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소록:매화편

hnn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양화소록 관련 위키 목록 양화소록


매화
편명(한자) 梅花
이칭 매실나무
학명 Prunus mume
영명 Japanese apricot, Chinese plum
장미과 Rosaceae
생육상 낙엽지는 작은키나무

양화소록 원문

梅花


<중국에서 유래한 정보들>

范石湖梅譜序,”梅天下尤物, 無問智愚賢不肖, 莫敢有異議. 學圃之士, 必先種梅, 且不厭多矣.” 又云, “梅以韻勝以格高, 故以橫斜疎瘦, 與老枝奇怪者為貴, 其新接穉木, 一歲抽嫩枝直上, 或三四尺, 如酴醾薔薇輩者, 吳下謂之氣條, 此直宜取實規利, 無所謂韻與格矣. 又有一種, 糞壞力勝者, 於條上茁短橫枝, 狀如棘針, 花密綴之, 亦非高品.” 譜云, “江梅遺核野生, 不経(經)栽接者. 又名直脚梅. 曰早梅, 冬至前已開, 故得早名, 要非風土之正. 曰消梅, 其實圓小鬆脆, 多液無滓, 多液則不耐日乾, 惟堪青噉. 曰古梅, 其枝樛曲萬狀, 蒼蘇鱗皴, 封滿花身. 又有苔鬚垂於枝間, 或長數寸, 風颺綠絲飃飃可玩. 曰重葉梅, 花頭甚豐, 葉重數層, 盛開如小白蓮, 結實多雙. 曰綠萼梅, 凡梅花跗蒂, 皆絳紫色, 惟此純綠, 枝梗亦青. 曰百葉緗梅, 一名千葉香梅, 小而密. 曰紅梅, 粉紅色, 標格猶是梅, 而繁密則如杏, 香亦類杏. 曰鴛鴦梅, 多葉紅梅也, 凡雙果必并蒂, 惟此一蒂而結雙實. 曰杏梅花, 比紅梅色微淡, 結實甚匾, 有斕斑色, 全似杏味. 曰蠟梅, 本非梅類, 以其與梅同時, 香又相近, 酷似蜜脾, 故名蠟梅” ○接花法云, “苦練樹上接梅花, 則花如墨梅.”


<강희안이 쓴 이야기>

都下栽接者, 皆千葉紅白梅, 而結實多雙, 即譜所謂重葉梅與鴛鴦梅也. 嶺南湖南所植者, 皆單葉白梅, 實不雙結, 然清香不減他梅. 凡接梅, 先將小桃栽盆, 懸掛梅樹, 剥去桃梅兩邊皮, 合而用生葛, 堅緻纏束, 待氣通皮縫相接後, 斷去本梅, 俗謂倚接. 置盆陰陽相半處, 頻以水澆, 交結枝梢, 作橫斜老梅之形. 蕾着枝, 則入暖房, 數用溫水, 其枝根, 旁熾爐炭, 勿觸寒氣, 可於冬至前綻開, 清香滿房, 不必別 炷沈射. 若老不抽枝, 枝不蓓蕾, 則移植向陽處, 縱其行根, 便成大樹. 盆梅花謝後, 不受寒氣, 復納土宇猶可, 結實若觸寒氣, 非但不能結實, 條亦枯矣. 盆用瓦器. 澆水不燥, 欲作古梅, 須接單葉梅. ○我先祖通亭, 少年讀書智異山斷俗寺, 手種梅一株於庭前, 仍題一絕云, 一氣循環往復來, 天心可見臘前梅. 直將殷鼎調羹實, 謾向山中落又開. 公登第歷仕, 至政堂文學, 在朝左右, 規正調和, 相濟之事悉多, 時人謂之詩讖. 居僧戀公之德, 愛公之才, 且慕公之清風高格, 而終不能忘也, 則見其梅, 如見公, 每歲封土於根, 培養得其宜, 故至今相傳, 號為政堂梅. 其枝幹樛曲萬狀, 又封蒼藓, 與譜所謂古梅無別, 眞嶺南一古物也. 自爾士大夫奉使嶺南者到鄉, 則莫不尋寺問梅, 賡其韻掛諸楣間也.


매화편에 나오는 인용문

인용문챕터 문헌명 이칭 시대 저자 비고
매보서 범촌매보 범석호
매접법 종수서 곽탁타


매화를 키우는 요즘의 강희안들

  • 채널명: 조은나무 JoEunTV / korea bonsai 조경 / 조은티비
  • 타이틀: 삽목/봄삽목/꺽꽂이/번식/삽목후물주기/야생화/매화/분홍매화/겹매화/분재소재번식/bonsai korea/盆栽


더 읽을 거리

type resource title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매화나무(梅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028
참고 통일뉴스 <연재> 심규섭의 아름다운 우리그림 (85)>매화그림 https://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923
참고 오마이뉴스 [삶과 예술1] 매창 매화도와 옥산 국화도첩>조선시대 달빛 속의 매화꽃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19465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033
참고 문화재청 조선 화가 조희룡 매화에 미치고 그림에 미치다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743&bbsId=BBSMSTR_1008&mn=NS_01_09_01
참고 문화유산채널>문화유산칼럼 선비들의 멋이 깃든 매화나무 http://www.k-heritage.tv/brd/board/256/L/CATEGORY/614/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614&bbIdx=2752&brdType=R&tab=
참고 국립중앙박물관>소장품>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매화초옥도》, 전기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16842
참고 국립중앙박물관>소장품 조희룡, 《붉은 매화와 흰 매화(紅白梅花圖)》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027
참고 포스코>포스코에세이 [포스코미술관 특별 기고] 3편. 고고한 기품의 매화 그림 https://newsroom.posco.com/kr/포스코미술관-특별-기고-3편-고고한-기품의-매화-그림/
참고 YTN 조선의 매화, 남산 와룡매(臥龍梅)를 아시나요? https://www.ytn.co.kr/_ln/0134_201304231702484319
연구 RISS 김혜자, 「조선시대 '매화도'에 근거한 화예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http://www.riss.kr/link?id=T11986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