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유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자료)
(참고자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재의 유형에 따른 분류'''==
 
=='''문화재의 유형에 따른 분류'''==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style="width:10%; background:#BDCFE1; text-align:center" | '''유형문화재''' || 건조물, 전적(典籍),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考古資料)
 +
|}
 +
<gallery>
 +
파일:서울흥인지문.jpg | 서울 흥인지문
 +
파일:화서문1.jpg | 수원 화성
 +
파일:BHST Bongjeongsa Geungnakjeon.jpg | 안동 봉정사 극락전
 +
파일: 조선왕조실록_태백산.jpg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
파일: 연소답청.jpg | 신윤복 필 풍속도 화첩
 +
파일:부산진순절도.jpg | 부산진 순절도
 +
파일: 이이남매화회문기.jpg | 이이 남매 화회문기
 +
파일: 파주용미리마애이불입상.jpg |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
파일:개성경천사지십층석탑.jpg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
파일:울주대곡리반구대암각화.JPG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파일: 청자오리모양연적.jpg | 청자 오리모양 연적
 +
파일: 도기기마인물형명기.jpg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
파일:금령총금관.jpg | 금령총 금관
 +
파일:금영측우기.jpg | 금영 측우기
 +
</gallery>
  
===유형문화재===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건조물, 전적(典籍),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考古資料)
+
| style="width:10%; background:#BDCFE1; text-align:center" |'''무형문화재'''
 
+
||
===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전통적 공연·예술
 
*전통적 공연·예술
14번째 줄: 32번째 줄: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
|}
 +
<gallery>
 +
파일: 종묘제례악.jpg | 종묘제례악
 +
파일: 판소리.jpg | 판소리
 +
파일: 가야금산조 및 병창.jpg | 가야금산조 및 병창
 +
파일: 갓일.jpg | 갓일
 +
파일: 한산모시짜기.jpg | 한산모시짜기
 +
파일: 조선왕조궁중음식.jpg | 조선왕조궁중음식
 +
파일: 경주교동법주.jpg | 경주교동법주
 +
파일: 서울 새남굿.jpg | 서울 새남굿
 +
파일: 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jpg | 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
 +
파일: 택견.jpg | 택견
 +
파일: 강강술래.jpg | 강강술래
 +
파일: 줄타기.jpg | 줄타기
 +
파일: 안동차전놀이.jpg | 안동차전놀이
 +
파일: 남도들노래.jpg | 남도들노래
 +
</gallery>
  
===민속문화재===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
+
| style="width:10%; background:#BDCFE1; text-align:center"| '''민속문화재''' ||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
 +
|}
 +
<gallery>
 +
파일: 덕온공주당의.jpg | 덕온공주 당의
 +
파일: 흥선대원군자적단령.jpg | 흥선대원군 자적 단령
 +
파일: 고창신재효고택.jpg | 고창 신재효 고택
 +
파일: 안동의성김씨서지재사.jpg | 안동 의성김씨 서지재사
 +
파일: 안동하회마을.jpg | 안동 하회마을
 +
파일: 나주불회사석장승.jpg | 나주 불회사 석장승
 +
파일: 방상시탈.jpg | 방상시 탈
 +
파일: 국사당의무신도.jpg | 국사당의 무신도
 +
파일: 남은들상여.jpg | 남은들 상여
 +
파일: 제주애월말방아.jpg | 제주 애월 말방아
 +
파일: 십장생수이층롱.jpg | 십장생수 이층롱
 +
파일: 영양서석지.jpg | 영양 서석지
 +
</gallery>
  
===기념물===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style="width:10%; background:#BDCFE1; text-align:center"| '''기념물'''
 +
||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동물(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동물(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
|}
 +
<gallery>
 +
파일: 경주포석정지.jpg | 경주 포석정지
 +
파일: 경주사천왕사지.jpg | 경주 사천왕사지
 +
파일: 서울풍납동토성.jpg | 서울 풍납동 토성
 +
파일: 공주송산리고분군.jpg | 공주 송산리 고분군
 +
파일: 통영연대도패총.jpg | 통영 연대도 패총
 +
파일: 신안해저유물매장해역.jpg | 신안 해저유물 매장해역
 +
파일: 구서울역사.jpg | 구 서울역사
 +
파일: 정읍전봉준유적.jpg | 정읍 전봉준 유적
 +
파일: 제주항파두리항몽유적.jpg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
</gallery>
 +
<gallery>
 +
파일: 단양도담삼봉.jpg | 단양 도담삼봉
 +
파일: 보길도윤선도원림.jpg | 보길도 윤선도 원림
 +
파일: 설악산비룡폭포계곡일원.jpg | 설악산 비룡폭포 계곡 일원
 +
파일: 안면도꽃지할미할아비바위.jpg | 안면도 꽃지 할미 할아비 바위
 +
파일: 영실기암과오백나한.jpg |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
파일: 영월한반도지형.jpg | 영월 한반도 지형
 +
파일: 제주서귀포쇠소깍.jpg | 제주 서귀포 쇠소깍
 +
파일: 한라산선작지왓.jpg | 한라산 선작지왓
 +
</gallery>
  
 
=='''지정 및 등록 여부에 따른 분류'''==
 
=='''지정 및 등록 여부에 따른 분류'''==
71번째 줄: 144번째 줄:
 
|}
 
|}
 
</center>
 
</center>
 +
 +
===국가지정문화재===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style="width:10%; background:#d8e7ca; text-align:center" | '''국보''' ||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 style="width:10%" | [[File:Image.png|center|50px|link=http://dh.aks.ac.kr/~khw/cgi-bin/heritageWiki/heritageCategory.py?국보]]
 +
|-
 +
| style="width:10%; background:#d8e7ca; text-align:center" | '''보물''' || 건조물·전적·서적·고문서·회화·조각·공예품·고고자료·무구 등의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  || style="width:10%" | [[File:Image.png|center|50px|link=http://dh.aks.ac.kr/~khw/cgi-bin/heritageWiki/heritageCategory.py?보물]]
 +
|-
 +
| style="width:10%; background:#d8e7ca; text-align:center" | '''사적''' || 선사유적, 성곽, 고분, 도요지, 지석묘, 사지, 패총 등과 역사적으로 특별히 기념될 만한 지역과 시설물.  || style="width:10%" | [[File:Image.png|center|50px|link=http://dh.aks.ac.kr/~khw/cgi-bin/heritageWiki/heritageCategory.py?사적]]
 +
|-
 +
| style="width:10%; background:#d8e7ca; text-align:center" | '''명승'''|| 경승지로서 중요한 것.  || style="width:10%" | [[File:Image.png|center|50px|link=http://dh.aks.ac.kr/~khw/cgi-bin/heritageWiki/heritageCategory.py?명승]]
 +
|-
 +
| style="width:10%; background:#d8e7ca; text-align:center" | '''천연기념물''' || 동물(서식지·번식지·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질·광물로서 중요한 것.  || style="width:10%" | [[File:Image.png|center|50px|link=http://dh.aks.ac.kr/~khw/cgi-bin/heritageWiki/heritageCategory.py?천연기념물]]
 +
|-
 +
| style="width:10%; background:#d8e7ca; text-align:center" | '''국가무형문화재''' ||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있는 것. 지역 또는 한국의 전통문화로서 대표성을 지닌 것.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응하여 세대 간의 전승을 통해 그 전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  || style="width:10%" | [[File:Image.png|center|50px|link=http://dh.aks.ac.kr/~khw/cgi-bin/heritageWiki/heritageCategory.py?국가무형문화재]]
 +
|-
 +
| style="width:10%; background:#d8e7ca; text-align:center" | '''국가민속문화재''' || 의식주·생산·생업·교통·운수·통신·교역·사회생활·신앙 민속·예능·오락·유희 등으로서 중요한 것.  || style="width:10%" | [[File:Image.png|center|50px|link=http://dh.aks.ac.kr/~khw/cgi-bin/heritageWiki/heritageCategory.py?국가민속문화재]]
 +
|}
  
 
===등록문화재===
 
===등록문화재===
 +
[[File:Image.png|right|50px|link=http://dh.aks.ac.kr/~khw/cgi-bin/heritageWiki/heritageCategory.py?등록문화재]]
 +
*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건설·제작·형성된 후 50년 이상이 지난 것<ref>'개화기'를 기점으로 하여 '한국전쟁 전후'까지의 기간에 축조된 건조물 및 시설물 형태의 문화재가 중심이 되며, 그 이후 형성된 것일지라도 멸실 훼손의 위험이 커 긴급한 보호조치가 필요할 경우 포함될 수 있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30676&cid=55644&categoryId=55644 등록문화재]", 네이버 지식백과. (문화재를 위한 보존 방법론, 2008. 2. 20., 서정호)</ref>으로서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여 등록한 문화재.
 +
**역사, 문화, 예술, 사회, 경제, 종교, 생활 등 각 분야에서 기념이 되거나 상징적 가치가 있는 것
 +
**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이 되고 있으며, 그 가치가 일반에게 널리 알려진 것
 +
**기술발전 또는 예술적 사조 등 그 시대를 반영하거나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문화재자료===
 
===문화재자료===
* 국가지정문화재 또는 시도지정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문화재 중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을 시도조례에 따라 지정한 것.
+
[[File:Image.png|right|50px|link=http://dh.aks.ac.kr/~khw/cgi-bin/heritageWiki/heritageCategory.py?문화재자료]]
 
+
*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을 시도조례에 따라 지정한 것.
 
 
 
 
  
 
=='''참고자료'''==
 
=='''참고자료'''==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6047#0000 문화재보호법]
+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d=001607&ancYnChk=0#0000 문화재보호법]
 
*[http://www.heritage.go.kr/heri/html/HtmlPage.do?pg=/cul/cultureEasySub01.jsp&pageNo=5_5_1_0 문화재, 이것이 궁금해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html/HtmlPage.do?pg=/cul/cultureEasySub01.jsp&pageNo=5_5_1_0 문화재, 이것이 궁금해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2181424001&code=960100 '근대문화유산', 이제는 지자체가 독자 등록할 수 있다]", 경향신문, 2019.2.18.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2181424001&code=960100 '근대문화유산', 이제는 지자체가 독자 등록할 수 있다]", 경향신문, 2019.2.18.
  
 
=='''주석'''==
 
=='''주석'''==

2021년 3월 24일 (수) 14:45 기준 최신판

문화재의 유형에 따른 분류

유형문화재 건조물, 전적(典籍),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考古資料)
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 전통적 공연·예술
  •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 한의약, 농경·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 구전 전통 및 표현
  •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민속문화재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
기념물
  •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 동물(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지정 및 등록 여부에 따른 분류

지정 및 등록 여부 종목 주체
지정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문화재청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시도지정문화재 시도유형문화재 시·도지사
시도기념물
시도무형문화재
시도민속문화재
등록문화재 국가등록문화재 문화재청
시도등록문화재 시·도지사
비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시·도지사


지정문화재

지정 주체 / 속성 유형문화재 기념물 무형문화재 민속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시도지정문화재 시도유형문화재 시도기념물 시도무형문화재 시도민속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Image.png
보물 건조물·전적·서적·고문서·회화·조각·공예품·고고자료·무구 등의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
Image.png
사적 선사유적, 성곽, 고분, 도요지, 지석묘, 사지, 패총 등과 역사적으로 특별히 기념될 만한 지역과 시설물.
Image.png
명승 경승지로서 중요한 것.
Image.png
천연기념물 동물(서식지·번식지·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질·광물로서 중요한 것.
Image.png
국가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있는 것. 지역 또는 한국의 전통문화로서 대표성을 지닌 것.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응하여 세대 간의 전승을 통해 그 전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
Image.png
국가민속문화재 의식주·생산·생업·교통·운수·통신·교역·사회생활·신앙 민속·예능·오락·유희 등으로서 중요한 것.
Image.png

등록문화재

Image.png
  •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건설·제작·형성된 후 50년 이상이 지난 것[1]으로서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여 등록한 문화재.
    • 역사, 문화, 예술, 사회, 경제, 종교, 생활 등 각 분야에서 기념이 되거나 상징적 가치가 있는 것
    • 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이 되고 있으며, 그 가치가 일반에게 널리 알려진 것
    • 기술발전 또는 예술적 사조 등 그 시대를 반영하거나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문화재자료

Image.png
  •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을 시도조례에 따라 지정한 것.

참고자료

주석

  1. '개화기'를 기점으로 하여 '한국전쟁 전후'까지의 기간에 축조된 건조물 및 시설물 형태의 문화재가 중심이 되며, 그 이후 형성된 것일지라도 멸실 훼손의 위험이 커 긴급한 보호조치가 필요할 경우 포함될 수 있음. "등록문화재", 네이버 지식백과. (문화재를 위한 보존 방법론, 2008. 2. 20., 서정호)