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실습:부여 석조-고경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새 문서: {{명함:물품 |사진=부여 석조.jpg |한글= |한자= |영어= |이칭= |제작자= |시대=백제 |제작일= |소장처=국 |유형= |크기= |국가유산 종목=보물 |국...)
 
1번째 줄: 1번째 줄:
 
{{명함:물품
 
{{명함:물품
 
|사진=부여 석조.jpg
 
|사진=부여 석조.jpg
|한글=
+
|한글=부여 석조
|한자=
+
|한자=扶餘 石槽
|영어=
+
|영어=Stone Basin, Buyeo
 
|이칭=
 
|이칭=
 
|제작자=
 
|제작자=
 
|시대=백제
 
|시대=백제
 
|제작일=
 
|제작일=
|소장처=
+
|소장처=국립부여박물관
|유형=
+
|유형=종교물품
 
|크기=
 
|크기=
 
|국가유산 종목=보물
 
|국가유산 종목=보물
|국가유산 지정일=  
+
|국가유산 지정일=1963년 1월 21일
 
}}
 
}}
  
 
==내용==
 
==내용==
 +
부여현의 동헌건물 앞에 있었던 것을 일제시대에 옛 박물관 뜰로 옮겼다가 현재의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
 +
부여석조는 왕궁에서 연꽃을 심어 그 꽃을 즐겼다는 전설이 있는 백제시대의 유물로, ‘工’자형의 받침대 위에 둥근 꽃망울 형태로 올려져 있다. 받침대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간결한 모양이다. 그 위에 놓인 석조는 입구가 약간 오므라들면서 밖으로 둥글게 원호를 그리며, 바닥은 평평한 듯 하나 완만한 곡선이다.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8개의 세로줄이 새겨져 있고,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의 1층 탑몸돌에 새겨진 당나라가 백제를 평정했다는 내용과 같은 글을 새기려던 흔적이 보인다.
 +
 +
이 석조에는 연꽃무늬 장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사찰과 관계된 유물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본래 이 석조가 있었던 장소가 백제시대의 왕궁터로 전해지고 있어 당시 왕궁에서 쓰이던 석련지(石蓮池)가 아니었나 짐작된다. 형태가 풍만하면서도 깔끔한 곡선으로 처리된 석조로, 백제인의 간결하고 소박한 미적 감각이 잘 나타나 있다.
 
<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1940000 "보물 부여 석조"],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f>
 
<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1940000 "보물 부여 석조"],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f>
  
22번째 줄: 27번째 줄:
 
===사진===
 
===사진===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style="float:center">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style="float:center">
 
+
파일:부여_석조.jpg | 부여 석조
 +
파일:부여_석조2.jpg | 부여 석조 몸체의 훼손 상태
 +
파일:부여_석조3.jpg | 부여 석조 중대
 
</gallery>
 
</gallery>
  
28번째 줄: 35번째 줄:
 
===동영상===
 
===동영상===
 
<html>
 
<html>
 
+
<iframe width="480" height="270" src="https://www.youtube.com/embed/xn1Bk9e1L4o" title="[ Beautiful KOREA ] 3D 영상으로 보는 한국의 보물 / 부여 석조"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2024년 10월 2일 (수) 15:20 판

부여 석조
(扶餘 石槽)
부여 석조.jpg
한글 부여 석조
한자 扶餘 石槽
영어 Stone Basin, Buyeo
시대 백제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유형 종교물품
국가유산 종목 보물
국가유산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내용

부여현의 동헌건물 앞에 있었던 것을 일제시대에 옛 박물관 뜰로 옮겼다가 현재의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부여석조는 왕궁에서 연꽃을 심어 그 꽃을 즐겼다는 전설이 있는 백제시대의 유물로, ‘工’자형의 받침대 위에 둥근 꽃망울 형태로 올려져 있다. 받침대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간결한 모양이다. 그 위에 놓인 석조는 입구가 약간 오므라들면서 밖으로 둥글게 원호를 그리며, 바닥은 평평한 듯 하나 완만한 곡선이다.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8개의 세로줄이 새겨져 있고,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의 1층 탑몸돌에 새겨진 당나라가 백제를 평정했다는 내용과 같은 글을 새기려던 흔적이 보인다.

이 석조에는 연꽃무늬 장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사찰과 관계된 유물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본래 이 석조가 있었던 장소가 백제시대의 왕궁터로 전해지고 있어 당시 왕궁에서 쓰이던 석련지(石蓮池)가 아니었나 짐작된다. 형태가 풍만하면서도 깔끔한 곡선으로 처리된 석조로, 백제인의 간결하고 소박한 미적 감각이 잘 나타나 있다. [1]


갤러리

사진


동영상


위치 정보

위도 경도 주소
36.2763865 126.9189991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실습:부여 석조 실습 국립부여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있다.


참고문헌

Web Resource

Bibliography

주석

  1. "보물 부여 석조",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