 추앙을 받던 이경석. 그러나 사후엔 비조차 땅에 묻힌 이유가 무엇일까?  74세 되던 해, 현종에게 궤장을 받은 이경석. 궤장은 나라에 공을 많이 세운 신하에게 하사하는 것으로, 당시 50년 만에 이경석이 받은 것이었다.  
+
<iframe width="95%" height="7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pavilion/kyeongseok.htm" width="1200" height="60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인조, 효종, 현종에 이른 3대의 임금을 모신 충신으로서 임금과 백성을 위해 한평생을 바친 신하에 대한 국가의 공식적 평가였다. 그러나 송시열은 궤장수여식을 기념해 바친 글에서 이경석을 ‘절의 없는 사람’, ‘삼전도비문을 지어 아첨하고 부귀영화를 누린 소인배’로 비하시켰다.  
+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pavilion/kyeongseok.htm'">
청을 배격하고 명을 숭배한 존명배청론자의 대표인 송시열은 이경석의 삼전도비문 작성을 인정할 수 없었던 것이다.
+
</html>
특히 조선 후기에 송시열을 추종하는 노론세력이 집권하면서 현재까지 이경석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승자의 시각으로 기록되고 전해지는 역사. 그러나 실리와 현실을 추구한 이경석이야말로 그 누구보다도 세대를 초월해 가장 필요한 인물이었다.
 
  
한국사전 19회 – 난세에 서다, 백헌 이경석 (2007.11.3.방송)
 
</pre>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html>
 
<html>
39번째 줄: 93번째 줄: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graph/kyeonggi_leekyeongseok.htm'">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1/hyeonJeong/graph/kyeonggi_leekyeongseok.htm'">  
 
</html>
 
</html>
 +
 +
==참고문헌==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333100840000 경기도 기념물 제84호 이경석선생묘 (李景奭先生墓)]
 +
*[https://aharisu.tistory.com/26 백헌 이경석의 신도비의 기구한 사연]
 +
*[https://aharisu.tistory.com/entry/%EC%A1%B0%EC%84%A0%EC%9D%98-%EC%9D%B8%EC%A1%B0%EA%B0%80-%EC%98%A4%EB%9E%91%EC%BA%90-%EC%B2%AD%EC%97%90-%EC%B9%98%EC%9A%95%EC%9D%98-%ED%95%AD%EB%B3%B5%EC%9D%84-%ED%95%98%EB%8B%A4?category=337186 조선의 인조가 오랑캐 청에 치욕의 항복을 하다.]
 +
*[https://ncms.nculture.org/traditional-stories/story/212  남한산성 이회와 매바위 설화]
 +
*[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1/HunHyeok/graph/lee.htm 네트워크그래프]

2024년 4월 18일 (목) 23:38 기준 최신판

개요

  • 정의: 조선후기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 생애 및 활동사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경석(李景奭))
  • 스토리: 이경석(李景奭, 1595~1671)의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호는 백헌(白軒)이다. 치욕으로 얼룩진 병자호란. 이 수모의 역사가 새겨진 삼전도비. 1639년(인조 17) 그 치욕의 삼전도비문을 쓰고 싶은 사람이 있을까. 누가 고양이 목에 방을 달 것인가. 자신의 명예를 희생해서라도 실리와 현실을 추구하였고 그 후에도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앞장서서 직분을 충실하게 이행하였다. 그 어려운 시대를 앞장서서 헤쳐나간 명재상 이경석의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에 있다.

관련유물


이야기

옛날 조선 시대 때 청나라 군대가 쳐들어 왔어요.

임금님과 신하들은 맞서 싸웠지만 힘이 약해서 항복할 수밖에 없었죠.

청나라는 조선보다 자신들이 뛰어나다는 내용의 비석을 만들라고 명령했어요.

이경석.jpg

임금님은 글을 쓰는 선비들에게 청나라를 높이는 글을 쓰라고 했어요.

하지만, 누가 그런 치욕적인 글을 쓰고 싶겠어요? 더군다나 조선 시대는 글을 목숨처럼 소중하게 여기던 시대였어요.

당연히 아무도 비석에 들어갈 글을 안 쓰겠다고 했어요.

그때, 이경석이 말했어요.

“제가 이 비문을 쓰면 사람들은 저를 비겁하다고 욕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걸 쓰지 않는다면 다시 청나라의 군대가 우리 백성을 괴롭힐 것입니다.

저는 차라리 이 나라를 위해 비겁하다는 욕을 듣겠습니다.”

이경석은 슬픈 마음으로 어렵게 어렵게 글을 썼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 비석을 보고 이경석을 비겁하다고 욕했어요.

그럼에도불구하고 이경석은 이후로도 묵묵히 3명의 임금님을 섬기며 나라의 어려운 일들을 현명하게 해결해 나갔어요.

그런 이경석을 위해 임금님은 궤장이라는 지팡이와 의자를 선물했어요. 매우 영광스러운 일이었지요.

임금님은 말했어요.

“참된 용기란, 자신의 명예를 위해 고통받는 백성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백성과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명예를 버리는 것이다.

이경석은, 모두에게 욕을 먹을 것을 알면서 나라와 백성을 위해 명예를 버렸으니

이것이야말로 진짜 용기다.”

이경석은 어려운 시기에 진짜 용기로 많은 사람에게 감동을 주었어요.

지금도 이와 관련된 유물들을 경기도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답니다.

지리정보


가상현실


지식관계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