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함양 안국사 은광대화상 승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함양안국사은광대화상승탑.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3370000 함양...)
 
29번째 줄: 29번째 줄:
 
===수정 국문===
 
===수정 국문===
 
====초고====
 
====초고====
 +
승탑은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모셔 놓은 일종의 무덤이다. 덕망 높은 스님이 입적하고 나면 제자와 신도들이 스님을 기려 승탑과 탑비를 세웠으며, 탑비에는 스님의 행적을 기록한 비문을 새겼다.
  
 +
이 승탑은 네모난 바닥돌 위에 둥근 받침돌을 놓고, 팔각형의 몸돌과 지붕돌을 얹은 구조로 되어있다. 몸돌에 ‘은광대화상의 탑(隱光大和尙之塔)’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서 승탑의 주인을 알 수 있으나, 은광대화상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받침돌에 새겨진 연꽃 무늬와 기와골이 표현된 지붕돌의 양식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나 고려 초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1차 수정====
 
====1차 수정====
42번째 줄: 44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 함양 안국사 은광대화상 승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3370000
 +
* 함양 안국사 은광대화상 승탑, 디지털함양문화대전.  http://hamyang.grandculture.net/hamyang/toc/GC07200468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0년 4월 29일 (수) 17:14 판


함양 안국사은광대화상 승탑
함양 안국사 은광대화상 승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함양 안국사은광대화상 승탑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7호
지정일 1998년 11월 13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1점
웹사이트 함양 안국사 은광대화상 승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부도는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는 탑과 달리 스님들의 사리와 유골을 봉안하는 구조물이다. 이 부도의 몸체에는 ‘은광대화상의 탑’(隱光大和尙之塔)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은광대화상의 부도탑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은광대화상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그에 대한 내력을 알 수가 없다. 한편 이 부도가 서산대사(西山大師)의 어머니의 부도라는 이야기도 간혹 전해지고 있으나, 그것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이나 증거 역시 없다.

이 부도는 사각형의 바탕돌(地臺石) 위에 받침돌(臺石)을 놓고, 몸체(塔身)와 지붕돌(屋蓋石)을 얹은 구조로 되어 있다. 중간의 받침돌을 받치는 괴임돌과 위 받침돌에는 각각 땅과 하늘을 향해 핀 연꽃잎이 조각되어 있다. 위 받침돌과 몸체를 이어주는 괴임들은 없으며, 지붕돌에는 기와골이 조각되어 있다. 이 부도는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 부도양식인 팔각원당형으로서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수정 국문

초고

승탑은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모셔 놓은 일종의 무덤이다. 덕망 높은 스님이 입적하고 나면 제자와 신도들이 스님을 기려 승탑과 탑비를 세웠으며, 탑비에는 스님의 행적을 기록한 비문을 새겼다.

이 승탑은 네모난 바닥돌 위에 둥근 받침돌을 놓고, 팔각형의 몸돌과 지붕돌을 얹은 구조로 되어있다. 몸돌에 ‘은광대화상의 탑(隱光大和尙之塔)’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서 승탑의 주인을 알 수 있으나, 은광대화상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받침돌에 새겨진 연꽃 무늬와 기와골이 표현된 지붕돌의 양식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나 고려 초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