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2 010 Clothing"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잔글 (Hyunseung님이 RC3 000010 문서를 RC2 010 Clothing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정재의장봉지여령() 가리마, 초록단의, 리 남상, 표 홍상, 백주한삼, 초록혜.<br/> | 정재의장봉지여령() 가리마, 초록단의, 리 남상, 표 홍상, 백주한삼, 초록혜.<br/> | ||
문외의장봉지비자() 가리마, 초록단의, 남색상, 백주한삼, 흑혜.<br/> | 문외의장봉지비자() 가리마, 초록단의, 남색상, 백주한삼, 흑혜.<br/> | ||
+ | |||
+ | [[파일:K2-2874 004 진찬의궤 004 R.jpg|300px]] | ||
+ |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무신]진찬의궤([戊申]進饌儀軌)』(청구기호 K2-2874),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4 | ||
*권3 공령(工伶) | *권3 공령(工伶) |
2023년 8월 21일 (월) 18:33 판
무신년진찬 》 무신년진찬:복장 및 복식
- 권3 의위(儀衛)
계청상궁(啓請尙宮)·전도상궁(前導尙宮), 도집사(都執事)·부집사(副執事)·상침()·전언()·사찬()·찬홀()·전찬()·전등여관() 어여미, 흑사원삼 삼색연광수, 리 남색상, 표 남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시위()·찬청()·승인()·전인상궁(), 상식()·상식()·상찬()·상기()·전식()·상인()·사인()·전빈()·전선(), 각 차비여관() 어여미, 초록원삼 삼색연광수, 리 남색상, 표 홍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각 차비여령() 가리마, 초록단의, 리 남상, 표 홍상, 백주한삼, 흑혜.
집사()·홀기차비여령() 가리마, 초록단의, 리 남상, 표 황상, 백주한삼, 흑혜.
악장사창차비여령() 화관, 황초삼, 리 남상, 표 홍상, 홍단금루수대, 오채한삼, 초록혜.
정재의장봉지여령() 가리마, 초록단의, 리 남상, 표 홍상, 백주한삼, 초록혜.
문외의장봉지비자() 가리마, 초록단의, 남색상, 백주한삼, 흑혜.
-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무신]진찬의궤([戊申]進饌儀軌)』(청구기호 K2-2874),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4
- 권3 공령(工伶)
-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복식
-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형이다. 이정응의 복식을 양자인 완순군 이재완이 보관하였다가 그 후손이 1982년 숙명여자대학교에 기증하였다.
-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 전시 ☞ 흥완군 복식의 여정(2022.08.03.)
- Youtube >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미술관 ☞ 2022 온라인콘텐츠 《흥완군 복식의 여정》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유산 검색 > 문화재검색 > 문화재 종목별 검색 ☞ 흥완군 의복 (興完君 衣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