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실습: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사진)
(Bibliography)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내용==
 
==내용==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마애불이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여 형성되었다.
 +
 +
서산시 운산면은 중국의 불교 문화가 태안반도를 거쳐 부여로 가던 행로상에 있다. 즉 백제 때 중국으로 통하는 교통의 중심지인 태안반도에서 서산마애불이 있는 가야산 계곡을 따라 계속 전진하면 부여로 가는 지름길이 이어지는데, 이 길은 예로부터 중국과 교통하던 길이었다. 이 옛길의 어귀가 되는 지점에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있는데, 이곳은 산세가 유수하고 천하의 경승지여서 600년 당시 중국 불교 문화의 자극을 받아 찬란한 불교 문화를 꽃피웠던 것이다. 이 마애여래삼존상은 당시의 활발했던 중국과의 문화교류 분위기를 엿볼 수 있게 하는 작품이라 하겠다.
 +
 +
묵중하고 중후한 체구의 여입상인 본존(本尊)은 머리에는 보주형(寶珠形) 두광(頭光)이 있으며, 소발(素髮)의 머리에 육계(肉髻)는 작다.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는 미소가 있고 눈은 행인형(杏仁形)으로 뜨고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없고 법의(法衣)는 두꺼워서 거의 몸이 나타나 있지 않다. 옷주름은 앞에서 U자형이 되고 옷자락에는 Ω형의 주름이 나 있다. 수인(手印)은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으로 왼손의 끝 두 손가락을 꼬부리고 있다. 발밑에는 큼직한 복련연화좌(覆蓮蓮華座)가 있고, 광배 중심에는 연꽃이, 둘레에는 화염문이 양각되었다.
 +
 +
이에 대하여 우협시보살(右脇侍菩薩)은 머리에 높은 관을 쓰고 상호(相好)는 본존과 같이 살이 올라 있으며, 눈과 입을 통하여 만면에 미소를 풍기고 있다. 목에는 짧은 목걸이가 있고 두 손은 가슴 앞에서 보주(寶珠)를 잡고 있다. 천의는 두 팔을 거쳐 앞에서 U자형으로 늘어졌으나 교차되지는 않았다. 상체는 나형(裸形)이고 하체의 법의는 발등까지 내려와 있다. 발밑에는 복련연화좌가 있다. 머리 뒤에는 보주형 광배가 있는데, 중심에 연꽃이 있을 뿐 화염문은 없다.
 +
 +
좌협시보살은 통식(通式)에서 벗어나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을 배치하였다. 이 보살상은 두 팔에 크게 손상을 입었으나 전체의 형태는 충분히 볼 수 있다. 머리에는 관을 썼고 상호는 다른 상들과 같이 원만형(圓滿形)으로 만면에 미소를 띠고 있다. 상체는 나형이고 목에는 짧은 목걸이를 걸쳤다. 허리 밑으로 내려온 옷자락에는 고식의 옷주름이 나 있다. 발밑에는 큰 꽃잎으로 나타낸 복련대좌(覆蓮臺座)가 있다. 머리 뒤에는 큰 보주형 광배가 있는데, 그 형식은 우협시보살의 광배 형식과 같다.
 +
 +
반가상이 조각된 이례적인 이 삼존상은『법화경』에 나오는 석가불과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법화경』 사상이 백제 사회에 유행한 사실을 입증해 주는 가장 중요한 사료이다. 따라서 이 불상은 백제 불교사 내지 사상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조선시대 사찰에 건립된 응진전(應眞殿) 수기삼존불의 가장 오래된 원조로서의 의의가 있다. 본존불의 묵직하면서 당당한 체구와 둥근 맛이 감도는 윤곽선, 보살상의 세련된 조형 감각, 그리고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쾌활한 인상 등에서 6세기 말이나 7세기 초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400840000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b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781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갤러리==
 
==갤러리==
 
===사진===
 
===사진===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style="float:left">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style="float:center">
 
파일: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2020년 촬영(출처 문화재청 대변인실).jpg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파일: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2020년 촬영(출처 문화재청 대변인실).jpg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파일:본존불입상.jpg | 본존불입상
 
파일:본존불입상.jpg | 본존불입상
34번째 줄: 45번째 줄:
  
 
==위치 정보==
 
==위치 정보==
{{구글지도 | 위도 =36.7738659 | 경도 =126.605255 | 줌 = 16}}
+
{{구글지도 | 위도 =36.7738659 | 경도 =126.605255 | 줌 = 15}}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48번째 줄: 59번째 줄:
 
! 항목A !! 항목B !! 관계
 
! 항목A !! 항목B !! 관계
 
|-
 
|-
| [[실습: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실습 가야산]] || A는 B에 소장되어있다.
+
| [[실습: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가야산]] || A는 B에 위치하고있다.
 
|-
 
|-
 
|}
 
|}
58번째 줄: 69번째 줄: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 ||  
+
| 사전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400840000
 +
|-
 +
| 사전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7818
 +
|-
 +
| 해설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400840000
 +
|-
 +
| 해설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7818
 +
|-
 +
| 사진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298893&ccbaKdcd=11&ccbaAsno=00840000&ccbaCtcd=34
 +
|-
 +
| 사진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269&ccbaKdcd=11&ccbaAsno=00840000&ccbaCtcd=34
 
|-
 
|-
 +
| 사진 || 본존불입상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265&ccbaKdcd=11&ccbaAsno=00840000&ccbaCtcd=34
 +
|-
 +
| 사진 || 우협시보살(봉보주보살상)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266&ccbaKdcd=11&ccbaAsno=00840000&ccbaCtcd=34
 +
|-
 +
| 사진 || 좌협시보살(반가사유상)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267&ccbaKdcd=11&ccbaAsno=00840000&ccbaCtcd=34
 +
|-
 +
| 동영상 || [특별전]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_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Youtube || https://www.youtube.com/watch?v=51Jq7PTEN-Q&t=2s
 +
|-
 +
| 동영상 ||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1부 미소, 그 위대한 발견 || Youtube || https://www.youtube.com/watch?v=kwURGkNehOM
 +
|-
 +
| 동영상 ||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2부 미소는 왜 가야산에 있었을까? || Youtube || https://www.youtube.com/watch?v=WnX3FDZoTI0&t=8s
 
|}
 
|}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68번째 줄: 100번째 줄: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 논문 || 황수영, 「서산 (瑞山) 마애삼존불상에 (磨崖三尊佛像) 대하여」, 『진단학보』, 20, 진단학회, 1959. || KISS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159456
 +
|-
 +
| 단행본 || 韓國文化財保護協會, 『文化財大觀』, 서울 : 大學堂, 1986.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controlNo=MONO1199205380
 +
|-
 +
| 단행본 || 황수영, 『(國寶; 2)金銅佛; 磨崖佛 / 黃壽永 編著』, 서울: 藝耕産業社, 1984. || 국립중앙도서관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total&kwd=문화재대관+국보#viewKey=18724947&viewType=AH1&category=도서&pageIdx=2&jourId=
 +
|-
 +
| 단행본 || 문명대, 『韓國彫刻史 : 선사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까지』, 서울 : 悅話堂, 1980. || RISS || https://www-riss-kr-ssl.proxy.knuh.ac.kr:8443/link?id=M2647123
 
|}  
 
|}  
 
※ 단행본, 논문 등
 
※ 단행본, 논문 등

2024년 10월 9일 (수) 23:20 기준 최신판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jpg
한글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한자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영어 Rock-carved Buddha Triad in Yonghyeon-ri, Seosan
이칭 서산 마애삼존불상
시대 백제시대 후기
소장처 국유(소유단체)/서산시(관리단체)
유형 석조 불상
크기 높이 2.8m
국가유산 종목 국보
국가유산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내용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마애불이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여 형성되었다.

서산시 운산면은 중국의 불교 문화가 태안반도를 거쳐 부여로 가던 행로상에 있다. 즉 백제 때 중국으로 통하는 교통의 중심지인 태안반도에서 서산마애불이 있는 가야산 계곡을 따라 계속 전진하면 부여로 가는 지름길이 이어지는데, 이 길은 예로부터 중국과 교통하던 길이었다. 이 옛길의 어귀가 되는 지점에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있는데, 이곳은 산세가 유수하고 천하의 경승지여서 600년 당시 중국 불교 문화의 자극을 받아 찬란한 불교 문화를 꽃피웠던 것이다. 이 마애여래삼존상은 당시의 활발했던 중국과의 문화교류 분위기를 엿볼 수 있게 하는 작품이라 하겠다.

묵중하고 중후한 체구의 여입상인 본존(本尊)은 머리에는 보주형(寶珠形) 두광(頭光)이 있으며, 소발(素髮)의 머리에 육계(肉髻)는 작다.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는 미소가 있고 눈은 행인형(杏仁形)으로 뜨고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없고 법의(法衣)는 두꺼워서 거의 몸이 나타나 있지 않다. 옷주름은 앞에서 U자형이 되고 옷자락에는 Ω형의 주름이 나 있다. 수인(手印)은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으로 왼손의 끝 두 손가락을 꼬부리고 있다. 발밑에는 큼직한 복련연화좌(覆蓮蓮華座)가 있고, 광배 중심에는 연꽃이, 둘레에는 화염문이 양각되었다.

이에 대하여 우협시보살(右脇侍菩薩)은 머리에 높은 관을 쓰고 상호(相好)는 본존과 같이 살이 올라 있으며, 눈과 입을 통하여 만면에 미소를 풍기고 있다. 목에는 짧은 목걸이가 있고 두 손은 가슴 앞에서 보주(寶珠)를 잡고 있다. 천의는 두 팔을 거쳐 앞에서 U자형으로 늘어졌으나 교차되지는 않았다. 상체는 나형(裸形)이고 하체의 법의는 발등까지 내려와 있다. 발밑에는 복련연화좌가 있다. 머리 뒤에는 보주형 광배가 있는데, 중심에 연꽃이 있을 뿐 화염문은 없다.

좌협시보살은 통식(通式)에서 벗어나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을 배치하였다. 이 보살상은 두 팔에 크게 손상을 입었으나 전체의 형태는 충분히 볼 수 있다. 머리에는 관을 썼고 상호는 다른 상들과 같이 원만형(圓滿形)으로 만면에 미소를 띠고 있다. 상체는 나형이고 목에는 짧은 목걸이를 걸쳤다. 허리 밑으로 내려온 옷자락에는 고식의 옷주름이 나 있다. 발밑에는 큰 꽃잎으로 나타낸 복련대좌(覆蓮臺座)가 있다. 머리 뒤에는 큰 보주형 광배가 있는데, 그 형식은 우협시보살의 광배 형식과 같다.

반가상이 조각된 이례적인 이 삼존상은『법화경』에 나오는 석가불과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법화경』 사상이 백제 사회에 유행한 사실을 입증해 주는 가장 중요한 사료이다. 따라서 이 불상은 백제 불교사 내지 사상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조선시대 사찰에 건립된 응진전(應眞殿) 수기삼존불의 가장 오래된 원조로서의 의의가 있다. 본존불의 묵직하면서 당당한 체구와 둥근 맛이 감도는 윤곽선, 보살상의 세련된 조형 감각, 그리고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쾌활한 인상 등에서 6세기 말이나 7세기 초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1]

갤러리

사진

동영상


위치 정보



위도 경도 주소
36.7738659 126.605255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0번지 / (도로명)운산면 마애삼존불로 65-13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실습: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가야산 A는 B에 위치하고있다.

참고문헌

Web Resource

Category Title Site Url
사전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400840000
사전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7818
해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400840000
해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7818
사진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298893&ccbaKdcd=11&ccbaAsno=00840000&ccbaCtcd=34
사진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269&ccbaKdcd=11&ccbaAsno=00840000&ccbaCtcd=34
사진 본존불입상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265&ccbaKdcd=11&ccbaAsno=00840000&ccbaCtcd=34
사진 우협시보살(봉보주보살상)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266&ccbaKdcd=11&ccbaAsno=00840000&ccbaCtcd=34
사진 좌협시보살(반가사유상) 국가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267&ccbaKdcd=11&ccbaAsno=00840000&ccbaCtcd=34
동영상 [특별전]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_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51Jq7PTEN-Q&t=2s
동영상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1부 미소, 그 위대한 발견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kwURGkNehOM
동영상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2부 미소는 왜 가야산에 있었을까?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WnX3FDZoTI0&t=8s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Bibliography

Category Title Site Url
논문 황수영, 「서산 (瑞山) 마애삼존불상에 (磨崖三尊佛像) 대하여」, 『진단학보』, 20, 진단학회, 1959. KISS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159456
단행본 韓國文化財保護協會, 『文化財大觀』, 서울 : 大學堂, 1986.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controlNo=MONO1199205380
단행본 황수영, 『(國寶; 2)金銅佛; 磨崖佛 / 黃壽永 編著』, 서울: 藝耕産業社, 1984.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total&kwd=문화재대관+국보#viewKey=18724947&viewType=AH1&category=도서&pageIdx=2&jourId=
단행본 문명대, 『韓國彫刻史 : 선사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까지』, 서울 : 悅話堂, 1980. RISS https://www-riss-kr-ssl.proxy.knuh.ac.kr:8443/link?id=M2647123

※ 단행본, 논문 등

주석

  1.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