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2 010 Clothing"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정재여령(呈才女伶) 복식) |
(→정재여령(呈才女伶) 복식) |
||
174번째 줄: | 174번째 줄: | ||
− | + | ==추가자료(검토)== | |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복식 |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복식 | ||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형이다. 이정응의 복식을 양자인 완순군 이재완이 보관하였다가 그 후손이 1982년 숙명여자대학교에 기증하였다. |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형이다. 이정응의 복식을 양자인 완순군 이재완이 보관하였다가 그 후손이 1982년 숙명여자대학교에 기증하였다. |
2023년 9월 2일 (토) 10:53 판
목차
[숨기기]무신년진찬 》 무신년진찬:복장 및 복식
무신년진찬 참여자 복식
왕실인원 복식
내빈 복식
무신년진찬에 내빈(좌우명부)은 예복(禮服)을 입고 참여하였다.
내빈 - 전빈(典賓)이 나누어 인도하여 좌우명부(각자 예복을 갖춘다.)가 외위로 나아간다.
Text | image | ||||||
---|---|---|---|---|---|---|---|
|
|||||||
|
외빈 복식
무신년진찬에 외빈(종친·의빈·척신·진찬소 당상·낭청)은 흑단령을 입고 참여하였다. 이 중에서 유생과 동몽(童蒙, 나이 어린 소년)은 청금복을 입었다.
외빈 - 종친·의빈·척신·진찬소 당상·낭청(각각 복장을 갖춘다. 조관은 흑단령, 유생 및 동몽은 청금복을 입는다.)
궁녀(宮女) 복식
의례가 있을 때는 직무분장(職務分掌)에 따라서 궁녀를 다양한 명칭으로 불렀으며 직무분장에 따라 착용하는 복색을 달리하였다.[1]
『(헌종무신)진찬의궤』에 따르면 진찬(進饌)에 참여하는 궁녀들의 복식은 다음과 같다.
계청상궁 및 여관 - 계청상궁·전도상궁, 도집사·부집사, 상침·전언·사찬·찬홀·전찬·전등여관은 어여미를 하고, 소매에 삼색연을 댄 흑사원삼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를 입고, 겉에는 남사상(藍紗裳)을 입고, 허리에는 남색금수대를 두르고, 홍색온혜를 신는다.
시위상궁 및 여관 - 시위·찬청·승인·전인상궁, 상식(尙食)·상식(尙飾)·상찬·상기·전식·상인·사인·전빈·전선, 각 차비여관은 어여미를 하고, 소매에 삼색연을 댄 초록원삼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를 입고, 겉에는 홍사상(紅紗裳)을 입고, 허리에는 남색금수대를 두르고, 홍색온혜를 신는다.
차비여령 - 각 차비여령은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를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홍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
집사·홀기차비여령 - 집사·홀기차비여령은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를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황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
악장사창차비여령 - 악장사창차비여령은 화관을 쓰고, 황초삼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홍색치마를 입고, 허리에는 홍단금루수대를 두르고, 오채한삼을 착용하고, 초록혜를 신는다.
정재의장봉지여령 - 정재의장봉지여령은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를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홍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초록혜를 신는다.
문외의장봉지비자 - 문외의장봉지비자는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와 남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
Text | image | ||||||
---|---|---|---|---|---|---|---|
|
악사(樂師)·악공(樂工) 복식
무신년진찬에 참여한 전상(殿上)과 헌가(軒架)의 악사·악공의 복식은 다음과 같다.
헌가 - 헌가의 집사악사는 사모를 쓰고, 흉배 달린 흑단령을 입고, 품대를 두르고, 흑화를 신는다.
- 집박악사와 전악은 모라복두를 쓰고, 녹초단삼을 입고, 야대를 두르고, 흑화를 신는다.
- 악공은 화화복두를 쓰고, 홍주의를 입고, 오정대를 두른다.
전상악 - 전상의 집사악사는 모라복두를 쓰고, 남색 주(紬)로 안감을 댄 녹초삼을 입고, 은야대를 두르고, 흑화를 신는다.
- 집사악사와 대오전악은 모라복두를 쓰고, 남색 주로 안감을 댄 녹초삼을 입고, 야대를 두르고, 흑화를 신는다.
- 권착전악은 사모를 쓰고, 흉배가 없는 흑단령을 입고, 오각대를 두르고, 흑화를 신는다.
- 악공은 화화사모를 쓰고, 안에는 남주의(藍紬衣), 겉에는 홍주의(紅紬衣)를 입고, 야대를 두르고, 흑화를 신는다.
Text | image | ||||||
---|---|---|---|---|---|---|---|
|
정재여령(呈才女伶) 복식
추가자료(검토)
-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복식
-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형이다. 이정응의 복식을 양자인 완순군 이재완이 보관하였다가 그 후손이 1982년 숙명여자대학교에 기증하였다.
-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 전시 ☞ 흥완군 복식의 여정(2022.08.03.)
- Youtube >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미술관 ☞ 2022 온라인콘텐츠 《흥완군 복식의 여정》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유산 검색 > 문화재검색 > 문화재 종목별 검색 ☞ 흥완군 의복 (興完君 衣服)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원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헌종무신)진찬의궤』 | 청구기호:K2-2874 |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4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9788956382401 | 단행본 | 전통예술원,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권수·권1, 민속원, 2004. | ||
ISBN:9788956384238 | 단행본 | 전통예술원,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권3, 민속원, 2007.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이동 ↑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21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