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RC2 010 Clothing"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1번째 줄: 1번째 줄:
 
='''[[RC2 000010 | 무신년진찬]] 》 무신년진찬:복장 및 복식'''=
 
='''[[RC2 000010 | 무신년진찬]] 》 무신년진찬:복장 및 복식'''=
  
 +
==궁녀(宮女)의 복식==
  
*권3 의위(儀衛)
+
의례가 있을 때는 직무분장(職務分掌)에 따라서 궁녀를 다양한 명칭으로 불렀으며 직무분장에 따라 착용하는 복색을 달리하였다.<ref>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219쪽.</ref>
계청상궁(啓請尙宮)·전도상궁(前導尙宮), 도집사(都執事)·부집사(副執事)·상침()·전언()·사찬()·찬홀()·전찬()·전등여관() 어여미, 흑사원삼 삼색연광수, 리 남색상, 남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br/>
+
 
시위()·찬청()·승인()·전인상궁(), 상식()·상식()·상찬()·상기()·전식()·상인()·사인()·전빈()·전선(), 각 차비여관() 어여미, 초록원삼 삼색연광수, 리 남색상, 홍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br/>
+
(헌종무신)진찬의궤』에 따르면 진찬(進饌)에 참여하는 궁녀들의 복식은 다음과 같다.
차비여령() 가리마, 초록단의, 리 남상, 표 홍상, 백주한삼, 흑혜.<br/>
+
 
집사()·홀기차비여령() 가리마, 초록단의, 리 남상, 표 황상, 백주한삼, 흑혜.<br/>
+
:{|
악장사창차비여령() 화관, 황초삼, 리 남상, 표 홍상, 홍단금루수대, 오채한삼, 초록혜.<br/>
+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 | '''<big>''계청상궁 및 여관 복식''</big>'''
정재의장봉지여령() 가리마, 초록단의, 리 남상, 표 홍상, 백주한삼, 초록혜.<br/>
+
: 계청상궁·전도상궁, 도집사·부집사, 상침·전언·사찬·찬홀·전찬·전등여관은 어여미를 하고, 소매에 삼색연을 댄 흑사원삼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를 입고, 겉에는 남사상(藍紗裳)을 입고, 허리에는 남색금수대를 두르고, 홍색온혜를 신는다.
문외의장봉지비자() 가리마, 초록단의, 남색상, 백주한삼, 흑혜.<br/>
+
|-
 +
| <br/>
 +
|-
 +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 | '''<big>''시위상궁 및 여관 복식''</big>'''
 +
: 시위·찬청·승인·전인상궁, 상식(尙食)·상식(尙飾)·상찬·상기·전식·상인·사인·전빈·전선, 각 차비여관은 어여미를 하고, 소매에 삼색연을 댄 초록원삼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를 입고, 겉에는 홍사상(紅紗裳)을 입고, 허리에는 남색금수대를 두르고, 홍색온혜를 신는다.
 +
|-
 +
| <br/>
 +
|-
 +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 | '''<big>''차비여령 복식''</big>'''
 +
: 차비여령은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를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홍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
 +
|-
 +
| <br/>
 +
|-
 +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 | '''<big>''집사·홀기차비여령 복식''</big>'''
 +
: 집사·홀기차비여령은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를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황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
 +
|-
 +
| <br/>
 +
|-
 +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 | '''<big>''악장사창차비여령 복식''</big>'''
 +
: 악장사창차비여령은 화관을 쓰고, 황초삼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홍색치마를 입고, 허리에는 홍단금루수대를 두르고, 오채한삼을 착용하고, 초록혜를 신는다.
 +
|-
 +
| <br/>
 +
|-
 +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 | '''<big>''정재의장봉지여령 복식''</big>'''
 +
: 정재의장봉지여령은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를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홍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초록혜를 신는다.
 +
|-
 +
| <br/>
 +
|-
 +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 | '''<big>''문외의장봉지비자 복식''</big>'''
 +
: 문외의장봉지비자는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와 남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
 +
|-
 +
|}
 +
 
 +
{{인용문|
 +
儀衛<br/>
 +
內進饌時 侍衛各差備 【啓請·前導尙宮 及都副執事·尙寢·典言·司贊·贊笏·典贊·典燈女官戴於亐味 着黑紗圓衫 三色緣廣袖裏 藍色裳表藍紗裳 藍色金繡帶 紅色溫鞋 侍衛贊請 承引 前引尙宮 及尙食·尙飾·尙饌·尙記·典飾·尙引·司引·典賓·典膳 各差備女官 戴於亐味 着草綠圓衫 三色緣廣袖裏 藍色裳表紅紗裳 藍色金繡帶 紅色溫鞋 各差備女伶 戴加里麻着草綠丹衣裏 藍裳表紅裳 繫白紬汗衫 黑鞋 執事笏記差備女伶 戴加里麻 着草綠丹衣裏 藍裳表黃裳 繫白紬汗衫 黑鞋 樂章司唱差備女伶 戴花冠着黃綃衫裏 藍裳表紅裳 紅緞金縷繡帶 繫五彩汗衫 草綠鞋 呈才儀仗奉持女伶 戴加里麻 着草綠丹衣裏 藍裳表紅裳 繫白紬汗衫 草綠鞋 門外儀仗奉持婢子 戴加里麻 着草綠丹衣 藍色裳 繫白紬汗衫 黑鞋】
 +
|출처=『(헌종무신)진찬의궤』 권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K2-2874)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style="width:70%"|원문 || 이미지
 +
|-
 +
|{{인용문|儀衛<br/>
 +
內進饌時 侍衛各差備 【啓請·前導尙宮 及都副執事·尙寢·典言·司贊·贊笏·典贊·典燈女官戴於亐味 着黑紗圓衫 三色緣廣袖裏 藍色裳表藍紗裳 藍色金繡帶 紅色溫鞋 侍衛贊請 承引 前引尙宮 及尙食·尙飾·尙饌·尙記·典飾·尙引·司引·典賓·典膳 各差備女官 戴於亐味 着草綠圓衫 三色緣廣袖裏 藍色裳表紅紗裳 藍色金繡帶 紅色溫鞋 各差備女伶 戴加里麻着草綠丹衣裏 藍裳表紅裳 繫白紬汗衫 黑鞋 執事笏記差備女伶 戴加里麻 着草綠丹衣裏 藍裳表黃裳 繫白紬汗衫 黑鞋 樂章司唱差備女伶 戴花冠着黃綃衫裏 藍裳表紅裳 紅緞金縷繡帶 繫五彩汗衫 草綠鞋 呈才儀仗奉持女伶 戴加里麻 着草綠丹衣裏 藍裳表紅裳 繫白紬汗衫 草綠鞋 門外儀仗奉持婢子 戴加里麻 着草綠丹衣 藍色裳 繫白紬汗衫 黑鞋】
 +
|출처=『(헌종무신)진찬의궤』 권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K2-2874)
 +
}}
 +
||
 +
[[파일:K2-2874 004 진찬의궤 004 R.jpg|200px|center]]
 +
|}
  
[[파일:K2-2874 004 진찬의궤 004 R.jpg|300px]]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무신]진찬의궤([戊申]進饌儀軌)』(청구기호 K2-2874),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4
 
  
 
*권3 공령(工伶)
 
*권3 공령(工伶)

2023년 8월 21일 (월) 23:13 판

무신년진찬 》 무신년진찬:복장 및 복식

궁녀(宮女)의 복식

의례가 있을 때는 직무분장(職務分掌)에 따라서 궁녀를 다양한 명칭으로 불렀으며 직무분장에 따라 착용하는 복색을 달리하였다.[1]

『(헌종무신)진찬의궤』에 따르면 진찬(進饌)에 참여하는 궁녀들의 복식은 다음과 같다.

계청상궁 및 여관 복식
계청상궁·전도상궁, 도집사·부집사, 상침·전언·사찬·찬홀·전찬·전등여관은 어여미를 하고, 소매에 삼색연을 댄 흑사원삼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를 입고, 겉에는 남사상(藍紗裳)을 입고, 허리에는 남색금수대를 두르고, 홍색온혜를 신는다.

시위상궁 및 여관 복식
시위·찬청·승인·전인상궁, 상식(尙食)·상식(尙飾)·상찬·상기·전식·상인·사인·전빈·전선, 각 차비여관은 어여미를 하고, 소매에 삼색연을 댄 초록원삼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를 입고, 겉에는 홍사상(紅紗裳)을 입고, 허리에는 남색금수대를 두르고, 홍색온혜를 신는다.

차비여령 복식
각 차비여령은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를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홍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

집사·홀기차비여령 복식
집사·홀기차비여령은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를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황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

악장사창차비여령 복식
악장사창차비여령은 화관을 쓰고, 황초삼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홍색치마를 입고, 허리에는 홍단금루수대를 두르고, 오채한삼을 착용하고, 초록혜를 신는다.

정재의장봉지여령 복식
정재의장봉지여령은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를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 겉에는 홍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초록혜를 신는다.

문외의장봉지비자 복식
문외의장봉지비자는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와 남색치마를 입고, 백주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


Quote-left.png

儀衛
內進饌時 侍衛各差備 【啓請·前導尙宮 及都副執事·尙寢·典言·司贊·贊笏·典贊·典燈女官戴於亐味 着黑紗圓衫 三色緣廣袖裏 藍色裳表藍紗裳 藍色金繡帶 紅色溫鞋 侍衛贊請 承引 前引尙宮 及尙食·尙飾·尙饌·尙記·典飾·尙引·司引·典賓·典膳 各差備女官 戴於亐味 着草綠圓衫 三色緣廣袖裏 藍色裳表紅紗裳 藍色金繡帶 紅色溫鞋 各差備女伶 戴加里麻着草綠丹衣裏 藍裳表紅裳 繫白紬汗衫 黑鞋 執事笏記差備女伶 戴加里麻 着草綠丹衣裏 藍裳表黃裳 繫白紬汗衫 黑鞋 樂章司唱差備女伶 戴花冠着黃綃衫裏 藍裳表紅裳 紅緞金縷繡帶 繫五彩汗衫 草綠鞋 呈才儀仗奉持女伶 戴加里麻 着草綠丹衣裏 藍裳表紅裳 繫白紬汗衫 草綠鞋 門外儀仗奉持婢子 戴加里麻 着草綠丹衣 藍色裳 繫白紬汗衫 黑鞋】

Quote-right.png
출처: 『(헌종무신)진찬의궤』 권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K2-2874)



원문 이미지
Quote-left.png 儀衛

內進饌時 侍衛各差備 【啓請·前導尙宮 及都副執事·尙寢·典言·司贊·贊笏·典贊·典燈女官戴於亐味 着黑紗圓衫 三色緣廣袖裏 藍色裳表藍紗裳 藍色金繡帶 紅色溫鞋 侍衛贊請 承引 前引尙宮 及尙食·尙飾·尙饌·尙記·典飾·尙引·司引·典賓·典膳 各差備女官 戴於亐味 着草綠圓衫 三色緣廣袖裏 藍色裳表紅紗裳 藍色金繡帶 紅色溫鞋 各差備女伶 戴加里麻着草綠丹衣裏 藍裳表紅裳 繫白紬汗衫 黑鞋 執事笏記差備女伶 戴加里麻 着草綠丹衣裏 藍裳表黃裳 繫白紬汗衫 黑鞋 樂章司唱差備女伶 戴花冠着黃綃衫裏 藍裳表紅裳 紅緞金縷繡帶 繫五彩汗衫 草綠鞋 呈才儀仗奉持女伶 戴加里麻 着草綠丹衣裏 藍裳表紅裳 繫白紬汗衫 草綠鞋 門外儀仗奉持婢子 戴加里麻 着草綠丹衣 藍色裳 繫白紬汗衫 黑鞋】

Quote-right.png
출처: 『(헌종무신)진찬의궤』 권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K2-2874)




  • 권3 공령(工伶)


Notes

  1. 이동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21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