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보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논문연구
이동: 둘러보기, 검색
(. 기록문화유산의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연구: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중심으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논문의 개요]]'''==
 
 
==.[[ 기록문화유산의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연구: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중심으로 ]] ==
 
<br/>
 
 
 
===[국문초록]===
 
이 논문은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중심으로 하여 기록문화유산의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채보상운동 기록물로부터 사건과 인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 간의 관계가 구조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일차 목표로 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기존의 개별적 지식의 집합에서는 보이지 않던 새로운 역사 서사와 스토리의 주제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역사 재현 큐레이션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1907년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이다. 국채보상운동은 국민이 자발적으로 추진한 애국 모금운동으로서 세계사에서도 보기 드문 사례이다. 운동의 발의와 추진 전 과정이 문서 형태의 민간 기록물과 언론 보도 내용으로 잘 보존되었으며, 이 기록물들은 2017년 11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UNESCO Memory of the World)으로 등재되었다.
 
 
 
이와 같이 국제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은 역사적 기록물의 교육적, 문화적 활용을 증대시킬 방법의 하나로 역사재현 큐레이션이 가능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상하게 된 것은 헤이든 화이트(Hayden White)의 역사서사 이론에서 실마리를 찾은 것이다. 화이트는 진리(Truth)를 발견해 내어 ‘있는 그대로’ 보여 준다는 전문적 역사학자들의 아집과 편견을 부정했다. 그는 역사 속에 진리가 이미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서술자의 텍스트를 통해 언어적으로 작성되는 ‘이야기(Narrative)’임을 강조하였다.
 
 
 
화이트가 강조한 이야기적 역사 서술을 ‘디지털 아카이브’의 형태로 구현하는 방법은 김현이 제안한 ‘백과사전적 아카이브(Encyves: Encyclopedic Archives)’모델을 참고하여 강구하였다. 엔사이브 모델의 아카이브는 단순한 기록물 데이터의 저장소가 아니라 그 기록물과 내용적으로 연관된 다양한 지식자원을 통합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풍부한 서사의 가능성을 보이는 서사적 큐레이션의 현장일 수 있다.
 
이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존 국채보상운동 연구의 시각을 넓혀 시간적·지리적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시대적 상황과 환경적 지식요소를 포함하였다. 이렇게 관련 맥락 정보가 포함된 통합적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서사와 스토리 주제를 발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새로운 ‘이야기’ 주제를 기반으로 필자는 국채보상운동과 관련된 역사를 재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큐레이션 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역사 기록물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이 연구는 특정한 가치와 이념적 편향성을 최대한 배제하고 “스토리요소”가 포함된 인물 관련 지식요소를 중심으로 하였다. 역사 기록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아카이브와 큐레이션의 목적에 맞는 기준을 적용하게 되는데, 우리나라 근대사에 관한 서술은 정치사·이념사·투쟁사에 편중된 경향이 짙은 반면 이 연구는 역사 재현을 위한 균형성과 포괄성을 지향하였다.
 
 
 
셋째, 기존의 역사적 사건의 기술이 그 사건에 직접 관련된 자료에만 국한되는 경향이 있었던 데에 반해 본 연구가 지향하는 시맨틱 아카이브는 사건의 직접적 자료뿐만 아니라 국내외 시대적 환경에 관한 자료 및 그 상호 관계성을 살필 수 있는 근거 자료들을 모두 취급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이로써 시대적 상황을 중심으로 여러 차원의 환경을 살피고, 이에 관한 아카이브의 구조와 자료 속의 맥락 정보를 데이터화 할 수 있었다.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이제 한국인들의 문화유산의 차원을 넘어 유네스코가 인정한 중요한 세계적 기록문화유산이 되었다. 그 중요성에 걸맞게 연구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채보상운동 데이터의 세계적 유통과 활용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 논문이 시도한 국채보상운동 디지털 아카이브 연구는 이러한 요청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이 연구의 결과물로 만들어진 국채보상운동 아카이브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계성에 대한 기술 표준을 충실히 준용하였으므로 콘텐츠의 외국어 번역도 최소의 개입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데이터의 핵심요소인 노드(Node)의 표현 또한 국제적 호환성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 노드가 적합하게 영문화 되어야 한다. 이것이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세계적 공유와 연구를 위한 중요한 후속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논문의 핵심내용 요약: Executive Summary]]'''==
 
 
===[[논문 목차]]===
 
===[[논문 목차]]===
  
===[[클래스 설계]]===
+
===[[국문초록]]===  
 
+
===[[영문초록 Abstract]]===
====[[멕시코와 몽골의 외채위기와 금모으기 운동]]====
+
===[[핵심요약:Executive Summary]]===
  
 
=='''[[국채보상운동에 관한 지식관계망(샘플)]]''' ==
 
=='''[[국채보상운동에 관한 지식관계망(샘플)]]''' ==
 
 
==국채보상운동 시맨틱 데이터==
 
==국채보상운동 시맨틱 데이터==
  
 
===[[개체 데이터]]===
 
===[[개체 데이터]]===
  
===[[관계 데이터 ]]===
+
===[[관계 데이터]]===
  
 
===[[시맨틱 데이터]]===
 
===[[시맨틱 데이터]]===
  
 
=='''국채보상운동 시맨틱 데이터(샘플)'''==
 
=='''국채보상운동 시맨틱 데이터(샘플)'''==
 
  
 
===[[개체 데이터(샘플)]]===
 
===[[개체 데이터(샘플)]]===
52번째 줄: 24번째 줄:
  
 
==[[국채보상운동 스토리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국채보상운동 스토리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
===[[결론: 데이터 기반의 시맨틱 아카이브와 스토리서사]]===
 +
  
 
==[[참고문헌]]==
 
==[[참고문헌]]==
 +
==[[관련 자료]]==
 +
 +
===[[멕시코와 몽골의 외채위기와 금모으기 운동]]===
 +
 +
===[[新국채보상운동 금모으기 해외보도]]===
 +
==[[기록물 목록]]==
  
 +
===[[신문기사 목록]]===
 +
 +
===[[민간기록 목록]]===
 +
 +
===[[공문서 목록]]===
 
==[[부록]]==
 
==[[부록]]==
  
<br/>
+
===[[인물 목록]]===
 +
 
 +
===[[사건 목록]]===
 +
 
 +
===[[국채보상운동 관련 단체]]===
  
===[[논문 파일 내려받기]]===
+
===[[출판사]]===
* 공식 학위논문 등록 절차가 끝난 후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2020년 6월 1일 (월) 15:15 기준 최신판

논문의 개요

논문 목차

국문초록

영문초록 Abstract

핵심요약:Executive Summary

국채보상운동에 관한 지식관계망(샘플)

국채보상운동 시맨틱 데이터

개체 데이터

관계 데이터

시맨틱 데이터

국채보상운동 시맨틱 데이터(샘플)

개체 데이터(샘플)

관계 데이터(샘플)

시맨틱 데이터(샘플)

국채보상운동 스토리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결론: 데이터 기반의 시맨틱 아카이브와 스토리서사

참고문헌

관련 자료

멕시코와 몽골의 외채위기와 금모으기 운동

新국채보상운동 금모으기 해외보도

기록물 목록

신문기사 목록

민간기록 목록

공문서 목록

부록

인물 목록

사건 목록

국채보상운동 관련 단체

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